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0년 안에 0원 된다"…노벨경제학상 교수의 경고
페이지 정보

본문

지난해 12월 서울 서초구 빗썸라운지 시황판에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 시세가 표시되고 있다. /뉴스1
2일현지 시각 암호화폐 전문 매체 크립토뉴스, 프로마켓 등에 따르면 파마 교수는 지난달 30일 팟캐스트 ‘캐피털리즌트Capitalisn’t’에서 “암호화폐는 교환 매체로서의 모든 규칙을 위반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안정적인 실질 가치가 없고, 매우 가변적인 실질 가치를 가지고 있다”며 “교환 매체로 살아남을 수 없다”고 말했다.

유진 파마 시카고대 교수./시카고대
파마 교수는 “비트코인의 특성상 공급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가격은 전적으로 수요에 의해 결정된다”며 “고정된 공급과 변동하는 수요가 결합되면 가격 변동성이 발생해 통화로서 적합하지 않다”고 했다.
그러면서 “비트코인이 붕괴되기를 바란다. 그렇지 않으면 화폐 이론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할 것”이라며 “만약 비트코인이 무너지지 않는다면 우리는 화폐 이론을 처음부터 다시 생각해야만 한다”고 했다.
다만 그는 자신의 전망에 “틀릴 가능성도 인정한다”며 열린 태도를 보였다.
효율적 시장 이론을 펼쳐온 파마 교수는 ‘시장의 모든 정보가 자산 가격에 즉각 반영된다’는 명제로 지수 추종형 펀드의 논리적 틀을 제공한 학자로 평가된다. 2013년에는 그 공로를 인정받아 로버트 실러 예일대 교수, 라스 피터 핸슨 시카고대 교수와 함께 노벨 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현재 경제학 분야 연구자들의 협력체인 RePEc이 선정하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 10위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한편 비트코인 가격은 미국발 관세 전쟁 영향으로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2일 오후 2시미 동부 시각 기준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5.0% 내린 9만7759달러에 거래되면서 10만달러 밑으로 떨어졌다. 관세 인상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고, 금리 상승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조선닷컴 핫 뉴스 Best
[ 조선닷컴 바로가기]
[ 조선일보 구독신청하기]
김자아 기자 kimself@chosun.com
관련링크
- 이전글"해외 마라톤 가자"…하나투어, 사이판·다낭 런트립 출시 25.02.03
- 다음글트럼프 "미국인 고통 있어도 그만한 가치"…관세전쟁 비판 일축 25.02.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