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빨라진 국가 소멸…50년내 한국인 3분의1 급감
페이지 정보
본문
◆ 인구쇼크 ◆
50년 뒤면 전 세계 인구가 25% 늘어나는 반면 한국 인구는 30% 넘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기준 한국의 합계출산율은0.72명은 이미 세계 최저 수준이다. 2072년에는 1.08명으로 마카오1.04명에 이어 사실상 전 세계 꼴찌로 추락한다. 한국과 중국, 일본이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인구 비중도 올해 처음으로 20% 밑으로 떨어질 전망이다. 저출생·고령화 현상 가속화와 턱없이 부족한 이민 인력 등 삼중고를 해결하지 못하면 동아시아 지역이 심각한 성장절벽에 시달릴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통계청은 2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기준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을 발표했다. 이번 전망에는 통계청이 지난해 12월에 공개한 장래인구추계: 2022~2072년 자료와 유엔이 지난 7월 발표한 2024년 세계 인구 전망 자료를 활용했다.
세계 인구는 올해 81억6000만명에서 2072년 102억2000만명으로 25.2% 증가할 전망이다. 반면 한국 인구는 올해 5200만명에서 2072년 3600만명으로 30.8%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48년 만에 인구가 현재의 3분의 1가량 수준으로 쪼그라드는 셈이다.
그 결과 한국의 인구 순위는 올해 29위에서 2072년 59위로 30계단 떨어질 것으로 관측됐다. 세계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올해 0.6%에서 2072년 0.4%로 낮아진다.
올해 세계 인구 성장률은 0.86%, 한국은 0.07%로 예상됐다. 2072년이 되면 인구 성장률은 세계 0.13%, 한국 -1.31%를 기록할 전망이다. 한국 인구가 아직은 늘고 있지만 저출생과 고령화의 영향으로 머지않아 감소세로 돌아서는 것으로 풀이된다.
인구 충격은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동아시아 역내 교류로 성장을 이어왔던 한국과 중국, 일본 인구가 전 세계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처음으로 20% 선이 붕괴될 전망이다.
비중은 한국 0.6%, 중국 17.4%, 일본 1.5%로 집계됐다. 모두 합하면 19.5%다. 직전 발표에서 집계된 2022년 기준 비중은 한국 0.6%, 중국 17.9%, 일본 1.6%로, 합산하면 20.1%였다.
유엔 등에 따르면 한·중·일 인구는 1950~2000년까지만 해도 연평균 25.4%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지만 2000년대 중반부터 빠르게 줄어들기 시작했다. 한·중·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저출생·고령화 현상과 이민 부족이 원인으로 꼽힌다.
우해봉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전 세계 인구 중 동아시아 3개국 비중이 줄어드는 현상은 더욱 심해질 것"이라며 "인구 감소를 저지하거나 역전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이민자 수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 연구위원은 "교육 수준이 뛰어난 데도 노동시장에서 제대로 활용되지 않고 있는 여성 인력과 고령인구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곽노선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도 "이민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미국과 달리 한·중·일은 이민을 거의 받지 않고 있다"면서 "노동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이민을 통해 인구를 메우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저출생·고령화 현상이 급격하게 이뤄지면 성장 잠재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면서 "양육 부담을 덜기 위해 여성 경력 단절 문제를 해결하고 주거 부담을 줄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고령화는 세계적인 현상이지만 한국과 중국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세계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올해 10.2%에서 2072년 20.3%로 10.1%포인트 증가할 전망이다.
같은 기간 한국의 고령인구 비율은 19.2%에서 47.7%로 28.5%포인트 치솟을 것으로 예상됐다. 2072년 한국의 고령인구 비율은 홍콩58.5%과 푸에르토리코50.8%에 이어 세계 3위다. 중국은 14.7%에서 40.6%로, 일본은 29.8%에서 36.9%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기대수명은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2022년 기준 한국의 기대수명82.7세은 세계 기대수명72.6세보다 10.1세 높은 수준이었다. 2072년이면 한국 기대수명은 91.1세로, 일본과 같은 수준일 것으로 예측됐다. 남한과 북한을 합한 총인구는 올해 7800만명에서 2072년 5900만명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이희조 기자 / 한상헌 기자 / 한재범 기자]
▶ 배드민턴협회 이사진도 등돌렸다...“올림픽 이후 악화일로, 김택규 회장 사퇴해야”
▶ “‘잉꼬부부’라고 불리지만 사실은”…24년만에 밝힌 김지호 ‘충격고백’
▶ “드디어 기아도 내놓는다”…정의선 야심작, 쏘렌토보다 더 다재다능한 아빠車 [카슐랭]
▶ “CCTV 한번 보더니”…식당서 순댓국 먹던 남성이 한 짓 ‘황당’
▶ “안녕 세상아”…‘의미심장 글, 흔들린 사진’ 올린 유명 여가수, 무슨일이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50년 뒤면 전 세계 인구가 25% 늘어나는 반면 한국 인구는 30% 넘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기준 한국의 합계출산율은0.72명은 이미 세계 최저 수준이다. 2072년에는 1.08명으로 마카오1.04명에 이어 사실상 전 세계 꼴찌로 추락한다. 한국과 중국, 일본이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인구 비중도 올해 처음으로 20% 밑으로 떨어질 전망이다. 저출생·고령화 현상 가속화와 턱없이 부족한 이민 인력 등 삼중고를 해결하지 못하면 동아시아 지역이 심각한 성장절벽에 시달릴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통계청은 2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기준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을 발표했다. 이번 전망에는 통계청이 지난해 12월에 공개한 장래인구추계: 2022~2072년 자료와 유엔이 지난 7월 발표한 2024년 세계 인구 전망 자료를 활용했다.
세계 인구는 올해 81억6000만명에서 2072년 102억2000만명으로 25.2% 증가할 전망이다. 반면 한국 인구는 올해 5200만명에서 2072년 3600만명으로 30.8%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48년 만에 인구가 현재의 3분의 1가량 수준으로 쪼그라드는 셈이다.
그 결과 한국의 인구 순위는 올해 29위에서 2072년 59위로 30계단 떨어질 것으로 관측됐다. 세계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올해 0.6%에서 2072년 0.4%로 낮아진다.
올해 세계 인구 성장률은 0.86%, 한국은 0.07%로 예상됐다. 2072년이 되면 인구 성장률은 세계 0.13%, 한국 -1.31%를 기록할 전망이다. 한국 인구가 아직은 늘고 있지만 저출생과 고령화의 영향으로 머지않아 감소세로 돌아서는 것으로 풀이된다.
인구 충격은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동아시아 역내 교류로 성장을 이어왔던 한국과 중국, 일본 인구가 전 세계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처음으로 20% 선이 붕괴될 전망이다.
비중은 한국 0.6%, 중국 17.4%, 일본 1.5%로 집계됐다. 모두 합하면 19.5%다. 직전 발표에서 집계된 2022년 기준 비중은 한국 0.6%, 중국 17.9%, 일본 1.6%로, 합산하면 20.1%였다.
유엔 등에 따르면 한·중·일 인구는 1950~2000년까지만 해도 연평균 25.4%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지만 2000년대 중반부터 빠르게 줄어들기 시작했다. 한·중·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저출생·고령화 현상과 이민 부족이 원인으로 꼽힌다.
우해봉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전 세계 인구 중 동아시아 3개국 비중이 줄어드는 현상은 더욱 심해질 것"이라며 "인구 감소를 저지하거나 역전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이민자 수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 연구위원은 "교육 수준이 뛰어난 데도 노동시장에서 제대로 활용되지 않고 있는 여성 인력과 고령인구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곽노선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도 "이민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미국과 달리 한·중·일은 이민을 거의 받지 않고 있다"면서 "노동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이민을 통해 인구를 메우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저출생·고령화 현상이 급격하게 이뤄지면 성장 잠재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면서 "양육 부담을 덜기 위해 여성 경력 단절 문제를 해결하고 주거 부담을 줄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고령화는 세계적인 현상이지만 한국과 중국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세계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올해 10.2%에서 2072년 20.3%로 10.1%포인트 증가할 전망이다.
같은 기간 한국의 고령인구 비율은 19.2%에서 47.7%로 28.5%포인트 치솟을 것으로 예상됐다. 2072년 한국의 고령인구 비율은 홍콩58.5%과 푸에르토리코50.8%에 이어 세계 3위다. 중국은 14.7%에서 40.6%로, 일본은 29.8%에서 36.9%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기대수명은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2022년 기준 한국의 기대수명82.7세은 세계 기대수명72.6세보다 10.1세 높은 수준이었다. 2072년이면 한국 기대수명은 91.1세로, 일본과 같은 수준일 것으로 예측됐다. 남한과 북한을 합한 총인구는 올해 7800만명에서 2072년 5900만명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이희조 기자 / 한상헌 기자 / 한재범 기자]
▶ 배드민턴협회 이사진도 등돌렸다...“올림픽 이후 악화일로, 김택규 회장 사퇴해야”
▶ “‘잉꼬부부’라고 불리지만 사실은”…24년만에 밝힌 김지호 ‘충격고백’
▶ “드디어 기아도 내놓는다”…정의선 야심작, 쏘렌토보다 더 다재다능한 아빠車 [카슐랭]
▶ “CCTV 한번 보더니”…식당서 순댓국 먹던 남성이 한 짓 ‘황당’
▶ “안녕 세상아”…‘의미심장 글, 흔들린 사진’ 올린 유명 여가수, 무슨일이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SGI서울보증, 온정 금융 실천…의료·교육·주거 등 지원 24.09.23
- 다음글"가을엔 걸으세요" 문체부·관광공사, 저탄소 여행주간 – 초록 발자... 24.09.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