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두배 차인데…" 설 상여금도 대기업 비해 "이 정도일줄"
페이지 정보

본문
평균 78만원, 300인 이상은 100인 미만의 1.9배
70.5%는 설 선물 지급, 평균 선물 예산 6.9만원
응답 기업 10곳 중 3곳은 31일 전사휴무
[파이낸셜뉴스] 기업 10곳 중 5곳 가량이 설 상여금 지급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사람인이 기업 1194개사를 대상으로 설 상여금 지급 계획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1인당 평균 상여금은 평균 78만원으로 집계됐다. 상여금은 기업 규모별로 차이가 있었다. 300인 이상 기업이 138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100인 이상 300인 미만 기업은 84만원이었다. 100인 미만 기업은 74만원으로, 300인 이상 기업의 상여금이 100인 미만 기업의 1.9배였다.
기업들이 설 상여금을 지급하는 이유는 ‘직원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서’55%,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계속해서 △정기 상여금으로 규정돼 있어서34.9% △직원들의 애사심을 높이기 위해서16.5% △설 비용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13.1% △작년 실적이 좋고 지급 여력이 충분해서6%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반면 상여금을 지급하지 않는 기업 529개사는 그 이유로 △위기 경영 상황이어서29.7%, 복수응답 △재무 상태가 안 좋아 지급 여력이 없어서27.6% △선물 등으로 대체하고 있어서27.4% △명절 상여금 지급 규정이 없어서25.7% △불확실성이 커 유보금을 확보하기 위해서8.9% 등을 들었다. 경영난이 설 상여금 지급을 포기한 주요 원인인 셈이다. 실제로 올해 상여 미지급 기업 5곳 중 1곳17.8%은 지난해에는 설 상여금을 줬던 것으로 나타났다.
설 선물의 경우, 전체 응답 기업의 70.5%가 증정을 계획하고 있어 상여금을 지급하는 기업보다 많았다.
설 선물 예산은 평균 6만9000원이었다. 종류별로는 ‘햄, 참치 등 가공식품’46.9%,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밖에 ‘배, 사과 등 과일류’20%, ‘한우 갈비 등 육류’13.8%, ‘각종 상품권포인트’13.3%, ‘화장품, 세제 등 생활용품8.8% 등의 품목을 증정할 계획이었다.
한편 오는 27일이 임시 공휴일로 지정되면서 올해 설 연휴 주간 중 31일 금요일만 정상 근무일이 됨에 따라, 일부 기업들은 31일까지 전사 휴무를 실시하며 아예 긴 휴식에 들어가는 모습도 포착됐다. 31일을 휴무하면 25일부터 2월 2일까지 9일을 쉴 수 있게 된다.
전체 응답 기업의 10곳 중 3곳28.2%은 오는 31일을 전사 휴무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이날 추가로 휴무하는 이유는 △직원들의 충분한 휴식을 보장하기 위해서47.8%, 복수응답 △직원 사기를 진작시키기 위해서36.8% △고객사, 경쟁사들도 휴무를 많이 해서21.1% △노사협의를 통해 공휴일로 지정해서10.1% 등의 순이었다.
휴무 방식은 과반수가 ‘연차휴가 공제’59.6%였으며, 30.6%는 ‘임시 유급 휴일을 부여’한다고 답했다. ‘취업규칙?단체협약상 휴무’로 쉰다는 응답은 9.8%였다.
jimnn@fnnews.com 신지민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 한국 부자 취미 골프는 2위, 의외의 1위는...
→ 여성과 모텔 간 남편, 아내와 부부관계 하다가 "야동에 나오는 여성과.."
→ 엄마 "강도한테 딸을..." 상견례 현장 뒤집은 발언 논란
→ 배우 김보미, 출산 5일만에 안타까운 소식
→ "석열씨 입맛이 없나요" 웃는 조국, 알고보니...
70.5%는 설 선물 지급, 평균 선물 예산 6.9만원
응답 기업 10곳 중 3곳은 31일 전사휴무
![]() |
사람인이 기업 1194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설 상여금 지급 계획. 사람인 제공 |
[파이낸셜뉴스] 기업 10곳 중 5곳 가량이 설 상여금 지급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사람인이 기업 1194개사를 대상으로 설 상여금 지급 계획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1인당 평균 상여금은 평균 78만원으로 집계됐다. 상여금은 기업 규모별로 차이가 있었다. 300인 이상 기업이 138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100인 이상 300인 미만 기업은 84만원이었다. 100인 미만 기업은 74만원으로, 300인 이상 기업의 상여금이 100인 미만 기업의 1.9배였다.
기업들이 설 상여금을 지급하는 이유는 ‘직원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서’55%,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계속해서 △정기 상여금으로 규정돼 있어서34.9% △직원들의 애사심을 높이기 위해서16.5% △설 비용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13.1% △작년 실적이 좋고 지급 여력이 충분해서6%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반면 상여금을 지급하지 않는 기업 529개사는 그 이유로 △위기 경영 상황이어서29.7%, 복수응답 △재무 상태가 안 좋아 지급 여력이 없어서27.6% △선물 등으로 대체하고 있어서27.4% △명절 상여금 지급 규정이 없어서25.7% △불확실성이 커 유보금을 확보하기 위해서8.9% 등을 들었다. 경영난이 설 상여금 지급을 포기한 주요 원인인 셈이다. 실제로 올해 상여 미지급 기업 5곳 중 1곳17.8%은 지난해에는 설 상여금을 줬던 것으로 나타났다.
설 선물의 경우, 전체 응답 기업의 70.5%가 증정을 계획하고 있어 상여금을 지급하는 기업보다 많았다.
설 선물 예산은 평균 6만9000원이었다. 종류별로는 ‘햄, 참치 등 가공식품’46.9%,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밖에 ‘배, 사과 등 과일류’20%, ‘한우 갈비 등 육류’13.8%, ‘각종 상품권포인트’13.3%, ‘화장품, 세제 등 생활용품8.8% 등의 품목을 증정할 계획이었다.
한편 오는 27일이 임시 공휴일로 지정되면서 올해 설 연휴 주간 중 31일 금요일만 정상 근무일이 됨에 따라, 일부 기업들은 31일까지 전사 휴무를 실시하며 아예 긴 휴식에 들어가는 모습도 포착됐다. 31일을 휴무하면 25일부터 2월 2일까지 9일을 쉴 수 있게 된다.
전체 응답 기업의 10곳 중 3곳28.2%은 오는 31일을 전사 휴무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이날 추가로 휴무하는 이유는 △직원들의 충분한 휴식을 보장하기 위해서47.8%, 복수응답 △직원 사기를 진작시키기 위해서36.8% △고객사, 경쟁사들도 휴무를 많이 해서21.1% △노사협의를 통해 공휴일로 지정해서10.1% 등의 순이었다.
휴무 방식은 과반수가 ‘연차휴가 공제’59.6%였으며, 30.6%는 ‘임시 유급 휴일을 부여’한다고 답했다. ‘취업규칙?단체협약상 휴무’로 쉰다는 응답은 9.8%였다.
jimnn@fnnews.com 신지민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 한국 부자 취미 골프는 2위, 의외의 1위는...
→ 여성과 모텔 간 남편, 아내와 부부관계 하다가 "야동에 나오는 여성과.."
→ 엄마 "강도한테 딸을..." 상견례 현장 뒤집은 발언 논란
→ 배우 김보미, 출산 5일만에 안타까운 소식
→ "석열씨 입맛이 없나요" 웃는 조국, 알고보니...
관련링크
- 이전글"새 아파트 아무도 안 사요"…처참한 지방 상황 25.01.21
- 다음글"사막 6000㎞ 질주"…제네시스 GV80 데저트 에디션 주목 25.01.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