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의 일 아냐"…티몬·위메프 사태에 이커머스업계 긴장 고조
페이지 정보
본문
허약한 재무구조가 촉매…경쟁사들도 재무 건전성 문제
체질개선 작업 박차 가할 듯…"이커머스 재편 신호탄" 관측도 서울=연합뉴스 전성훈 기자 = 티몬과 위메프의 대규모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를 바라보는 국내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업계의 심정은 편치 않다. 경쟁사들은 결국 터질 게 터졌다는 반응과 함께 남의 일이 아니라는 생각에 사태 추이를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2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번 사태 이면에는 티몬·위메프의 허약한 재무 건전성이 자리 잡고 있다. 티몬과 위메프는 수년 전부터 매년 막대한 영업손실을 기록해왔다. 2022년 기준 티몬의 자본총계는 -6천386억원이다. 결손금은 1조2천644억원에 달한다. 결손금은 영업 활동에서 발생한 누적 손실액을 말한다. 지난해 위메프 자본총계는 -2천398억원, 결손금은 7천560억원이었다. 위메프는 2019년 5천287%의 부채비율을 기록한 뒤 2020년부터 줄곧 자본잠식 상태에 있다. 티몬의 부채비율도 2019년 이래 120% 안팎을 보이고 있다. 두 기업의 외부 감사인은 나란히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 능력이 불확실하다는 감사 의견을 냈다. 이런 재무 상황은 이번 사태의 폭발력을 키운 빌미가 됐다. 위메프는 판촉할인율 오류를 이유로 이달 8일 정산일에 400개 안팎의 판매자에 대한 대금 지급을 일시 중단했다. 사실 위메프는 당시 정산금 지급 여력이 충분했다고 한다. 해당 판매자들에게도 판촉할인율 오류를 바로잡는 대로 정산을 재개하겠다고 개별 공지했다. 하지만 문제는 티몬에서 터졌다. 위메프의 정산 일시 중단에 불안을 느낀 티몬 입점 판매자들이 대거 이탈하면서 순식간에 자금 경색이 온 것이다. 재무 구조가 위메프보다 훨씬 허약한 티몬은 그동안 판매대금 돌려막기로 간신히 정산일을 맞춰왔다. 하지만 거래 규모가 큰 중대형 판매자가 이탈하자 돌려막기 시스템이 더는 작동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위메프가 판매를 중단한 지난 8일부터 티몬이 정산 지연을 공지한 지난 22일까지 걸린 기간은 불과 보름이다. 보름 만에 월평균 거래액이 6천억원대티몬, 3천억원대위메프인 거대 종합 이커머스 플랫폼이 순식간에 무너져 내린 것이다. 업계에서는 싱가포르에 기반을 둔 모기업 큐텐이 지난해부터 일부 판매대금 정산을 지연한 점과 티몬과 위메프의 부실한 재무 구조가 판매자들 사이에서 빠른 속도로 알려지면서 불안감이 증폭한 게 사태의 촉매제가 된 것으로 본다. 업계 관계자는 "정산 못 받은 판매자는 물론 제때 정산받은 중대형 판매자들까지 동요하며 썰물처럼 플랫폼을 빠져나가면서 결국 티몬이 지급 불능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 추이를 지켜본 경쟁사들도 재무 건전성 문제를 안고 있어 티몬과 위메프 사태를 강 건너 불 보듯 할 수 없는 상황이다. 11번가, 컬리 등은 최근 수년간 매년 1천억원 안팎의 영업손실을 기록했고 G마켓도 2022∼2023년 누적 1천억원에 가까운 영업손실을 냈다. 기업의 단기 재무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순운전자본유동자산유동부채을 보면 지난해 기준 G마켓만 414억원으로 플러스를 보였고 11번가는 -1천65억원, 컬리는 -446억원이었다. 지난해 처음 연간 1천억원대 영업이익 흑자를 낸 쿠팡도 그동안 매년 적자를 낸 여파로 지난해 순운전자본이 -1조4천942억원에 이른다. 이번 사태 여파로 이커머스 플랫폼의 재무 건전성에 경각심을 갖게 된 판매자들로서는 어느 플랫폼에서 거래하든 불안을 느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 이커머스 업체 관계자는 "티몬·위메프 사태 이후 너희는 괜찮냐는 취지의 판매자 문의가 많다"고 말했다. 문제는 시간이 갈수록 격화하는 이커머스 업계 출혈 경쟁으로 이런 상황이 개선될 여지가 크지 않다는 데 있다. 각 업체는 그동안 진력해온 외형 키우기 시도를 접고 지난해부터 일제히 비용 절감을 통한 내실 다지기로 방향을 틀었지만, 가시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초저가 상품을 내세운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의 한국 시장 진입으로 가격 경쟁이 더 심화한 것도 부정적인 요소다. 업계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가 이커머스 시장 재편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판매자와 고객이 좀 더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몰려들 수 있다는 얘기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번 사태로 이커머스를 바라보는 시각에 어느 정도 변화가 예상된다"며 "이는 각 플랫폼이 재무 개선 노력에 박차를 가하는 채찍이 될 수도 있다"고 짚었다. lucho@yna.co.kr 끝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저작권자c> |
관련링크
- 이전글제주 땅값 유일한 하락…서초 아파트는 40억 신고 24.07.28
- 다음글신세계百, 케이스티파이 갤럭시 케이스 팝업…"체험 요소 가득" 24.07.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