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못 크는 한국" 4분기 성장률 0.1% 그쳐…연간도 2%로 전망치 밑돌아
페이지 정보

본문
한은 4분기 및 연간 실질 GDP
![]() |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뉴시스] |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지난해 4분기 우리나라 경제가 0.1% 성장하는 데 그쳤다. 당초 전망0.5%을 크게 하회하는 수치로 3개 분기째 부진을 이어갔다. 연간 경제 성장률도 2.0%에 머물렀다. 수출 성장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조금씩 회복세를 보였던 내수마저 비상계엄 사태로 직격탄을 맞고 급격히 위축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2024년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0.1% 늘어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우리 경제는 지난해 1분기 1.3%의 깜짝 성장을 달성했으나 2분기 역성장으로 돌아섰고 3분기 0.1% 성장에 이어 4분기에도 예상치를 밑도는 0.1%의 미미한 성장률을 기록했다.
연간 기준으로는 전년 대비 2.0%로 성장했다. 2023년 성장률1.4%보다는 높지만 지난해 11월 한은 전망치인 2.2%에는 못 미치는 수준이다. 민간소비 증가 폭이 줄고 건설투자가 감소 전환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 성장률이 0.2%로 3분기0.5% 대비 0.3%포인트p 줄었고 설비투자 부문도 같은 기간 6.5%에서 1.6%로 쪼그라들었다. 건설투자도 3.2% 감소하며 3분기-3.6%에 이어 부진했다.
세부 수치로는 민간소비가 의류·신발 등 준내구재와 의료, 교육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0.2% 증가했고 정부소비가 사회보장현물수혜건강보험급여비를 중심으로 0.5% 증가했다. 설비투자도 반도체제조용장비 등 기계류를 중심으로 1.6% 늘었다.
다만 건설투자가 건물·토목 분야에서 모두 줄며 3.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은 정보기술IT 품목을 중심으로 0.3% 증가했으며 수입은 자동차, 원유 등이 줄어 0.1% 감소했다.
경제활동별로는 농림어업은 재배업 등을 중심으로 3.9% 감소했고 전기가스수도사업과 건설업도 각각 2.9%, 3.5%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제조업은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등이 늘며 0.1% 증가했고 서비스업은 금융 및 보험업, 의료,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등을 중심으로 0.3% 늘었다.
4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 분기 대비 0.6% 증가해 실질 GDP 성장률0.1%을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기준으로는 지난해 민간소비 성장률이 전년 대비 1.1%에 그쳐 2021년 3.7%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증가폭을 기록했다. 건설투자도 2022년 -3.5% 역성장에서 2023년 1.5%로 반등했지만 지난해 다시 -2.7%로 감소 전환되며 전체 경제성장률을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나마 수출이 지난해 6.9%로 성장하며 2021년 이후 최대치를 달성해 2%대 연간 성장률을 방어한 것으로 풀이된다.
[ 인기기사 ]
▶ 한강, 尹 비상계엄 언급 “저항한 시민들, 반복돼선 안 된다는 것 알았기에”
관련링크
- 이전글SK하이닉스, 창사 이래 최대 실적 경신…영업이익 23조 기록 25.01.23
- 다음글"두 달 4000만원 벌었어요"…돼지 키워 인생역전한 승무원 25.01.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