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이차전지용 NCM 단결정 양극 소재 개발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고려대, 이차전지용 NCM 단결정 양극 소재 개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4-06-11 14:28

본문

뉴스 기사
[이투데이/정유정 기자]

강용묵 교수고려대강용묵 교수고려대

고려대는 신소재공학부 강용묵 교수 연구팀이 전기자동차용 이차전지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NCM니켈-코발트-망간 단결정 양극 소재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NCM 단결정 양극 소재의 노출면을 조절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출력과 수명을 동시에 향상시켜 에너지 분야 저명 학술지인 ‘Energy amp; Environmental Science’에 온라인 게재됐다.


NCM 소재는 타 양극 소재 대비 높은 에너지 밀도로 전기자동차의 주행거리 확장에 유리하다. 특히 니켈 함량이 높은 NCM 양극 소재는 에너지 밀도 측면에서 국내 셀 기업의 기술적 우위를 나타내는 대표적 소재로 여겨진다.

기존 다결정 기반 NCM 양극 소재는 충전 및 방전 시 입자가 받는 높은 스트레스로 수명 특성이 급격히 열화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제시된 단결정 NCM은 충전 및 방전 시 스트레스가 감소, 다결정 NCM 대비 우수한 수명 특성을 보인다. 다만, 출력 특성이나 다른 전기화학적 성능에서 한계가 있었다.

강 교수 연구팀은 리튬염의 리튬 및 산소 화학 포텐셜을 조절, 단결정 NCM 양극 소재의 노출면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특히 노출면에 따른 전기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NCM 양극 소재의 출력 및 수명 특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해당 연구는 연세대 이용민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뤄졌다. 한국연구재단 중견 연구자 사업, 나노 및 소재 기술 개발전략형 사업, 그리고 Umicore Battery Materials 등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단결정 양극 소재 특성 노출면 조절이 해당 소재의 여러가지 전기화학적 특성을 동시에 최적화하기 위한 핵심 인자임을 증명해 향후 여러 단결정 양극 소재 개발에 중요한 기술적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투데이/정유정 기자 oiljung@etoday.co.kr]

[관련기사]
고려대 안암병원, 수술 후 모니터링 가능한 ‘무선 전자 봉합사’ 개발
지속성장포럼 발언하는 문성빈 고려대 교수 [포토]
‘연구분야 고연전’…고려대·연세대 의료원 공동 기술설명회 성료

[주요뉴스]
"국산 OTT 넷플릭스 앞질렀다"…티빙ㆍ웨이브, 합병 초읽기

나만 몰랐던 최신 뉴스 영상 이투데이TV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25
어제
1,390
최대
2,563
전체
436,97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