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과 고려아연 인수 추진 MBK파트너스에 울산시장 "中자본에 뺏겨"
페이지 정보
본문
영풍과 고려아연 인수 추진 MBK파트너스에 울산시장 “中자본에 뺏겨”
고려아연은 고故 장병희·최기호 창업주가 세운 회사로, 영풍그룹 핵심 계열사다. 현재 고려아연은 최씨 일가가, 영풍그룹과 전자 계열사는 장씨 일가가 각각 경영을 담당하고 있다.
영풍과 손잡고 고려아연 주식 공개매수에 나선 MBK파트너스는 18일 이번 공개매수 시도가 적대적 인수·합병Mamp;A이라는 일각의 주장을 부인하며 최대주주의 경영권 강화 차원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고려아연은 MBK파트너스를 ‘약탈적 투기 자본’으로 규정하고, MBK파트너스가 고려아연의 경영권을 취득할 경우 국가기간산업 기술의 해외 유출이 우려된다고 반발하는 분위기다.
MBK파트너스는 이날 “공개매수는 명백한 최대주주, 1대 주주의 경영권 강화 차원이며 장씨와 최씨 일가의 지분 격차만을 보더라도 일각에서 주장하는 적대적 Mamp;A는 어불성설語不成說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MBK파트너스에 따르면 20여년간 두 가문의 지분은 15%포인트 이상 차이가 났다. 지분 격차는 2002년 31.73%포인트까지 벌어졌고 2022년 이후 최소 격차 16.75%포인트로 줄었으나 최근 다시 영풍과 장씨 일가 측 지분이 늘어나며 격차를 벌리는 중이다.
현재 영풍과 장씨 일가의 고려아연 지분율은 33.1%로 최씨 일가15.6%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고 MBK파트너스는 설명했다. 영풍은 고려아연 최윤범 회장에 대해 원아시아파트너스 투자 배임 의혹과 SM엔터테인먼트 시세조종 관여 의혹, 이그니오 고가매수 의혹 등을 제기하며 법원에 회계장부 열람·등사 가처분을 신청한 상태다.
한편 고려아연 사업장이 위치한 울산시 정치권도 가세하는 분위기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이날 “50년간 울산과 함께 한 향토기업을 시민의 힘으로 지켜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시장은 이날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산업수도 울산과 고락을 함께해온 고려아연이 해외로 인수합병될 위기에 처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시장은 “MBK로 경영권이 넘어갈 경우, 고려아연이 중국계 기업에 팔리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도 있다”며 “사모펀드의 주된 목표가 단기간 내 높은 수익률 달성임을 고려하면 인수 후 연구개발 투자 축소, 핵심 인력 유출, 해외 매각 등이 시도될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했다.
MBK파트너스는 김두겸 울산시장의 ‘중국계 자본’ 언급과 국가기간산업 경쟁력 훼손 우려에 대해서 직원 고용을 종전과 같이 유지하고, 고려아연이 울산기업으로서 재도약하는 것을 돕겠다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대해 고려아연 측은 박기덕 대표이사 사장 명의의 입장문을 내고 “기업사냥꾼 MBK의 약탈적 Mamp;A에 반대한다”며 “고려아연의 주주인 영풍이 MBK파트너스와 결탁해 일방적으로 진행하는 공개매수에 반대 의사를 공식 표명한다”고 밝혔다.
고려아연은 그간 영풍이 환경법과 중대재해처벌법을 위반해왔고, 대규모 적자로 경영 능력도 인정받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영풍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방기한 채 ‘약탈적 자본’과 결탁해 고려아연의 지분과 경영권 확보에만 몰두해 왔다는 주장이다.
MBK파트너스와 같은 사모펀드가 고려아연의 경영권을 취득할 경우 이차전지 소재 등 핵심 전략 사업에 차질을 빚을 뿐 아니라 주주가치가 훼손될 우려도 크다고 강조했다.
박기덕 사장은 “MBK파트너스는 사모펀드의 본질인 투자수익 확보를 위해 전체 주주 및 구성원들의 이익에 반하는 독단적인 경영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이차전지 소재와 폐배터리·리사이클링, 신재생에너지 등이 제대로 추진되지 못해 주주가치가 심대하게 훼손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MBK파트너스는 영풍 및 특수관계인들의 지분에 대해 콜옵션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고려아연의 경영권을 인수한 다음 해외 자본에 재매각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 국가기간산업 및 이차전지 소재 관련 핵심 기술 역량이 해외로 유출될 부작용도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김동욱 기자 east@viva100.com
|
김두겸 울산시장이 18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 하는 모습사진=연합뉴스 |
아시아 최대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가 영풍과 손잡고 고려아연 주식을 공개매수를 진행 하는 가운데 양측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여기에 고려아연 사업장이 위치한 울산시 김두겸 시장까지 나서면서 정치권으로 비화될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고려아연은 아연·연·은·인듐 등 비철금속 분야 세계 1위로, 국내 자동차·배터리 등 첨단산업의 핵심 공급망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고려아연은 고故 장병희·최기호 창업주가 세운 회사로, 영풍그룹 핵심 계열사다. 현재 고려아연은 최씨 일가가, 영풍그룹과 전자 계열사는 장씨 일가가 각각 경영을 담당하고 있다.
영풍과 손잡고 고려아연 주식 공개매수에 나선 MBK파트너스는 18일 이번 공개매수 시도가 적대적 인수·합병Mamp;A이라는 일각의 주장을 부인하며 최대주주의 경영권 강화 차원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고려아연은 MBK파트너스를 ‘약탈적 투기 자본’으로 규정하고, MBK파트너스가 고려아연의 경영권을 취득할 경우 국가기간산업 기술의 해외 유출이 우려된다고 반발하는 분위기다.
MBK파트너스는 이날 “공개매수는 명백한 최대주주, 1대 주주의 경영권 강화 차원이며 장씨와 최씨 일가의 지분 격차만을 보더라도 일각에서 주장하는 적대적 Mamp;A는 어불성설語不成說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MBK파트너스에 따르면 20여년간 두 가문의 지분은 15%포인트 이상 차이가 났다. 지분 격차는 2002년 31.73%포인트까지 벌어졌고 2022년 이후 최소 격차 16.75%포인트로 줄었으나 최근 다시 영풍과 장씨 일가 측 지분이 늘어나며 격차를 벌리는 중이다.
현재 영풍과 장씨 일가의 고려아연 지분율은 33.1%로 최씨 일가15.6%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고 MBK파트너스는 설명했다. 영풍은 고려아연 최윤범 회장에 대해 원아시아파트너스 투자 배임 의혹과 SM엔터테인먼트 시세조종 관여 의혹, 이그니오 고가매수 의혹 등을 제기하며 법원에 회계장부 열람·등사 가처분을 신청한 상태다.
|
한편 고려아연 사업장이 위치한 울산시 정치권도 가세하는 분위기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이날 “50년간 울산과 함께 한 향토기업을 시민의 힘으로 지켜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시장은 이날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산업수도 울산과 고락을 함께해온 고려아연이 해외로 인수합병될 위기에 처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시장은 “MBK로 경영권이 넘어갈 경우, 고려아연이 중국계 기업에 팔리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도 있다”며 “사모펀드의 주된 목표가 단기간 내 높은 수익률 달성임을 고려하면 인수 후 연구개발 투자 축소, 핵심 인력 유출, 해외 매각 등이 시도될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했다.
MBK파트너스는 김두겸 울산시장의 ‘중국계 자본’ 언급과 국가기간산업 경쟁력 훼손 우려에 대해서 직원 고용을 종전과 같이 유지하고, 고려아연이 울산기업으로서 재도약하는 것을 돕겠다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대해 고려아연 측은 박기덕 대표이사 사장 명의의 입장문을 내고 “기업사냥꾼 MBK의 약탈적 Mamp;A에 반대한다”며 “고려아연의 주주인 영풍이 MBK파트너스와 결탁해 일방적으로 진행하는 공개매수에 반대 의사를 공식 표명한다”고 밝혔다.
고려아연은 그간 영풍이 환경법과 중대재해처벌법을 위반해왔고, 대규모 적자로 경영 능력도 인정받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영풍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방기한 채 ‘약탈적 자본’과 결탁해 고려아연의 지분과 경영권 확보에만 몰두해 왔다는 주장이다.
MBK파트너스와 같은 사모펀드가 고려아연의 경영권을 취득할 경우 이차전지 소재 등 핵심 전략 사업에 차질을 빚을 뿐 아니라 주주가치가 훼손될 우려도 크다고 강조했다.
박기덕 사장은 “MBK파트너스는 사모펀드의 본질인 투자수익 확보를 위해 전체 주주 및 구성원들의 이익에 반하는 독단적인 경영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이차전지 소재와 폐배터리·리사이클링, 신재생에너지 등이 제대로 추진되지 못해 주주가치가 심대하게 훼손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MBK파트너스는 영풍 및 특수관계인들의 지분에 대해 콜옵션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고려아연의 경영권을 인수한 다음 해외 자본에 재매각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 국가기간산업 및 이차전지 소재 관련 핵심 기술 역량이 해외로 유출될 부작용도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김동욱 기자 east@viva100.com
관련링크
- 이전글8개월 만에 1조원 돌파…미국·중국인들도 푹 빠진 K수출 효자 상품은 24.09.18
- 다음글"꺼진 IP도 다시 보자"…리니지·던파 불씨 되살리는 게임사들 24.09.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