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비트·빗썸, 계엄일 전산장애로 35억원 배상…역대 최다금액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업비트·빗썸, 계엄일 전산장애로 35억원 배상…역대 최다금액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6회 작성일 25-01-22 06:01

본문

서버 증설 등 이행계획 제출…금감원 민원처리 대응 등 현장점검
김현정 의원 "금융당국·거래소, 실질적인 대책 통해 안전한 생태계 조성해야"

업비트·빗썸, 계엄일 전산장애로 35억원 배상…역대 최다금액급락했다 가격 회복한 비트코인
서울=연합뉴스 진연수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해제한 4일 오전 서울 서초구 빗썸라운지 강남점에 비트코인 가격이 표시돼 있다. 비트코인은 한때 8천800만원대까지 추락했다가 이후 낙폭을 점차 줄이며 회복했다. 2024.12.4 jin90@yna.co.kr

서울=연합뉴스 채새롬 기자 = 비상계엄 사태 당일 발생한 가상자산거래소 전산장애와 관련해 업비트, 빗썸 등 거래소가 투자자들에게 역대 최대 배상 금액인 30여억원을 배상하기로 했다.

그러나 거래소별로 내규에 의해 배상이 이뤄지고 있어 투자자 보호가 제대로 이뤄지는지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제기된다.

금융당국은 거래소들의 개선계획 이행과 민원 대응을 살펴보기 위해 현장점검을 진행 중이다.

2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과 가상자산거래소 5곳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업비트는 계엄일 전산장애 관련 596건에 31억4천459만8천156원을, 빗썸은 124건에 3억7천753만3천687원을 배상하기로 했다.

업비트와 빗썸은 투자자와 배상 협의를 마무리 중인 단계로, 협의가 완료되면 배상액은 소폭 늘어날 수 있다.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은 해당 사항이 없었다.

이는 가상자산거래소 전산장애와 관련해 역대 최다 인원에 역대 최다 배상 금액이다.

가상자산거래소 1위 업비트는 앞서 최다 기록이 2022년 50건에 1천147만1천876원을 보상한 것이었다. 빗썸은 2022년에는 보상 건이 없었고, 2023년에 29명에게 9천495만915원을 보상했다.

이와 관련 금융당국은 지난달에 이어 20일부터 가상자산거래소 현장점검에 다시 나섰다.

금융감독원은 계엄 사태 이후 거래소들로부터 서버 증설, 클라우드 전환, 비상대응계획BCP 개선 등 향후 대책을 보고 받았는데, 이러한 대책이 잘 이행 중인지 살펴본다는 차원에서다.

금감원 관계자는 "거래소들이 서버 증설, 내부 프로세스 개선 등 이행계획을 제대로 지키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다"며 "배상 기준이 잘 설정돼 있는지 등을 포함해 민원 대응을 잘하고 있는지도 점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현정 의원은 "가상자산 투자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여전히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금융당국과 거래소는 전산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서버 증설과 비상대응계획 개선 등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가상자산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작년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자 비트코인 가격은 1억3천만원에서 8천800만원까지 급락했다.

각 거래소에 이용자 접속량이 급증하면서 접속과 매매거래가 이뤄지지 않았고 업비트에서는 일부 가상자산 출금과 원화 입금이 취소되는 등 장애도 일어났다.

업비트는 평소 동시 접속자 수가 10만명인데, 비상계엄 이후 동시 접속자 수는 110만명 이상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빗썸과 코인원에도 각각 50만명 이상의 접속자가 몰렸다.

이에 따라 업비트는 99분, 빗썸은 62분, 코인원은 40분 동안 장애가 일어났다.

업체들이 가상자산 거래량 증가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전산장애뿐만 아니라 관리 부실 문제도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업비트의 고객확인제도 위반 등 자금세탁방지 의무 불이행 혐의에 제재 절차를 진행 중이다.

FIU는 지난해 8월 말부터 업비트가 제출한 사업자면허 갱신 신고 신청과 관련해 현장검사를 한 결과, 고객확인제도 위반 등 자금세탁방지 의무 불이행 혐의 사례를 수십만건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srchae@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검찰, 주호민 아들 아동학대 혐의 특수교사 항소심도 실형 구형
"100억원 돈다발 제작비 600만원"…가짜 돈의 세계
[트럼프 취임] 멜라니아·이방카·우샤 형형색색 의상 과시…패션쇼 방불
日후지TV 유명 연예인 성상납 의혹 확산…광고 중단 속출
헌재 "피청구인 본인 나오셨습니까"…尹, 자리 일어나 꾸벅
티아라 전 멤버 아름, 팬 금전 편취 혐의 불구속 기소
부산 지구대서 경찰관 또 총상 입고 숨져…한 달 새 두 번째
온몸에 멍든 11살 초등생 사망…둔기로 폭행한 아버지 구속
검찰, 농구교실 억대 자금 횡령 혐의 강동희 징역 2년 구형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916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7,21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