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쇼크 오픈AI, 한미일 AI 동맹 광폭 행보
페이지 정보

본문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한국·일본과 AI 동맹 구축에 나섰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개발한 저비용·고효율 AI가 일부 성능에서 챗GPT를 능가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세간에 충격을 준 가운데 나온 행보라 주목된다.
딥시크가 자체 모델을 쓰는 오픈AI와 달리 오픈소스로 저렴한 고성능의 AI를 내놓음에 따라 딥시크를 견제하고 아시아 AI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 사업을 확대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4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샘 올트먼 오픈AI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서울 중구 더 플라자호텔에서 열리는 비공개 워크숍 빌더 랩에 참석한다.
한국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이 행사에는 올트먼CEO를 비롯해 회사 고위 관계자들, 국내 기업 및 스타트업 개발자 100명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올트먼의 방한은 이번이 세 번째다. 앞서 2023년 6월 중소벤처기업부 초청으로 처음 방한했고 지난해 1월에는 삼성전자 평택공장을 방문한 바 있다.
이번 방한에서 올트먼은 카카오와의 협업을 전격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장소에서 열리는 카카오 정신아 대표의 기자간담회에도 등장할 것으로 전해졌다.
카카오는 지난해 자체AI서비스인 카나나를 처음 공개하고 올해 본격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카카오가 이미 개발된 다양한AI모델을 필요에 맞게 선택해 구현하는 모델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쓰는 만큼 이번 협업에서 카카오가 오픈AI모델을 본격적으로 채택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또한 올트먼은 국내 유수 경영진과도 만남을 가질 예정이다. 전영현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부회장을 비롯한 삼성전자 경영진과의 회동도 잡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 자리에 이재용 회장이 함께 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올트먼은 이날 오전 최태원 회장과도 만나 양사 간AI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앞서 최 회장은 지난해 1월 방한한 올트먼과 만난 데 이어 같은 해 6월 미국 출장 당시 샌프란시스코 오픈AI본사를 답방한 바 있다. 이 자리에서 AI산업 전반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올트먼은 한국 방문에 앞서 일본에서도 광폭 행보를 이어갔다. 전날 올트먼CEO는 일본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과 면담했다.
오픈AI는 지난해 4월 일본에 아시아 첫 법인을 설립한 바 있다. 또한 소프트뱅크와 718조원을 투자해 미국AI인프라의 주축이 될 스타게이트를 설립하기로 했다.
싱가포르에도 지난해 10월 현지 사무소를 개설하고 기업과 연구기관의AI활용을 지원하는 AI싱가포르이니셔티브에도 협력하고 있다.
올트먼은한국 일정을 마치면 곧바로 인도로 날아가 아시아 일정을 이어갈 예정이다.
올트먼이 이처럼 아시아에서 협업 확대 등 공을 들이는 것은 딥시크를 견제하고 아시아 AI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딥시크는 최근추론형 AI R1을 공개했다. R1은 일부 성능 테스트에서 오픈 AI가 지난해 9월 출시한 o1을 뛰어넘었다. 딥시크의 기술보고서를 보면 R1은 미국 수학경시대회AIME 2024 문제를 푸는 테스트에서 79.8%의 정확도를 기록해 o179.2%보다 뛰어난 성능을 나타냈다.
게다가 딥시크는 AI 개발에 오픈 AI보다 훨씬 적은 비용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블룸버그는 "딥시크가 저예산으로 오픈AI와 맞먹는 성과를 보여줬다"며 "올트먼은 이번 순방에서 자사의AI모델에 계속 투자할 가치가 있다는 메시지를 보낼 것"으로 내다봤다.
Copyright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소프트뱅크·오픈AI, 日합작사 SB 오픈AI 재팬 출범
[숏츠]중국발 AI 딥시크 , 창업자 량원평은 누구?
오픈AI 샘 올트먼 CEO "중국 딥시크 AI, 놀랍지 않다"
오픈AI 샘 올트먼 방한...카카오 등 국내 기업과 협력 발표할 듯
챗GPT 4o1 vs 딥시크 R1 검색·추론·문장·이미지 비교해보니
관련링크
- 이전글트럼프, 멕시코 관세 유예…무역 긴장 완화 25.02.04
- 다음글AI 굴기 이어 양자에도 22조 붓는 中…기술 경쟁 뒤처지는 한국 25.02.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