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무안 여객기 사고 관련 2차 대국민 발표…"1조5000억 보험 활용...
페이지 정보
본문
김이배 대표 “유가족께 깊은 애도와 사과”
직원 260명 이상 무안공항 파견해 탑승자 가족 지원
“10억 달러 배상책임보험 활용해 유가족 지원”
무안공항 폐쇄 관련 인천공항·일정 변경 등 지원
제주항공은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활주로 이탈 사고와 관련해 이날 오후 6시 2차 브리핑을 가졌다. 2차 브리핑은 1차오후 2시 개최와 마찬가지로 서울 강서구 소재 메이필드호텔B1 오키드홀에서 열었다.
제주항공은 이날 사고와 관련해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이사는 대국민 사과를 발표했다. 김이배 대표는 “탑승객과 유가족분들께 깊은 애도와 사과를 올린다”며 “사고 원인에 대해서는 현재 정부 기관의 공식적인 조사를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지만 사고 원인을 불문하고 최고경영자로서 책임을 통감한다. 제주항공은 빠른 사고 수습과 탑승자 가족 지원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고 정부와 함께 사고 원인 규명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경훈 제주항공 경영지원본부장은 현장 대응 상황을 공유했다. 송경훈 경영지원본부장은 “현재 260명 규모 탑승자 가족 지원 팀을 무안공항에 파견했고 사고 조사 팀도 별도로 꾸렸다”고 밝혔다. 이어 “사고 여객기는 10억 달러약 1조4760억 원 규모 배상책임보험에 가입돼 있어 이를 활용해 최선을 다해 유가족들을 지원할 것”이라며 “무안공항 활주로가 내년 1월 1일까지 폐쇄될 예정으로 공항 이용이 예정된 고객들에 대해서는 인천공항을 활용하거나 필요 시 일정 변경 등을 통해 불편함이 없도록 지원하겠다”고 했다.
제주항공은 사고 발생 직후 전사 비상회의체를 소집하고 오후 1시경 무안공항에 현장대책본부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현장 인근에 임시 영안실을 마련해 인명피해 상황을 확인 중이다.
제주항공에 따르면 이날 9시 3분경 태국 방콕을 출발해 전남 무안국제공항에 착륙 중이던 7C 2216편이 활주로 말단 지점에서 이탈해 공항 외벽에 부딪혔고 항공기에서는 화재가 발생했다. 이 항공기에는 승객 175명한국인 173명, 태국인 2명과 승무원 6명 등 총 181명이 탑승했다. 기적적으로 승무원 2명이 구조돼 병원으로 이송됐다. 현장에서는 사고를 수습 중인 상황이다. 현재까지 확인된 사망자는 174명으로 알려졌다.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항공기가 공항 담장과 충돌한 이후 기체 밖으로 승객이 쏟아졌다. 항공기가 공항 외벽과 충돌하면서 동체가 갈라지거나 크게 손상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충돌과 함께 승객들이 외부로 튕겨져 나오면서 시신 신원확인과 수습에도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생존자인 승무원 2명은 기체 후미에서 구조됐다고 한다. 생존자가 구조된 기체 꼬리 칸 외에 다른 부분은 화재로 인해 형체를 알아볼 수 없는 상태로 전해졌다. 소방당국 측도 구조된 2명 외에 생존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한다.
제주항공에 따르면 사고 여객기 기종은 보잉 B737-800이다. 항공기 번호는 HL8088, 기령은 15년으로 지난 2009년 2월 3일 제작된 기체다. 해당 여객기는 이번에 무안공항 착륙과정에서 바퀴랜딩기어를 펼치지 않고 몸체가 땅에 닿은 채로 동체착륙을 시도했다. 위급한 상황으로 인해 비상착륙이 이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해당 여객기 정비 현황에 대해서는 출·도착 전 점검과 24시간 점검 등이 특이사항 없이 모두 이뤄졌다고 한다.
국토교통부는 사고 원인에 대해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과 랜딩기어 오작동 등이 거론되고 있는데 정확한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또한 무안공항 활주로 길이2800m가 짧아서 사고가 발생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사고현장 제보 영상 등을 통해 이번 여객기 사고 원인을 조류 충돌로 보고 있다. 한 영상에는 착륙을 앞두고 고도를 낮춰 운항 중이던 여객기 오른쪽 날개 엔진에 정체불명의 물체가 충돌하는 모습이 담겨있다. 이날 무안공항 관제탑에서도 사고 여객기 조종사에게 조류 충돌 주의 경보를 줬다고 한다. 이후 조종사가 메이데이를 선언한 것으로 전해진다. 구조된 생존자도 조류 충돌을 언급했다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 조류 충돌에 의한 항공기 사고는 지난 2009년 미국 뉴욕에서 발생한 유나이티드 항공기의 허드슨강 비상착륙 사고가 대표적이다. 이번에 사고가 발생한 전남 무안공항 주변은 습지가 많아 조류활동이 활발한 지역으로 꼽힌다고 한다. 일각에서는 경제발전에 따른 도시화 등으로 인해 조류 서식지가 밀려나면서 상대적으로 인적이 드문 공항 인근에 조류들이 생활하기 적합한 환경이 갖춰지기도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한편 이번 사고와 관련해 사단법인 한국민간항공조종사협회도 사고 원인 규명과 사고수습 과정에서 필요한 지원과 협조를 아끼지 않겠다는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협회 측은 “소중한 생명을 잃으신 분들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들에게 깊은 애도와 위로를 전한다”며 “유가족들이 아픔을 초래할 수 있는 유언비어와 추측성 발언을 방지하고 정확한 사고조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돕겠다”고 전했다.
김민범 동아닷컴 기자 mbkim@donga.com
관련링크
- 이전글국토부 "무안공항 활주로 1월1일까지 폐쇄…블랙박스 회수" 24.12.29
- 다음글김이배 제주항공 대표 "항공기 이상징후 없어…깊은 사과" 24.12.2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