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비자발적 실업자 137만명…4년 만에 증가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작년 비자발적 실업자 137만명…4년 만에 증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0회 작성일 25-02-02 20:48

본문

직장 폐업·정리해고 등 사유
내수부진 여파 고용의 질 악화
초단기 노동자는 250만명 넘어


작년 비자발적 실업자 137만명…4년 만에 증가



대학 졸업생 김모씨28는 지난해 8월 1년 가까이 일한 영어학원을 그만뒀다. 학원생이 줄면서 그가 맡았던 수업이 폐강됐기 때문이다. 다른 학원 일자리를 찾았지만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곳은 없었다. 그는 “교육 쪽이 적성에 잘 맞는다고 생각했는데 예상치 못하게 실직해 막막한 심정”이라며 “공기업도 도전해보고 있지만 요즘 취업 문이 좁아 쉽지 않다”고 했다.


지난해 직장 폐업이나 정리해고 등으로 일자리를 떠난 ‘비자발적 실업자’가 4년 만에 증가해 137만명을 넘어섰다. 주 17시간 이하로 일하는 ‘초단기 노동자’는 처음으로 250만명을 돌파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내수 부진이 장기화하면서 고용의 질과 양이 나빠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일 통계청 고용동향 마이크로데이터를 보면, 지난해 비자발적 실업자는 137만2954명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10만6761명8.4% 늘어난 수치다. 비자발적 실직에는 ‘직장의 휴업·폐업’ ‘명예퇴직·조기퇴직·정리해고’ ‘임시적·계절적 일의 완료’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 등의 사유로 직장을 그만둔 경우가 포함된다. 비자발적 실업자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인 2020년 180만6957명으로 전년 대비 35.9% 급증했다. 이후 2021년 169만명, 2022년 130만명, 2023년 127만명으로 3년째 감소세를 이어가다 지난해 반등했다. 지난해 전체 퇴직자 10명 중 4명42.9%은 비자발적 실업자였다. 경기 침체로 실적 부진에 시달리는 기업들이 권고사직 등을 통해 구조조정에 나선 영향으로 분석된다. 내수 부진이 장기화하면서 종업원을 둔 자영업자들의 폐업이 증가한 영향도 있다.

초단기 노동자 증가세는 두드러졌다. 주당 1~17시간 일한 초단기 노동자는 지난해 250만명으로 전년 대비 10.2% 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주 36시간 미만 단시간 노동자도 881만명으로 역대 최대였다. 36시간 미만 노동자가 전체 노동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0.8%로 1년 새 6.9%포인트 급증했다.

초단기 노동자는 통상 노동 환경이 불안정한 경우가 많다. 고용보험법은 근로시간이 월 60시간 이상에 적용된다. 주 15시간 미만 노동자는 주휴수당이나 퇴직금도 따로 받지 못한다. 정부는 올해 5인 미만 사업장 노동자, 플랫폼 종사자의 권리 강화를 골자로 한 ‘노동약자지원법’ 제정으로 사각지대를 해소할 방침이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명예교수는 “경기 부진 탓에 최근 기업도 정규 일자리보다는 땜질식 초단기 일자리를 늘리고 있다”면서 “비상계엄 후 탄핵 정국과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 등으로 경제 불확실성이 매우 커져 올해도 이런 추세가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세훈 기자 ksh3712@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이준석, 대선출마 선언…“시대정신은 ‘지성 회복’, 끝까지 간다”
· [단독]‘서부지법 난입 선동’ 사랑제일교회 특임전도사 윤모씨, 조선공산당 표석 ‘곡괭이범’이었다
· [단독 인터뷰]조국 “정권교체·사회개혁 위해 ‘새로운 다수 연합’ 만들어야”
· 수업 중 성적인 발언 반복한 중학생…‘사회봉사처분 불복’ 소송했다가 패소
· 국힘 김재섭 “인간적 도리를 왜 이런 식으로 하나” 대통령 면회한다는 권영세·권성동 정면 비판
· 중국인·중국 동포 겨냥한 ‘부정선거 음모론’···각종 혐오 조장 동원한다
· 국힘, 마은혁 헌법재판관 임명 보류 권한쟁의 선고 앞두고 “각하해야”
· 방송국은 ‘정의’를 말하지만···오요안나들은 울고 있다
· “거룩한 싸움” 윤석열 측, 청년 동원하며 재판·탄핵심판 여론전
· 어디가 아픈 거니…투명했던 그린란드 호수, 붉게 물든 이유는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384
어제
1,460
최대
3,806
전체
944,77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