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업계, 지난해 휘발유·경유 수출량 사상 최대
페이지 정보

본문

울산광역시 남구 고사동에 위치한 SK이노베이션 울산 콤플렉스 전경. 사진제공=SK이노베이션
지난해 국내 정유업계가 수출한 휘발유와 경유 물량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대한석유협회는 지난해 SK에너지·GS칼텍스·에쓰오일·HD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사가 수출한 휘발유가 1억1189만 배럴, 경유는 2억166만배럴로 집계됐다고 2일 밝혔다. 휘발유와 경유 수출 실적은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92년 이후 최대치다.
고부가 제품인 항공유 수출량도 전년 대비 3% 늘어난 8826만 배럴에 달했다. 이에 전체 석유제품 수출도 전년보다 4.8% 증가한 4억9045만 배럴로, 2018년에 이어 역대 2위였다. 이는 서울월드컵경기장을 약 33번 가득 채우는 물량이다. 지난해 우리나라가 수입한 원유 중 52.5%를 정제해 수출한 셈으로, 원유 도입량 중 수출 비중도 최고치였다.
다만 수출량 증가에도 석유제품 수출액은 국제유가 하락 여파로 전년보다 2.9% 감소한 451억7000만달러약 61조6000억원로 집계됐다.
석유협회는 "휘발유, 경유 수출량 최대치 기록은 지난해 글로벌 정제마진 약세로 경영 여건이 악화한 가운데 국내 정유사가 경질석유 제품 수출 확대로 돌파구를 모색한 결과"라고 풀이했다.
제품별 수출량 비중은 경유가 41.1%로 가장 높았고 이어 휘발유 22.8%, 항공유 18%, 나프타 8.1% 순이었다. 휘발유 수출은 전년보다 12.1% 늘어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그중에서도 대일본 수출량이 33% 급증했다. 일본은 탈탄소화 및 에너지 절약 일환으로 정유 공장을 통폐합했는데, 지난해 엔저로 해외 관광객이 급증하면서 휘발유와 항공유 부족 사태를 겪었다.
국가별 수출량은 호주 18%, 일본 12.9%, 싱가포르 12.5%, 미국 8.8%, 중국 8.7% 순으로 일본이 싱가포르를 제치고 2위로 올라섰다.
석유협회는 "올해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른 에너지·통상 정책 영향 등으로 불안정성이 높아져 석유제품 수출 환경도 녹록지 않을 것"이라며 "정유업계는 정제경쟁력을 기반으로 수출국 다변화와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에 주력해 석유제품 수출의 질을 더욱 높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관련기사]
☞ "딸이 올린 틱톡 영상 불쾌해"…10대 딸에 방아쇠 당긴 아버지
☞ "평일에 술먹다 걸리면 작살" "형님·언니 호칭 안돼"…칼 빼든 금융사
☞ 재혼 후 명절에 시댁 방문…"전 며느리와의 비교가 가장 불편해" 1위
☞ 차고에서 7만원에 산 그림이 반 고흐 진품…실제 가치 216억
☞ 카메라 앞에서 통곡한 女 가수…"내 모든 사람이 공격받고 있다"
▶ 2025년 사주·운세·토정비결·궁합 확인!
▶ 딥시크 후폭풍, 요동치는 증시!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관련링크
- 이전글"시세차익 최대 4억"…세종서 아파트 줍줍 3가구 나와 25.02.02
- 다음글韓가전·배터리 생산기지 캐나다·멕시코에 고관세…전략 수정 불가피 25.02.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