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BIO] 일동제약·동아에스티·휴젤 외
페이지 정보

본문
프라임경제 1월22일 제약,바이오업계 소식.
일동제약그룹의 종합 헬스케어 플랫폼 기업인 새로엠에스전 일동이커머스가 비대면 진료용 키오스크 공급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새로엠에스는 최근 스마트 경로당 사업 전문 업체인 엔트위즈솔루션과 협약을 체결하고, 의료 사각지 및 IT 취약 계층을 위한 비대면 진료 키오스크 보급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새로엠에스는 그동안 자사의 IT,플랫폼 관련 기술과 의료 및 헬스케어 분야의 사업 역량 등을 바탕으로 비대면 진료 중개 서비스인 후다닥 케어를 운영해왔다.
엔트위즈솔루션은 자체 개발한 AI 양방향 화상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지자체의 스마트 경로당 사업 가톨릭대학교 비대면 진료 등에 원천 기술 지원과 함께 교육 및 상담 등의 부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BIO] 일동제약·동아에스티·휴젤 외](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fr/2025/01/22/art_672051_1737525047.jpg)
협약에 따라 두 회사는 비대면 진료 중개 장비인 후다닥 케어 키오스크 및 관련 플랫폼, 시스템 등을 개발하고, 다양한 공공 사업과 민간 사업 등에 참여해 키오스크 공급에 나설 방침이다.
회사 측은 금년 1분기 내에 후다닥 케어 키오스크 제작을 완료하고, 전국의 경로당, 요양원, 복지 시설 등에서 고령층을 비롯한 취약 계층의 비대면 진료에 활용될 수 있도록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비대면 진료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해 의료적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경증 질환에 대한 신속한 초기 진료 △만성 질환 환자의 상시 관리 △전염병 유행 상황 시의 효과적인 대처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과 PC 중심으로 설계된 기존 비대면 진료 플랫폼 환경에 익숙지 않은 고령층 등의 경우 원활한 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실정이라는 게 새로엠에스 측의 설명이다.
동아에스티는 지난 21일 경기 광주시 곤지암 리조트에서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ompliance Program, CP 강화 선포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은 공정거래 관련 법규를 준수하기 위해 기업이 자체적으로 제정해 운영하는 교육,감독 등 내부 준법 시스템이다.
이날 선포식에는 정재훈 사장과 박재홍 Ramp;D 총괄 사장을 비롯해 경영, 영업, 연구, 개발, 생산 부문 본부장과 영업지점장, 영업활동을 관리 감독하고 지원하는 부서의 임직원 등이 참석했다.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 강화 선포식은 준법 및 윤리 경영에 대한 전사적 실천 의지를 다지기 위해 지난 2014년부터 개최됐다. 선포식에서 정재훈 사장은 공정거래 관련 법규와 규정을 준수한다는 자율준수 선언문을 낭독하며 실천 의지를 다졌다.
동아에스티는 임직원의 부패방지경영시스템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했다. △전 사업장 대상 자체 연 1회 팀 단위 정기 내부심사 진행 △부패방지 지침 및 실사에 필요한 방침을 제공하는 CP 전자 편람 및 홈페이지 운영 △그룹의 내부 고발시스템과 사업관계자의 Help-Line 고발시스템 운영 등의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동아에스티는 2018년에 부패방지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인 ISO 37001 인증을 처음 획득했으며, 2024년에는 재인증을 받았다. 또한 2024년 공정거래위원회가 주관한 CP 등급 평가에서 A 등급을 획득하며 준법 경영 체계의 우수성을 인정받있다.
GC녹십자의료재단이 4년 연속 중동 최대 진단 및 의료기기 전시회 Medlab Middle East 2025이하 메드랩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메드랩은 중동 및 아프리카 국가를 중심으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진단 전문 전시회로 2월3일부터 6일까지 4일간 두바이 월드트레이드센터에서 개최된다. GC녹십자의료재단은 2022년부터 매년 메드랩에 참가해 기존 파트너사와의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 확대 및 신규 사업 기회를 발굴할 방침이다.
GC녹십자의료재단은 올해에도 단독 부스를 운영, 알츠하이머 검사와 중금속 검사를 포함해 중동 시장의 수요와 환경에 최적화된 검체 검사 수탁 항목을 중심으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한다.
특히, 재단은 이번 전시회에서 디지털 병리 시스템을 통한 진단 및 자문Second Opinion 서비스를 새롭게 선보인다. 검체 슬라이드를 물리적 전달 과정 없이 디지털 파일로 변환해 실시간 진단과 자문을 시행함으로써 검사 소요 시간의 획기적인 단축과 정확도 향상 등 파트너사가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이점들을 강조할 예정이다.
또한 전시 현장에서 기존 중동 지역 파트너사와의 협력 강화 및 사업 확장을 위해 검사실정보시스템LIS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통합 구축 프로젝트와 검사법 기술이전 등을 추가 논의할 계획이다.
JW신약은 탈모치료제 두타모아 정의 제형 크기를 축소해 복용 편의성을 개선한 리뉴얼 제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두타모아 정은 탈모 치료에만 처방이 가능한 두타스테리드 성분의 건강보험 비급여 전문의약품이다. 탈모와 전립선비대증에 모두 처방이 가능한 기존 두타스테리드 치료제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해 장기간 치료제를 복용해야 하는 탈모 환자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인 제품이다.
이 제품은 계열사인 JW중외제약의 난용성 약물전달시스템 SMEDDSSelf micro 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이 적용된 정제 제형으로, 복용 시 입안에 달라붙는 불편함 없이 빠른 체내 흡수 효과를 발휘한다.

이번 리뉴얼은 매일 복용해야 하는 탈모치료제의 특성상, 환자들의 복용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해 제형 크기를 축소하는 것에 중점을 뒀다. 기존 △가로 1.53㎜ △세로 0.82㎜ △두께 0.62㎜ 크기를 △가로 1.4㎜ △세로 0.71㎜ △두께 0.47㎜ 사이즈로 축소해 목에 걸리는 느낌 없이 알약 복용이 가능하도록 개선했다.
동아쏘시오홀딩스의 자회사 동천수는 상주시종합사회복지관의 설 명절 정나눔 모금사업에 후원금 300만원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동천수는 상주시종합사회복지관과의 지속적인 인연을 바탕으로 꾸준히 후원을 이어가고 있다. 지역 주민들과 김장나눔, 환경정화, 장수사진 촬영 등 지역 사회에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꾸준히 추진해 오고 있다.
앞서 지난달에는 상주시장애인종합복지관에 난방비 후원금 300만원을 전달하며, 겨울철 난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내 장애인 가정에 따뜻한 온기를 전했다.
HK이노엔HK inno.N이 넥슨이 개발한 MMORPG다중 접속 역할 수행 게임 프라시아 전기 유저들을 위한 특별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전했다.
HK이노엔은 프라시아 전기와 손잡고 헛개수EX의 스페셜 에디션을 선보인다. 프라시아 전기의 신규클래스 심연추방자가 그려진 헛개수EX를 구매하면 게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과 럭키박스 쿠폰을 받을 수 있다. 이벤트 기간은 1월18일부터 3월26일까지며, 전국 편의점에서 구매 가능하다.
게임 내 마련된 헛개수EX 브랜드 존에서 미션을 달성하면 헛개수 주화를 획득할 수 있고, 헛개수, 컨디션 등 제품 관련 새로운 아이템도 만나볼 수 있다. 또한 헛개수EX와 컨디션을 활용한 커뮤니티 이벤트를 진행하는 등 유저들과 접점을 강화할 계획이다.
휴젤이 현지시간 20일 아랍에미리트UAE 보건당국MOHAP으로부터 보툴리눔 톡신 보툴렉스의 품목허가를 받았다.
허가 품목은 보툴렉스 50IU, 100IU, 200IU로 △눈꺼풀경련 △눈가주름 △미간주름 △뇌졸중 후 상지 근육 경직 △소아뇌성마비 첨족기형 등 총 5가지의 미용,치료용 적응증에 대한 사용 승인을 취득했다.
휴젤은 오는 4월 말 아랍에미리트 내 보툴렉스를 공식 출시할 계획이다. 현지 미용 분야 유통과 판매는 중동,북아프리카이하 MENA 파트너사인 메디카 그룹Medica Group이 맡는다. 메디카 그룹은 MENA 지역에 강력한 유통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레바논 등에도 지사를 운영 중이다.
휴젤은 메디카 그룹과 함께 합리적인 가격 정책 및 차별화된 영업,마케팅 전략을 통해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2023년 아랍에미리트에서 승인 받아 판매 중인 HA 필러 리볼렉스국내 제품명 더채움와의 시너지를 극대화함으로써 통합적인 에스테틱 포트폴리오를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MENA 지역은 미용 시술 및 의료 수요의 급증, 높은 경제 성장률 및 인구 증가율 등으로 전 세계 메디컬 에스테틱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지역 중 하나다. 현재 휴젤은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등 주요 MENA 국가에서 보툴리눔 톡신 승인 절차를 진행 중이다.
대웅바이오는 당뇨병 치료제 포시가의 제네릭 의약품인 포시다파가 만성 심부전,신장병 적응증을 새롭게 추가했다고 22일 밝혔다. 포시다파는 이번 적응증 추가로 지난해 12월 자진 철수로 급여가 삭제된 오리지널 의약품 포시가의 모든 적응증을 인정 받게 됐다.
포시가의 제네릭 의약품이 출시된 건 2023년부터지만 대부분의 제네릭 의약품은 2형 당뇨병 환자에게만 처방돼 왔다.
포시다파는 이번 적응증 추가로 지난해 12월 급여가 삭제된 포시가의 대안으로서 처방 공백을 완벽하게 메울 수 있게 됐다.
최근 당뇨병 환자의 치료는 장기적인 혈당 조절은 물론 합병증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있다. 포시다파의 주 성분인 다파글리플로진Dapagliflozin은 SGLT-2sodium glucose cotransporter 2 억제제 계열로 2형 당뇨와 합병증 환자들에게 필수 의약품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특히, 만성 신장병, 심혈관계 질환, 심부전이 있는 환자들에게는 더욱 권고된다.
미국당뇨병학회ADA, 심부전학회 등의 가이드라인에서는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ASCV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이나 심부전을 동반한 경우 심혈관질환 감소 효과가 입증된 SGLT-2 억제제를 포함한 치료를 우선 고려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또한, 만성 신장병학회 등에서는 알부민뇨가 있거나 사구체 여과율GFR이 떨어져 있는 당뇨병성 신장질환 환자들에게 SGLT-2 억제제를 포함한 치료를 우선으로 권고한다.
포시다파는 대웅바이오의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자체생동을 통해 직접 생산하는 제품으로 분할선 삽입을 통해 분할조제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서울아산병원, 서울성모병원 등 빅5 병원과 한양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 등 전국 30개 이상의 상급, 종합병원등에 랜딩된 바 있다.
대웅바이오는 만성 심부전, 만성 신장병 효능,효과를 추가하면서 순환기, 신장내과 등에 학술 영업,마케팅 활동을 강화해 SGLT-2 억제제 시장에서 지배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관련링크
- 이전글현대건설, 지난해 영업손실 1.2조…23년 만에 적자 25.01.22
- 다음글[단독] 재출시된 경영인정기보험, 절세 효과 홍보 여전 25.01.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