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장착한 빙 성장에···구글 검색시장 점유율 소폭 감소 > 경제기사 | natenews rank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경제기사 | natenews rank

AI 장착한 빙 성장에···구글 검색시장 점유율 소폭 감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4-05-06 13:33 조회 8 댓글 0

본문

뉴스 기사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생성형 인공지능AI 등장 이후 세계 최대 검색엔진 업체 구글의 시장 점유율이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웹 트래픽 분석 사이트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전 세계 검색엔진 시장에서 구글이 차지하는 비율은 90.91%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 92.82%보다는 약 2%포인트 낮고, 한 달 전인 지난 3월 91.38%보다도 0.47%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최근 12개월간 최고치였던 지난해 5월93.11%과 비교해선 2.20%포인트 떨어졌다.


반면 마이크로소프트MS의 검색엔진 ‘빙’의 4월 점유율은 3.64%로, 1년 전 2.76%보다 1%포인트 가까이 올라갔다. 야후 검색 점유율은 1.13%로 1년 전1.11%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미국으로 지역을 좁혀보면 점유율 변화가 더 뚜렷해진다. 구글의 4월 점유율은 86.58%로 1년 전88.88%보다 2.3%포인트 떨어졌다. MS의 점유율은 같은 기간 6.43%에서 8.24%로 2%포인트가량 뛰었다. 야후는 2.33%에서 2.59%로 약간 올랐다.

지난해 2월 MS는 오픈AI가 개발한 챗GPT를 검색엔진에 탑재하면서 구글 텃밭인 검색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다만 구글은 여전히 90% 넘는 점유율로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지난 3일현지시간 미국 검색엔진 시장을 장악한 구글이 반독점법을 위반했다며 미국 법무부가 제기한 소송의 변론이 마무리됐다. 이번 소송은 미국 정부가 윈도 운영체제로 브라우저 시장을 장악한 MS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 이후 20여년 만에 빅테크를 대상으로 한 최대 규모 반독점 소송이라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재판 과정에서 구글이 자사 검색엔진을 아이폰에서 기본으로 설정하는 대가로 2022년 애플에 200억달러27조5000억원를 지불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 법무부는 구글이 이 같은 방식으로 경쟁을 차단하며 불법적인 독점을 해왔다고 주장했다. 구글은 더 우수한 서비스로 시장 우위를 점한다고 처벌하는 건 부당하다고 맞섰다.

지난해 10월 재판에선 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가 증인으로 출석해 “구글이 검색 시장 지배력을 차세대 AI 기반 도구로 확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선고는 하반기나 연말쯤 내려질 것으로 예상된다. 구글이 패소하면 사업 부문을 분리하거나 사업 방식을 바꿔야 할 가능성이 있다. 소송 결과가 애플, 아마존, 메타 등 빅테크를 겨냥한 다른 반독점 소송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다른 기업들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노도현 기자 hyunee@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일본 목욕탕서 700장 이상 불법도촬한 외교관... 조사 없이 ‘무사귀국’
· 서울 다세대주택서 20대 남성과 실종 신고된 10대 여성 숨진 채 발견
· 안현모, 이혼 후 한국 떠나려고···“두려움 있었다”
· 아이가 실수로 깨트린 2000만원 도자기, 쿨하게 넘어간 중국 박물관
· 인감증명서 도입 110년 만에…9월30일부터 일부 온라인 발급 가능해져
· “하이브·민희진 분쟁은 멀티레이블 성장통” “K팝의 문제들 공론화”
· [속보]검찰, ‘유시민 누나’ 유시춘 EBS 이사장 사무실 압수수색
· 김신영 날리고 남희석…‘전국노래자랑’ 한달 성적은
· 국가주석에 국회의장까지 권력 빅4 중 2명 숙청…격랑의 베트남 정치
· 수능 6등급도 교대 합격···상위권 문과생들 “교사 안 할래요”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국회의원 선거 결과, 민심 변화를 지도로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