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3.6% 뛸 때 월급 2.8% 찔끔…금융위기 후 최대 격차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5-01-31 01:13 조회 30 댓글 0본문
실질소득 마이너스 폭 더 커져
물가 상승률 상위 9개가 먹거리
물가 상승률 상위 9개가 먹거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2022년부터 2년 연속 근로소득 증가율을 웃돈 것으로 집계됐다. 식료품·에너지 등 주요 품목 가격이 뛰어오르는 속도를 임금 인상분이 쫓아가지 못한 것이다. 근로소득 증가율과 물가 상승률 격차도 글로벌 금융위기 충격이 덮친 2009년 이후 가장 크게 벌어졌다.
3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임광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귀속연도 1인당 평균 근로소득총급여 기준은 4332만원으로 1년 전4213만원보다 2.8% 증가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2.3% 이후 가장 낮고, 2014년 이후 10년 평균치3.6%를 한참 밑돈다.
반면 같은 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3.6%로 근로소득 증가율을 0.8% 포인트 웃돌았다. 2022년에도 근로소득 증가율4.7%보다 물가 상승률5.1%이 0.4% 포인트 더 높았는데, 1년 새 격차가 더 벌어졌다. 근로소득 상승률보다 물가 상승률이 더 큰 건 2009년-2.0% 이후 2022년이 처음이었다. 임 의원은 “근로소득자의 소득 증가세가 약해지며 물가를 고려한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소득의 마이너스 폭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물가 상승 여파는 먹거리에 집중되며 체감 물가 부담을 키우고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 물가 조사 품목458개의 물가 상승률 상위 10개 중 9개가 과일·채소 등 식료품으로 집계됐다. 배는 재고량 부족에 폭염 등의 여파로 출하량이 줄며 가격이 71.9% 급등했다. 과일류인 귤46.2%과 감36.6%, 사과30.2%를 비롯해 채소류인 배추25.0%, 무24.5% 가격도 급등했고, 김21.8%, 토마토21.0%, 당근20.9% 등도 20%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먹거리를 제외한 물가 상승 10위권 품목은 컴퓨터 수리비30.1%뿐이었다.
다만 물가 상승세가 둔화 국면에 들어서며 근로소득과의 격차도 점차 축소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난해 물가상승률은 2.3%로 전년3.6% 대비 1.3% 포인트 떨어진 반면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에서 집계된 전체가구 근로소득 증가율은 지난해 2분기3.9%, 3분기3.3%로 회복세에 들어섰다. 조동철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은 최근 국민일보와의 인터뷰2025년 1월 10일자 28면에서 “최근 임금 상승률이 물가 상승률을 상회하면서 내수 회복 여건이 마련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세종=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
[국민일보 관련뉴스]
- ‘토마토 없는 버거’가 나온 까닭은… ‘헤징메뉴’가 뜬다
- 설 이웃 간 참극… 천안 50대 여성, 흉기에 찔려 심정지
- 김해공항 사고 원인 지목된 ‘보조배터리’…반입 규정 강화되나
- 日 빈집서 1000억 넘게 털렸다… 지도앱으로 표적 물색
- 우리아이 세뱃돈 어디 넣을까… 최대 10% 고금리 출동
- 왜 월요일부터 시작?… 빙그레 이상한 달력 시끌 [재계뒷담]
- 트럼프 “韓세탁기 관세 아니었다면…” 성공사례로 지목
- 변호사 만난 尹 “김 여사 건강 걱정돼…계엄 선포는 헌법상 권한”
- 추미애 “지난해 12월 휴전선 인근서 軍 무인기 발견”
- ‘연봉 1억6000만원’ 국회의원, 설 상여금은 얼마
- 요즘 여론조사를 이해하는 3가지 포인트 [뉴스톡!]
- 최장 9일 설 연휴, 피곤 풀리지 않으면 ‘피로 증후군’ 의심
▶ 네이버에서 국민일보를 구독하세요클릭
▶ ‘치우침 없는 뉴스’ 국민일보 신문 구독하기클릭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