현대제철, 3세대 강판으로 불황 넘는다…올해 상용화 추진
페이지 정보

본문
강도·성형성 모두 잡은 3세대 자동차 강판
현대제철, 10여년 연구 끝에 상용화 가시권
미국·인도 등 글로벌 거점도 잇따라 확보
현대제철, 10여년 연구 끝에 상용화 가시권
미국·인도 등 글로벌 거점도 잇따라 확보

현대제철이 고부가가치 제품인 3세대 강판을 앞세워 어려운 경영환경을 극복하겠다고 3일 밝혔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10여년의 연구 개발을 거쳐 올해 3세대 강판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3세대 강판은 차세대 자동차 강판을 말한다. 자동차 강판은 안정성을 위한 고강도와 디자인을 위한 고성형성이 동시에 요구되는데, 두 성질은 반비례 관계라 일반적으로 강도를 높이면 성형성이 떨어지고 성형성을 높이면 강도가 낮아진다.
3세대 강판은 이같은 특성을 넘어서 고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성형성을 높인 고성능 강판이다. 현대제철이 이번에 상용화하는 3세대 강판은 1.2GPa급의 고강도 제품이면서도 곡면 성형도 가능할 만큼의 뛰어난 가공성을 갖췄다.
기존 1.0GPa급 초고장력강보다 무게도 10% 이상 가벼워 디자인과 충돌 안정성·경량화가 모두 요구되는 전기차에 최적화된 제품으로 꼽히고 있다.
현대제철은 현대차그룹의 철강 부문 계열사로서, 3세대 강판을 우선적으로 현대차·기아에 공급해 모빌리티 소재 역량 강화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동시에 현대차·기아의 요구 수준에 대응할 수 있는 자동차 강판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다른 글로벌 완성차 메이커들에도 공급을 늘려나간다는 구상이다. 구체적으로 현재 20% 수준의 자동차 강판 글로벌 판매 비중을 최대 40%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다.
이를 위한 글로벌 거점 확보도 추진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미국에 전기차 전용 강판 가공센터인 조지아 SSC를 가동했고, 신흥 시장으로 떠오르는 인도에는 푸네 SSC를 착공했다.
아울러 최근에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고 미주 지역 자동차 강판 공급을 위해 미국에 생산 공장을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앞서 현대제철 서강현 사장은 신년사에서 "무역 블록화와 공급망 규제로 인해 수출 경쟁력 강화와 현지 판매 체제 구축은 필수적인 요소가 됐다"며 "글로벌 사업 거점을 확보해 차별화된 글로벌 경쟁력의 원천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CBS노컷뉴스 윤준호 기자 yjh@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구준엽 아내 대만 금잔디 서희원 돌연 사망…향년 48세
- 배우 김성철, 걸그룹 성희롱 글 투표 사과…"송구하고 죄송"
- 질문제한 전한길에 수험생은 조마조마…"정치병자 몰려와"[오목조목]
- 법원 폭동 사랑제일교회 특임 전도사의 기괴한 행적들[이슈세개]
- 故 오요안나 사태에 배수연 전 MBC 기상캐스터 "나 때도 그랬다"
관련링크
- 이전글서희원이 앓던 급성 폐렴…"60대 이상 치사율 30% 넘어" 25.02.03
- 다음글SPC그룹, 美텍사스에 1억 6000만 달러 제빵공장 짓는다 25.02.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