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혈주의 파괴 3년…롯데 구원투수 성과는
페이지 정보
본문
유통 쇄신하려 외부인사 수혈
이달 정기인사 앞두고 거취 촉각
베트남서 성과 낸 롯데百 정준호
강성현, 마트 체질개선 이뤄내
적자축소 롯데온, 그룹 전략 필요
이달 정기인사 앞두고 거취 촉각
베트남서 성과 낸 롯데百 정준호
강성현, 마트 체질개선 이뤄내
적자축소 롯데온, 그룹 전략 필요
오랫동안 ‘순혈주의’를 고집해온 롯데그룹은 2021년 말 유통 부문에 외부 인사를 대거 수혈했다. 롯데 유통 사업을 총괄하는 자리엔 김상현 전 홈플러스 부회장을, 롯데백화점 대표엔 신세계 출신의 정준호 롯데GFR 대표를 앉혔다. 롯데마트를 이끄는 보스턴컨설팅그룹BCG 출신의 강성현 대표를 부사장으로 승진시키고, e커머스사업부 대표도 외부 인사로 채웠다. 그룹의 핵심 축인 유통 부문을 쇄신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였다.
이달 롯데그룹 정기 임원 인사를 앞두고 ‘탈脫순혈주의’ 핵심 인사로 거론되는 계열사 수장들의 거취에 이목이 쏠린다.
정 대표는 대내외적으로 “신세계 출신답게 디자인과 명품에 강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표적 사례가 베트남에 지은 복합쇼핑몰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다. 하노이에 없던 명품 브랜드와 K패션·K푸드를 앞세워 1년 만에 방문객 1000만 명을 돌파했다. 지난 1월 사장단 회의에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시장을 선도하는 사업 모델’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국내에서 운영 중인 복합쇼핑몰은 신세계, 현대 등 경쟁사보다 ‘킬러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평가다. 최근 정 대표가 새로운 개념의 복합쇼핑몰 타임빌라스 확대 계획을 내놓은 것도 이 때문이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이제 백화점은 단순한 쇼핑 공간이 아니라 즐기는 곳이 돼야 하는데, 롯데는 여전히 상품을 잔뜩 늘어놓고 파는 과거 성공 방정식을 따른다”며 “스타필드와 더현대서울처럼 롯데만의 성공 모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마트산업이 전반적으로 침체한 상황에서 확실한 ‘반전 카드’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롯데마트가 지난해 말 야심 차게 내놓은 신선식품 특화 점포 ‘그랑그로서리’는 초기 집객은 잘됐지만, 올 2분기 방문객과 매출 상승률이 전년 동기 대비 10%에 그쳤다.
롯데그룹의 ‘아픈 손가락’인 롯데온은 올 들어 손실 폭은 줄였지만, 여전히 적자에 시달리고 있다. 롯데그룹은 지난해 말 이베이코리아 출신의 나영호 대표를 경질한 뒤 글로벌 사모펀드 어피너티 출신의 박익진 대표를 선임했다. 하지만 경영진 교체에도 1~3분기 롯데온은 615억원 적자를 냈다.
롯데온이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선 김 부회장이 확실한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롯데그룹의 한 전직 임원은 “오프라인을 중심으로 성장한 롯데 유통이 ‘제2의 도약’을 하려면 계열사를 아우르는 온라인 전략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선아/라현진 기자 suna@hankyung.com
이달 롯데그룹 정기 임원 인사를 앞두고 ‘탈脫순혈주의’ 핵심 인사로 거론되는 계열사 수장들의 거취에 이목이 쏠린다.
해외에서 가능성 본 롯데百
1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그룹은 이르면 이달 정기 인사를 단행한다. 최대 관심사는 정 대표의 연임 여부다. 신세계그룹에서 20년 이상 근무한 그는 롯데백화점의 첫 외부 출신 대표다. 애초 임기는 올해 3월까지였는데, 지난해 말 유임과 함께 사장으로 승진했다.
정 대표는 대내외적으로 “신세계 출신답게 디자인과 명품에 강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표적 사례가 베트남에 지은 복합쇼핑몰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다. 하노이에 없던 명품 브랜드와 K패션·K푸드를 앞세워 1년 만에 방문객 1000만 명을 돌파했다. 지난 1월 사장단 회의에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시장을 선도하는 사업 모델’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국내에서 운영 중인 복합쇼핑몰은 신세계, 현대 등 경쟁사보다 ‘킬러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평가다. 최근 정 대표가 새로운 개념의 복합쇼핑몰 타임빌라스 확대 계획을 내놓은 것도 이 때문이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이제 백화점은 단순한 쇼핑 공간이 아니라 즐기는 곳이 돼야 하는데, 롯데는 여전히 상품을 잔뜩 늘어놓고 파는 과거 성공 방정식을 따른다”며 “스타필드와 더현대서울처럼 롯데만의 성공 모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마트, 성장 전략 내놔야”
롯데마트는 2020년 말부터 BCG 출신의 강 대표가 이끌고 있다. 그는 2020년 점포 수 축소, 2021년 희망퇴직, 2022년 롭스 철수 등 비용 절감에 총력을 기울였다. 롯데마트는 지난해 매출 5조7347억원, 영업이익 873억원을 거뒀다. 강 대표가 맡기 전인 2020년과 비교하면 매출은 7%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46배 늘었다.
하지만 마트산업이 전반적으로 침체한 상황에서 확실한 ‘반전 카드’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롯데마트가 지난해 말 야심 차게 내놓은 신선식품 특화 점포 ‘그랑그로서리’는 초기 집객은 잘됐지만, 올 2분기 방문객과 매출 상승률이 전년 동기 대비 10%에 그쳤다.
롯데그룹의 ‘아픈 손가락’인 롯데온은 올 들어 손실 폭은 줄였지만, 여전히 적자에 시달리고 있다. 롯데그룹은 지난해 말 이베이코리아 출신의 나영호 대표를 경질한 뒤 글로벌 사모펀드 어피너티 출신의 박익진 대표를 선임했다. 하지만 경영진 교체에도 1~3분기 롯데온은 615억원 적자를 냈다.
롯데온이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선 김 부회장이 확실한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롯데그룹의 한 전직 임원은 “오프라인을 중심으로 성장한 롯데 유통이 ‘제2의 도약’을 하려면 계열사를 아우르는 온라인 전략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선아/라현진 기자 suna@hankyung.com
관련링크
- 이전글[임기 반환점] 가계빚 관리는 오락가락 밸류업은 지지부진 24.11.10
- 다음글포탄 전쟁 아닌 글로벌 무역 전쟁…한국 경제 유탄 걱정 24.11.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