땡큐 HBM SK하이닉스, 지난해 4분기·연간 사상 최대 실적
페이지 정보

본문
|
아시아투데이 정문경 기자 = 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 메모리HBM에 힘입어 지난해 4분기와 연간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을 새로 썼다.
SK하이닉스는 23일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이 23조 4673억원으로 전년 대비 흑자 전환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률은 35%다. 연간 매출액은 66조1930억원으로 전년 대비 102% 증가했다. 이는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이다. 매출은 기존 기록인 2022년44조6216억원보다 21조원 이상 높은 실적을 달성했고, 영업이익도 메모리 초호황기였던 2018년20조8437억원의 성과를 넘어섰다.
4분기 또한 분기 기준 사상 최대 기록이다. 4분기 매출은 전 분기 대비 12% 증가한 19조7670억원, 영업이익은 15% 증가한 8조828억원영업이익률 41%을 달성했다.
이러한 사상 최대 실적의 배경에는 업계에서 HBM을 선두하고 있기 때문이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연간 HBM 매출이 전년 대비 4.5배 이상 증가했다. 4분기로만 살펴봐도 HBM이 전체 D램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했고, 업계에서 가장 먼저 HBM3E 12단 출하도 시작했다.
AI 수요 증가에 따라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eSSD 매출도 지난해 전년 대비 300% 증가했다. 김우현 SK하이닉스 부사장CFO는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고부가가치인 HBM과 eSSD 매출 비중 크게 확대되면서 시황 조정기에도 과거에 비해 안정적 매출과 이익 유지할 수 있는 사업 체질을 갖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호실적으로 지난해 말 기준 SK하이닉스의 현금성 자산은 14조2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5조2000억원 증가했으며, 차입금은 22조7000억원으로 같은 기간 6조8000억원 감소했다. 차입금과 순차입금 비율은 각각 31%와 12%로 개선됐다.
SK하이닉스는 올해도 HBM 매출이 강한 수요를 기반으로 성장이 예상된다. 김 부사장은 "올해 HBM 매출은 전년 대비 100% 이상 성장이 예상된다"며 "주문형 반도체ASIC 기반의 수요가 증가하며 고객이 확대될 것이다. 상반기 중 계획대로 전체 HBM3E 출하량이 절반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반기 중에는 HBM4는 개발과 양산 준비를 마무리하고, 내년 하반기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레거시 제품인 DDR4과 LPDDR4의 생산을 축소하고, DDR5 등 고부가제품에 집중한다. 김 부사장은 "올해 D램은 HBM과 DDR5 고성능·고사양 수요가 늘어나면서 수급은 타이트하고, DDR4와 LPDDR4 레거시 제품은 수요 감소가 가속화할 것"이라며 "레거시 제품의 매출 비중은 지난해 20% 수준에서 올해 한자릿수로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SK하이닉스는 연간 고정배당금을 기존 1200원에서 1500원으로 25% 상향해 총 현금 배당액을 연간 1조원 규모로 확대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
▶ 공수처 결국 빈손…尹 내란사건 오늘 검찰에 조기 이첩
▶ 헌재, 이진숙 방통위원장 탄핵 기각…다섯달만에 직무복귀
▶ 현직 법원장 “공수처 尹영장 발부한 법원은 책임 없나”
▶ 현대차, 또 역대급 실적 찍었다…작년 매출액 175.2조
정문경 hmmk0108@gmail.com
관련링크
- 이전글서울서 월세 가장 비싼 곳 강남 3구 아니다…어디? 25.01.23
- 다음글포씨게이트, 한림대성심병원에 AI휴먼 안내 키오스크 공급 25.01.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