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관세 유예에 낙폭 축소…일단 안도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경제TV 박근아 기자]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영향으로 급락 출발했다가 멕시코에 대한 관세가 한 달간 유예됐다는 소식에 낙폭을 크게 줄었다.
3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22.75포인트0.28% 내린 44,421.91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amp;P500지수는 전장보다 45.96포인트0.76% 밀린 5,994.57, 나스닥종합지수는 235.49포인트1.20% 떨어진 19,391.96에 거래를 마감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주가지수는 롤러코스터를 탔다. 이날 3대 주가지수는 급락으로 출발했다. 지난 1일 트럼프가 캐나다와 멕시코의 수입품에 25%, 중국 수입품엔 1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해 투매를 촉발했다.
나스닥 지수는 전장 대비 2.10% 급락하며 개장했고 Samp;P500 지수도 -1.17%로 장을 열었다. 장 중 나스닥 지수는 -2.48%, Samp;P500 지수는 -1.93%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이날 오전 트럼프가 멕시코에 대한 관세를 한 달 유예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가지수는 빠르게 낙폭을 줄였다.
트럼프는 소셜 미디어 트루스소셜에서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과 대화했고 우리는 멕시코에 오는 4일부터 부과할 관세를 1개월 동안 즉시 보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장의 기대대로 트럼프가 관세 부과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협상 도구로 활용하는 것으로 보이자 공포감이 옅어지면서 저가 매수세가 촉발됐다.
맥쿼리의 티에리 위즈먼 글로벌 외환 및 금리 전략가는 "우리는 여전히 미국이 동맹국에 대해 영구 관세를 부과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본다"며 "트럼프의 문제를 다루기에는 양보가 더 쉬운 방법이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전통 산업군에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엄포성이라는 믿음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멕시코 관세 유예 발표 후 우량주 위주의 다우지수는 -1.49%에서 한때 양전하기도 했다. 월마트와 비자, 유나이티드헬스그룹, 프록터앤드갬블, 버라이즌은 모두 1% 넘게 상승하기도 했다.
중국에 대한 관세는 여전히 정해지지 않아 중국에 익스포저위험 노출가 큰 기업은 약세를 면치 못했다. 트럼프는 이날부터 24시간 동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대화할 것이라고 백악관은 밝혔다.
반도체 기업 위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1.82%로 마감했다.
애플은 -3.39%를 기록했고 엔비디아도 -2.84%로 장을 마감했다. 테슬라는 -5.17%까지 낙폭을 커졌다. 알파벳과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도 약보합권이었다.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인 거대 기술기업 중 메타만 유일하게 1% 이상 올랐다.
업종별로 보면 임의소비재와 재료, 기술은 1% 이상 떨어진 반면 필수소비재와 에너지, 유틸리티는 올라 혼조 양상이 뚜렷했다.
사진=연합뉴스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영향으로 급락 출발했다가 멕시코에 대한 관세가 한 달간 유예됐다는 소식에 낙폭을 크게 줄었다.
3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22.75포인트0.28% 내린 44,421.91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amp;P500지수는 전장보다 45.96포인트0.76% 밀린 5,994.57, 나스닥종합지수는 235.49포인트1.20% 떨어진 19,391.96에 거래를 마감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주가지수는 롤러코스터를 탔다. 이날 3대 주가지수는 급락으로 출발했다. 지난 1일 트럼프가 캐나다와 멕시코의 수입품에 25%, 중국 수입품엔 1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해 투매를 촉발했다.
나스닥 지수는 전장 대비 2.10% 급락하며 개장했고 Samp;P500 지수도 -1.17%로 장을 열었다. 장 중 나스닥 지수는 -2.48%, Samp;P500 지수는 -1.93%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이날 오전 트럼프가 멕시코에 대한 관세를 한 달 유예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가지수는 빠르게 낙폭을 줄였다.
트럼프는 소셜 미디어 트루스소셜에서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과 대화했고 우리는 멕시코에 오는 4일부터 부과할 관세를 1개월 동안 즉시 보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장의 기대대로 트럼프가 관세 부과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협상 도구로 활용하는 것으로 보이자 공포감이 옅어지면서 저가 매수세가 촉발됐다.
맥쿼리의 티에리 위즈먼 글로벌 외환 및 금리 전략가는 "우리는 여전히 미국이 동맹국에 대해 영구 관세를 부과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본다"며 "트럼프의 문제를 다루기에는 양보가 더 쉬운 방법이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전통 산업군에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엄포성이라는 믿음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멕시코 관세 유예 발표 후 우량주 위주의 다우지수는 -1.49%에서 한때 양전하기도 했다. 월마트와 비자, 유나이티드헬스그룹, 프록터앤드갬블, 버라이즌은 모두 1% 넘게 상승하기도 했다.
중국에 대한 관세는 여전히 정해지지 않아 중국에 익스포저위험 노출가 큰 기업은 약세를 면치 못했다. 트럼프는 이날부터 24시간 동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대화할 것이라고 백악관은 밝혔다.
반도체 기업 위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1.82%로 마감했다.
애플은 -3.39%를 기록했고 엔비디아도 -2.84%로 장을 마감했다. 테슬라는 -5.17%까지 낙폭을 커졌다. 알파벳과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도 약보합권이었다.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인 거대 기술기업 중 메타만 유일하게 1% 이상 올랐다.
업종별로 보면 임의소비재와 재료, 기술은 1% 이상 떨어진 반면 필수소비재와 에너지, 유틸리티는 올라 혼조 양상이 뚜렷했다.
사진=연합뉴스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화장품 아니어도 대박 터져"…K-뷰티 역대급 수출에 덩달아 웃는 곳 25.02.04
- 다음글장 초반 급락했던 뉴욕증시…멕시코 관세 유예 합의에 낙폭 줄며 장 마감 25.02.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