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이 사랑하는 삼성전자는 옛말…보유 비중 50% 밑으로 떨어져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외국인이 사랑하는 삼성전자는 옛말…보유 비중 50% 밑으로 떨어져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3회 작성일 25-02-03 10:06

본문

삼성전자 서초사옥/뉴스1

삼성전자 서초사옥/뉴스1

외국인이 삼성전자에서 손을 떼고 있다. 이들은 지난 반년간 20조원 넘게 팔아치웠고 이 탓에 보유 비중은 2023년 이후 처음으로 50% 밑으로 떨어졌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삼성전자의 외국인 지분율은 49.99%다. 삼성전자 외국인 보유 비중이 50% 밑으로 떨어진 건 2023년 1월 12일 이후 2년 만이다.

반도체 수요 감소와 실적 부진 등 복합적인 요소가 겹치면서 외국인들이 삼성전자를 순매도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9월부터 지난달까지 6개월간 외국인은 삼성전자 22조8806억원어치를 팔았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 인공지능AI 반도체, 파운드리 등 모든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경쟁사에 뒤처지면서다.

이를 보여주는 단편적인 사례는 ‘갤럭시S25’를 출시하면서 삼성의 자체 반도체AP인 엑시노스가 아닌 경쟁사인 퀄컴의 스냅드래곤 8 엘리트를 탑재한 것이다. 이와 관련해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사장은 “삼성전자 갤럭시 AP는 갤럭시 S1 때부터 가장 최고의 AP를 선택하는 것이 원칙이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중국의 인공지능AI업체 ‘딥시크Deepseek’가 삼성전자의 위기를 부채질하고 있다. 최근 딥시크가 AI 모델 ‘R1’을 개발하면서 저비용 저성능 칩을 적게 사용했다고 발표했다. 그래픽처리장치GPU에 들어가는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여러 고객사에 공급하는 삼성전자로선 수요 감소가 예상돼 악재인 것이다.

딥시크는 R1을 개발하는 데 557만6000달러약 81억원를 들였다고 발표했다. 이는 미국 오픈AI의 ‘챗GPT’의 18분의 1 수준이다. 딥시크는 오픈AI가 사용한 엔비디아 고성능 칩인 ‘H100’보다 성능이 30~40% 뒤처지는 ‘H800’을 사용했다고도 했다. 활용한 칩 수는 오픈AI1만6000개의 8분의 1 수준인 2048개다.

이와 관련해 삼성전자는 지난달 31일 콘퍼런스콜에서 “기술 도입에 따른 업계의 다이나믹스는 항상 변화 가능성이 있고, 현재 제한된 정보로 판단하기는 이르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시장 내 장기적 기회 요인 및 단기적 위험 요인이 공존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업계 동향을 주시하며 급변하는 AI 시장에 적기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한편 증권가에선 삼성전자를 여전히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종욱 삼성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가 기술 경쟁력을 회복했다는 증거가 나오고, 주주 환원 프로그램이 나오면 상반기 중 주가가 회복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그러면서 “1분기 실적은 기대에 못 미칠 수 있으나 분기 이익 바닥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 조선비즈 바로가기]

- Copyrights ⓒ 조선비즈 amp;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문수빈 기자 bean@chosunbiz.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384
어제
1,460
최대
3,806
전체
944,77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