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서워서 외식 못 해요"…냉면 한 그릇 1만2천원 육박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무서워서 외식 못 해요"…냉면 한 그릇 1만2천원 육박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5회 작성일 24-05-17 20:11

본문

뉴스 기사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지난달 서울에서 파는 냉면 한 그릇 평균 가격이 1만 2천원까지 올랐습니다. 냉면 재료인 채소·과일 값이 오르면 냉면이 비싸지고 김값이 뛰면 김밥이 비싸지는 식으로, 식자재 가격 인상이 외식 가격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정아람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에서 냉면집을 운영하는 김정훈 씨는 올해부터 냉면값을 1만3000원으로, 1000원 올렸습니다.

[김정훈/냉면가게 운영 : 부자재들부터 식재료들이 많이 들어가거든요. 그런 것들이 대부분 10%, 20%, 많게는 한 40% 이상 오르는 것도 있고, 아무래도 가격을 올리지 않을 수 없는…]

가격을 인상하는 마음은 편치 않습니다.

[김정훈/냉면가게 운영 : 작년에도 또 올랐는데 올해 또 오르고 하니까 불만이 있으신 분들도 계시고 해서, 그런 부분들을 조금 더 어떻게 보완해 드릴 수 있을까…]

지난달 서울지역 냉면 평균 가격은 1만2000원에 육박했습니다.

한 달 전보다 150원, 1년 전보단 800원 가까이 오른 겁니다.

육수와 고명에 들어가는 채소와 과일값이 급등한 여파입니다.

다른 메뉴도 마찬가지입니다.

주요 재료인 김과 채소 가격이 뛰면서, 4인 가족이 김밥을 사 먹으려면, 1년 전보다 천원을 더 내야 합니다.

삼계탕과 비빔밥도 2000원 넘게 더 듭니다.

먹거리 가공식품뿐 아니라 외식비까지 치솟자, 서민들은 밥 한 끼 사 먹기가 부담스럽습니다.

[이상화/서울 증산동 : 외식 값이 너무 많이 올라서 지금은 7천원, 8천원짜리는 찾기가 힘들잖아요. 칼국수 같은 것도 1만원은 줘야 먹으니까 무서워서 외식을 못 해요.]

정부는 어제16일 간담회를 열고, 외식업계가 물가 부담 완화에 동참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당장 가격을 내리긴 현실적으로 어려워 보입니다.

[영상디자인 강아람 오은솔]

정아람 기자 aa@jtbc.co.kr [영상취재: 이학진 / 영상편집: 박인서]

[핫클릭]

군사법원, 박정훈 항명 재판에 이종섭 증인 채택

해당 업주도 "조금 무례했지요"…피식대학 비난 폭주

"대통령 얼굴 잘렸다" 용산서 온 전화…"북한이냐"

성인때까지 아동수당 준다고? 한국인 부모 놀란 이유

김호중, 변호인에 조남관 전 검찰총장 대행 선임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494
어제
1,607
최대
2,563
전체
410,61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