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창사 이래 최대 실적 경신…영업이익 23조 기록
페이지 정보

본문
지난해 매출·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치 기록
HBM 기술력과 수익성 중심 경영 성과의 핵심
HBM3E 공급 확대하고 HBM4 개발 속도 낸다
HBM 기술력과 수익성 중심 경영 성과의 핵심
HBM3E 공급 확대하고 HBM4 개발 속도 낸다

매출은 기존 최고였던 2022년44조6216억원보다 21조원 이상 높은 실적을 달성했고, 영업이익20조8437억원도 메모리 초호황기였던 2018년 성과를 넘어섰다.
이와 관련해 SK하이닉스는 “AI 메모리 반도체 수요 강세가 두드러진 가운데 업계 선두의 고대역폭메모리HBM 기술력과 수익성 중심의 경영을 통해 사상 최고의 실적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4분기에도 높은 성장률을 보인 HBM은 전체 D램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했고 기업용 SSD도 판매를 지속 확대했다”며 “차별화된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수익성 중심 경영으로 안정적인 재무 상황을 구축한 것이 실적 개선세가 이어졌다”고 말했다.
이어 SK하이닉스는 AI 메모리 수요 성장에 따라 고성능, 고품질 중심의 메모리 시장으로 전환되는 상황을 설명하며 “이번 실적은 고객의 요구 수준에 맞는 제품을 적기에 공급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면 안정적인 이익 창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SK하이닉스는 향후 빅테크들의 AI 서버 투자가 확대되고 AI 추론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고성능 컴퓨팅에 필수인 HBM과 고용량 서버 D램 수요가 계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일부 재고 조정이 예상되는 소비자용 제품 시장에서도 AI 기능을 탑재한 PC와 스마트폰 판매가 확대돼 하반기로 갈수록 시장 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해 SK하이닉스는 올해 HBM3E 공급을 늘리고 HBM4도 적기 개발해 고객 요청에 맞춰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또 안정적인 수요가 이어지는 가운데 경쟁력을 보유한 DDR5와 LPDDR5 생산에 필요한 선단 공정 전환을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낸드는 작년에 이어 수익성 중심 운영과 수요 상황에 맞춘 유연한 판매 전략으로 시장에 대응해 나간다.
SK하이닉스는 연간 고정배당금을 기존 1200원에서 1500원으로 25% 상향해 총 현금 배당액을 연간 1조원 규모로 확대한다고도 밝혔다. 향후 배당시 고정배당금만 지급하고 기존 배당정책에 포함됐던 연간 잉여현금흐름FCF의 5%는 재무건전성을 강화하는데 우선적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김우현 SK하이닉스 부사장CFO은 “고부가가치 제품 매출 비중을 크게 늘리면서 시황 조정기에도 과거 대비 안정적인 매출과 이익을 달성할 수 있는 사업 체질을 갖췄다”며 “앞으로도 수익성이 확보된 제품 위주로 투자를 이어간다는 원칙을 유지하면서 시장 상황 변화에 맞춰 유연하게 투자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효진 기자 ihj1217@economidaily.com
★관련기사
HBM 시장 급성장…SK하이닉스 독주 속 삼성전자는 고전
SK하이닉스, 임직원 성과급 옵션 소식에...주주 배당금도 기대 쑥
국내 주식시장 시총 250조 감소… SK하이닉스·HD현대중공업 역주행
★추천기사
[트럼프 2기] 트럼프 재집권, 韓 게임 산업 덮치는 위기와 기회의 파도
JW중외제약,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ITP 치료제 타발리스정 6월 출시
[트럼프 2기] 강달러·대외 리스크 여전…시중은행 달러 예금 급증
-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economidaily.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관련링크
- 이전글500만원 줬더니 혼인 46%↑, 정책 효과?…전문가들 "아직 멀었다" 25.01.23
- 다음글"경제 못 크는 한국" 4분기 성장률 0.1% 그쳐…연간도 2%로 전망치 밑돌아 25.01.2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