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반도체 보조금 흔드는데…TSMC 웃는 까닭
페이지 정보

본문
韓 기업들 반도체 보조금도 손댈 가능성
발빠른 현지생산 TSMC는 자신감 표출
트럼프 2기 출범으로 한국 기업들이 반도체지원법CSA에 따른 보조금을 예정대로 받을 수 있을지 우려가 커졌다. 반면, 대만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 TSMC는 자신감을 내비치고 있다. 미국이 원하는 현지 생산에 발빠르게 대응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미국 정부로부터 47억4500만달러6조9000억원, SK하이닉스는 4억5800만달러6600억원 상당의 보조금을 받기로 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기조에 맞지 않는 바이든 행정부 시기 정책들을 뒤집고 있어 수령까지 장담하긴 어렵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 지명자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상원 인사청문회에서 반도체법에 따른 보조금을 받기로 미국 정부와 확정한 계약을 이행할 것인지 묻는 말에 "내가 읽지 않은 무엇을 이행할 순 없다"며 "우리가 이것을 검토해 제대로 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이보다 하루 전날에는 배스 백악관 예산관리국OMB 국장대행이 각 정부 기관에 반도체CHIPS 인센티브 프로그램 등 연방 차원의 보조금·대출금 지출을 잠정 중단하겠다고 공지했다.
이런 조치들이 본격화할 경우 미국에 대규모 설비투자를 추진 중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의 보조금에도 지장이 생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이 원하는 자국 내 첨단 반도체 생산까지 상당한 시일이 소요된다고 판단하면 이미 체결된 계약을 뒤집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우리 기업들의 상황과 자주 비교되는 건 대만 TSMC다. 이미 보조금 66억달러 가운데 15억달러약 2조2000억원를 수령했다. 웬델 황 TSMC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최근 미국 CN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정부에서도 보조금이 계속 유입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자신했다.
차이는 이렇다. TSMC는 현지 공장 투자 시기를 늦춘 한국 기업들과 달리 빠르게 미국 내 첨단 칩 생산을 시작했다. 2020년부터 애리조나주에 투자를 시작했고, 지난해 4월에는 미국 내 투자 규모를 650억달러약 95조원까지 늘려 반도체 공장을 3곳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첫 번째 공장은 이미 4㎚1㎚=10억분의 1m 칩 양산을 시작했다. 미국에서의 4㎚급 반도체 생산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애플과 엔비디아 등에 공급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의 미국 내 첨단 반도체 생산은 빨라야 내년 하반기부터 가능할 전망이다. 미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파운드리 공장을 짓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에 인공지능AI 메모리용 어드밴스드 패키징 생산 기지를 세우기로 했다. 이곳 공장에서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을 양산하겠다는 구상인데, 가동 시기는 2028년 하반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 속도는 보조금 규모에도 차이를 만들었다. 삼성전자의 투자금액 대비 보조금 비율은 약 13% 수준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다. 다만 여타 해외 기업들이 당초 책정된 수준에서 보조금을 확정지은 반면, 삼성전자는 삭감 폭이 컸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440억달러로 계획했던 대미 투자 규모를 370억달러로 줄였다. 투자금액은 16% 줄었지만, 그 사이 보조금은 26% 깎였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모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받기로 한 보조금이 줄어들면 공장 착공부터 생산까지 각 기업들이 구상했던 시간표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상황이 구체적으로 전개된 건 없다"면서도 "계속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우리 기업들에 대한 보조금이 축소될 경우 미국이 원하는 현지 생산에도 문제가 생기는 만큼 보조금 지급을 낙관하는 시선도 있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보조금이 줄면 착공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며 "기업들의 생산이 지연되면 미국도 손해"라고 짚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관련기사]
☞ "딸이 올린 틱톡 영상 불쾌해"…10대 딸에 방아쇠 당긴 아버지
☞ 국민아이돌 성상납 의혹 여파…"광고수입 2200억 감소 전망"
☞ 카메라 앞에서 통곡한 女 가수…"내 모든 사람이 공격받고 있다"
☞ "평일에 술먹다 걸리면 작살" "형님·언니 호칭 안돼"…칼 빼든 금융사
☞ "백화점은 1억 써야 하는데…여긴 40만~500만원이면 VIP 된다"
▶ 2025년 사주·운세·토정비결·궁합 확인!
▶ 딥시크 후폭풍, 요동치는 증시!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관련링크
- 이전글중국 AI, 저비용으로 미국을 따라잡다 [PADO] 25.02.01
- 다음글67명死 항공 참사에…트럼프 장애인 채용 탓했다 뭇매 25.01.3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