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쩡한 물김 다 버릴 판" 울상…국민 밥도둑에 무슨 일이
페이지 정보

본문
마른김 원재료 물김
생산량 급증에 가격 뚝
생산량 급증에 가격 뚝

전남 신안군의 한 김양식장. 해양수산부 제공
전 세계적 K푸드 열풍에 힘입어 김 가격이 급등한 가운데 마른김의 원재료인 물김 가격은 곤두박질쳐 관심을 끈다. 양식 면적이 늘어난 가운데 작황이 좋아 생산량이 급증했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24일 농수산식품유통공사 집계에 따르면 마른김중품 10장 평균 소매가격은 전날 기준 1467원으로 작년보다 44% 올랐고 평년보다는 57% 비싸다.
마른김과 조미김 가격은 지난해부터 가파르게 올랐다. 지난해 5월 CJ제일제당에 이어 동원Famp;B도 김 가격을 두 자릿수 인상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올해 설 선물세트에 들어가는 김도 지난해 설보다 양이 줄었다.
이마트 설 선물세트 중 CJ비비고 초사리 곱창돌김 1호는 카드할인 가격이 3만9830원으로 지난해 설 때와 같지만 도시락 김, 캔김, 전장김자르지 않은 김 가운데 전장김은 20g짜리 4봉에서 3봉으로 줄었다. 동원Famp;B 양반 감태김 M11호는 제품 구성이 바뀌면서 전장김이 4봉에서 3봉으로 줄고 가격도 3만4230원으로 작년 설 때보다 1400원 올랐다.
하지만 산지에서 양식 어가가 생산하는 물김 가격은 1년 전의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수협중앙회 집계를 보면 지난 11∼22일 물김 ㎏당 위판 금액은 588원으로 작년 동기1609원보다 63% 급락했다. 지난 21일에는 ㎏당 가격이 500원 아래로 내려가기도 했다.
이렇게 된 데엔 △해양수산부가 지난해 신규 양식을 허가해 양식 면적이 늘어난 데다 △작황이 좋아졌고 △불법 양식까지 늘어나 물김 생산량이 급증한 영향이 컸다. 경매에서 유찰돼 폐기되는 물김도 빠르게 늘고 있다. 해수부와 전남도 등에 따르면 지난 22일까지 진도군과 해남군 두 곳에서 폐기된 물김만 2400t에 이른다. 해수부는 마른김 업체들이 물김 가격이 더 하락할 것을 기대하면서 관망하고 있는 것도 물김이 버려지는 이유 중 하나라고 봤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
관련링크
- 이전글[인도증시] 저가 매수세 유입에 소폭 상승…실적 호조·美발 호재에 IT株 ... 25.01.23
- 다음글崔대행, 트럼프 행정명령 점검…"파급효과 큰 사안 중심 대응" 25.01.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