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 없고 돈도 잘 벌어"…기술직에 눈 돌리는 젊은이들
페이지 정보
본문
국내서도 ‘블루칼라’ 인기 높아져
세계적으로 고임금을 받는 블루칼라 직업군생산·기능직 노동자이 떠오르고 있다. 고령화로 인해 숙련공이 부족해지자 임금이 크게 올랐고, 사무직을 선호하던 20~30대 역시 현장직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부산에서 열린 기능경기대회에 참가한 배관공왼쪽과 국내 한 조선소에서 용접 작업을 하고 있는 숙련공오른쪽의 모습. /김동환·안상현 기자
한국에서도 기술직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고등학교 졸업 후 첫 직장을 찾는 20대부터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40~50대까지 현장 기술 분야에 뛰어들고 있다. 지문인식기 등 전자제품을 개발하던 김모49씨는 8년 전부터 에어컨 전문 청소업을 시작했다. 그는 “일반 중소기업에서는 승진 적체로 50대까지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적은데 현장 기술직은 이런 고민을 하지 않아도 돼서 이 일을 선택했다”면서 “최근 3년 사이에 관심이 급증하면서 곳곳에 업체들이 생기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억대 연봉 받는 기술직
기술직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는 데는 임금이 큰 요인이다. 대한건설협회와 중소기업중앙회 등이 지난해 평균 노임을 집계한 결과 특고압 케이블을 작업하는 기술직의 하루 8시간 평균 노임은 42만1236원으로 한 달 평균 약 840만원 이상 버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 현장에서 높은 곳에 임시 가설물을 설치하는 비계공은 28만1721원, 용접공 26만2551원, 미장공 25만6225원으로 뒤를 이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현장에는 특근과 야근 등이 많기 때문에 실제는 평균 노임보다 50%는 더 번다”고 했다.
그래픽=김하경
그래픽=양진경
국내에서 기술직에 대한 인식이 바뀌면서 기술직의 구인·구직을 돕는 서비스가 등장했다. 포항공대 출신들이 창업한 HR 스타트업 ‘디플에이치알’은 생산·기술직 채용 공고만 다루는 전문 채용 플랫폼 ‘고초대졸닷컴’을 지난해 12월부터 운영하기 시작했다. 생산·기술직은 전체 채용 시장의 약 30%를 차지하는 큰 시장이지만, 이 분야를 모르는 젊은 사람들이 자신에게 맞는 공고를 찾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현재 고초대졸닷컴의 20대 지원자 비율은 71.5%이며 월간활성이용자MAU는 15만명을 넘어섰다.
젊은 기술공 양성을 위한 기업들의 지원도 이어지고 있다. HD현대중공업은 올해 초 기능직 인력 양성을 위해 도장 교육이나 용접 실습 등을 위한 ‘뿌리아카데미관’의 문을 열었다. 국내 대표 전동공구 기업인 계양전기도 지난달 전문 숙련공을 꿈꾸는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선발해 소속 학교와 개인에게 수백만원 상당의 각종 공구를 무상 지원하는 ‘네오블루’ 프로젝트에 시동을 걸었다. 미국과 독일 등을 중심으로 기술직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에서도 기술직 근로자에 대한 재평가가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임영환 계양전기 대표는 “전문성을 갖춘 숙련공은 사회적으로도 귀중한 인재”라며 “프로젝트를 더욱 확대해 취업 연계 및 장학금 지원에도 나설 계획”이라고 했다.
조선닷컴 핫 뉴스 Best
[ 조선닷컴 바로가기]
[ 조선일보 구독신청하기]
황규락 기자 rocku@chosun.com 안상현 기자 insula@chosun.com
관련링크
- 이전글美 대선 토론방 연 카카오페이증권…"이슈 중심 채널 제공" 24.09.11
- 다음글"자영업자들 배달앱 이용 100만원 벌면 24만원이 수수료" 24.09.1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