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시대, 전기차는 끝났다? 17대 황금주에 기회 있다 [트럼프노믹스 대...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트럼프 시대, 전기차는 끝났다? 17대 황금주에 기회 있다 [트럼프노믹스 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4회 작성일 25-01-21 05:01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19일현지시간 워싱턴DC 캐피털 원 아레나에서 열린 대선 승리 축하 행사에서 지지자에게 발언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19일현지시간 워싱턴DC 캐피털 원 아레나에서 열린 대선 승리 축하 행사에서 지지자에게 발언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트럼프 2기’가 출범하면서 지난 4년간 바이든 정부의 보조금을 믿고 미국에 생산기지를 확대했던 기업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우선 2차전지 산업이 대표적이다. 전기차 보조금 폐지 등을 공약한 트럼프 당선 이후 산업 전반이 위축됐다. 하지만 미국이 50개 주별로 전기차 관련 제도가 천차만별인 데다 자율성도 가진 만큼 기회를 찾아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2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며 LG에너지솔루션·SK온·삼성SDI 등 2차전지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이란 기존 흐름에다 트럼프라는 ‘악재’까지 겹치면서다. 하지만 악재로 꼽히는 후자는 꼭 부정적으로만 볼 수 없다.


대표적으로 미국이 50개 주로 구성한 연방제 국가란 점을 고려해야 한다. 테슬라의 ‘본진’인 캘리포니아를 필두로 한 17개 ‘전기차EV 황금주州’와 워싱턴DC가 강력한 친환경차 보급 정책을 밀어붙이고 있다. EV 보급에 적극적인 이들 주가 트럼프 뜻에 순순히 따르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박경민 기자

박경민 기자

EV 황금주의 대표주자는 캘리포니아다. 미국 에너지부의 ‘주별 전기차 등록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캘리포니아주 전기차 등록 대수는 125만 6646대로 미국 전체 전기차 등록 대수355만 5445대의 35.3%다. 미국 전기차의 3분의 1가량이 캘리포니아에서 달리고 있다는 얘기다. 여기에 캘리포니아의 친환경차 보급 정책인 ‘친환경차 표준Clean Vehicle Standards’을 따라 채택한 주가 17곳이다. 17곳의 전기차 등록 대수를 더하면 222만4371대다. 전체 등록 대수의 62.6%에 달한다.

앞으로 계획은 더 공격적이다. 캘리포니아는 2030년까지 판매 신차의 68%를 전기차·수소차 등 무공해차ZEV로 바꿀 계획이다. 이 비중을 2032년 82%, 2035년 100%까지 올리겠단 목표다. 이 계획을 워싱턴2022년 12월·콜로라도2023년 10월·뉴저지2023년 11월가 잇따라 채택했다. 당장 캘리포니아와 뉴욕·매사추세츠·버몬트·워싱턴·오리건 등 6개 주에서 올해부터 출시할 신차의 35%를 ZEV로 채운다. 2026년에는 동참하는 주가 12개 주로 늘어날 전망이다.

EV 황금주는 ‘트럼프노믹스TrumpEconomics, 트럼프 경제’를 무력화할 대책 마련에도 적극적이다.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지난해 11월 미국 대선 직후 “트럼프 정부가 전기차 세액공제를 없앨 경우 주 정부가 개입해 과거 시행한 친환경차 환급 제도를 다시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캘리포니아는 2010~2023년 친환경차 구매자를 대상으로 1대당 최대 7500달러까지 지원하는 환급 제도를 운영하는 데 2조원을 투자했다. 시장조사업체 콕스 오토모티브는 주 정부의 인센티브보조금 지급 등에 따라 올해 미국의 전기차 시장 점유율이 처음 10%를 넘길 것으로 전망했다.

SK온은 미국 현지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운영하는 조지아주 배터리 생산 공장에 더해 올해만 포드·현대차 등과 합작 공장JV 3곳을 가동할 계획이다. 공장을 완전히 가동할 경우 배터리 생산능력이 기존 22기가와트시GWh에서 139GWh로 늘어난다. 박철완 서정대 스마트자동차학과 교수는 “전기차와 2차전지 업계의 우려가 크지만, 주 단위로 보면 전동화 의지가 강한 곳이 많다”며 “막연한 비관론을 경계하고 주 정부와도 소통하며 생산·투자 전략을 마련하는 등 기회를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기환 기자 khkim@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이러면 설날 이혼 당한다…부부싸움 첫마디는
초등 여교사, 11살 男제자 성폭행…애까지 낳았다
조성진 마침내 음반에 담다, 극한의 완벽주의 작곡가
느닷없는 베드신 충격…500억 쏟은 드라마 결국
온수 목욕 매일 못해…수용번호10 尹의 독방 생활
10대女 강간해 출산까지…前대통령 체포영장 발칵
"계엄군, 90명 감금" 기사가…"中간첩 압송" 둔갑
토트넘 3연패…英매체, 손흥민에 혹평 쏟아냈다
"나중에 울자"…尹 구속에 JK김동욱이 올린 글
이번주 김용현 부른다…尹 "출석 예정"에 긴장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기환 khkim@joongang.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56
어제
1,460
최대
3,806
전체
944,15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