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을 왜곡하는 생성형 AI [프랭크 파스퀘일-HIC]
페이지 정보
본문
이 기사는 해외 석학 기고글 플랫폼 헤럴드 인사이트 컬렉션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
구글 CEO 선다 피차이는 AI를 “인류가 작업 중인 가장 심오한 기술“로 묘사하며, ”불, 전기, 혹은 과거에 우리가 이룬 어떤 것보다도 더 심오하다“고 말했다. AI의 ‘실존적 위험’에 대한 과장된 논의는 오펜하이머의 원자폭탄에 비유되며, 비슷한 서사를 따른다. 이러한 거대한 선언들은 많은 기업 이사회와 정부 기관이 AI 도입 계획을 수립하도록 자극했다.
문제는 과연 그만한 가치가 있는지 아직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다. 골드만 삭스의 글로벌 주식 리서치 책임자는 최근 프로메테우스식 AI 야망에 찬물을 끼얹었다. 이 회사 보고서는 “비싼 AI 기술로 적절한 수익을 얻으려면 매우 복잡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현재 AI는 이를 할 수 없으며, 아마도 영원히 할 수 없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업워크Upwork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생성형 AI를 업무에 사용하는 근로자의 약 80%가 업무량이 증가했고 생산성이 저하됐다“고 나와 있다. 문제의 핵심은 대규모언어모델LLM은 언어 모델일 뿐, 지식 모델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 모델들은 텍스트나 이미지에서 다음 단어나 픽셀이 무엇일지 예측할 수는 있지만, 그 예측을 위해 추론을 하진 않는다. 이러한 추론의 부재는 많은 상황에서 AI의 적용 가능성을 제한한다.
이것은 게리 마커스가 주목한 기이한 이미지에서 따온 ‘야만적인 유니콘savage unicorn’ 문제라고 부른다. 유니콘을 껴안고 있는 노인을 미켈란젤로 스타일로 그리라는 요청을 받은 AI 이미지 엔진이 노인이 유니콘의 뿔에 고통스럽게 찔리면서도 만족스러운 표정을 짓고 있는 모습을 그렸다. 물론, 이러한 오류는 드물다. 하지만 많은 돈이 걸린 상황에서는 인간의 추론이 보장하는 신뢰성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AI는 아직 그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생성형 AI는 비즈니스에서 진정한 혁신을 이루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생성형 AI는 공공의 담론을 어지럽히며, 종종 해롭고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는 2024년 대선 캠페인에서 이를 적극 활용했다. 그는 테일러 스위프트의 지지를 받았다는 가짜 정보를 퍼뜨렸는데, 2024년 테네시 주의 ‘노 페이크 법NO FAKES Act’에 따르면 스위프트는 이에 대해 소송을 제기할 권리가 있다. 일부 트럼프 지지자들은 그가 소수자와 여성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도록 조작된 이미지를 만들어 공유했다. 예를 들어, 트럼프가 웃고 있는 흑인 유권자들과 함께 찍힌 조작된 사진이 최소한 한 명의 BBC 인터뷰 참가자에게는 진짜로 받아들여졌다. 또한, 트럼프 지지자들은 카멀라 해리스의 견해를 깎아내리기 위해 조작된 영상을 유포하기도 했다.
많이 회자되는 생성형 AI의 현실 왜곡 기능이 만들어낸 ‘거짓말쟁이의 배당금liar’s dividend‘이라는 개념은 법학자 다니엘 시트론과 바비 체스니가 언급했다. 이 개념은 어떤 사진이나 동영상의 진위 여부를 쉽게 의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대규모 군중을 모은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사진에 대해, 트럼프는 “카멀라가 공항에서 속임수를 썼다는 걸 눈치챈 사람 있나? 비행기에는 아무도 없었는데 ’AI‘를 이용해 가짜 대규모 ’군중‘을 만들어 보여줬다. 하지만 그 사람들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
해리스의 사진은 여러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의해 진짜임이 확인됐고, 이는 트럼프의 또 다른 거짓말로 드러났다. 그러나 새로운 기술 덕분에 이러한 주장을 하는 것이 점점 더 쉬워지고 있다. 구글이 최근 출시한 픽셀 9 휴대폰의 AI 기반 사진 편집 기능은 허위 정보 확산에 최적화된 도구로, 누구나 손쉽게 사진을 자연스럽게 조작할 수 있게 해준다. 사라 정은 최근 글에서 “이제 사진이 조작됐을 것이라는 가정이 기본이 될지도 모른다. 현실적이고 그럴듯한 가짜 사진을 만드는 것이 이제 너무 쉬워졌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런 상황이 가져올 결과에 대해 아직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생성형 AI가 비즈니스 개선에는 실패하고 정치적 혼란을 초래하는 데 성공한 것처럼 보이고 이 두 가지 문제는 서로 다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관련이 있다. 규제가 부족한 공공 영역에서는 다양한 상황에서 “무엇이든 통하기“ 때문이다. 반면, 금융과 의료 분야는 적절하게 엄격한 규제를 받고 있다. 이러한 비대칭성은 이미지 및 텍스트 생성 소프트웨어의 D2Cdirect-to-consumer앱에 대한 투자와 관심을 유도하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여러 상황에서 쉽게 악용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현실을 왜곡하는 AI의 확산을 제한해야 한다. 생성형 AI의 유포에 대한 새로운 규칙이 필요하다. 특히 사진처럼 사실적일 경우, 이미지나 영상에 AI로 생성했단 것을 알리는 캡션이나 모서리에 로봇 아이콘 등 작은 표시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 한국은 이 방향으로 한 발 나아간 좋은 선례를 제공했다. 2021년 두 주요 대선 후보가 AI 버전의 자신을 등장시킨 지역 맞춤형 영상을 공개하자, 한국 선거관리위원회는 이러한 아바타가 실제 후보가 아님을 명시해야 한다고 규정했다.
플랫폼은 사람들이 자료를 게시할 때 ‘개인 증명’을 요구해야 하며, 이는 봇넷botnet이 가짜 이미지를 빠르게 퍼뜨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봇넷은 악성 소프트웨어멀웨어에 감염되어 공격자나 사이버 범죄자에 의해 조종되는 컴퓨터 네트워크다. 조지타운, 오픈AI, 스탠포드 AI 감시소Stanford AI Observatory의 연구자들은 AI 선전에 대한 여러 가지 완화 방안을 제안한 통찰력 있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하지만 이 규제는 생성형 AI 문제의 절반에 불과하다. 정부는 현실을 개선하는 기술에 정당한 보상을 보장해, 열광에 휘둘리는 산업에 과도한 투자가 집중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런 산업에는 암호화폐, 메타버스, 현재의 D2C생성형 AI 붐 등이 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과 칩스 법CHIPS Act은 이러한 법률의 좋은 예다. 두 법안 모두 공장에 대한 투자를 촉진했다. 중국은 더 오래된 산업 정책 성공 사례를 제공한다. 안젤라 장의 최근 저서 《하이 와이어: 중국이 빅테크를 규제하고 경제를 운영하는 방법》에서 보여주듯, 중국 정부는 더 나은 자동차와 로봇을 만드는 ‘새로운 품질의 생산력’을 배경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하드 테크’를 지원해왔다. 하드 테크는 상상력과 혁신이 요구되는 획기적인 제품을 창출하는 기술이다.
생성형AI는 이러한 ‘하드 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이나 텍스트 명령을 받은 로봇이 수행해야 할 작업의 동영상을 통해 ‘학습’하는 모습을 상상해 보라. 그러나 일반적인 시장은 이러한 발전을 충분히 뒷받침할 인내심이 부족하다. 이 공백을 채우기 위해서는 선도적인 산업 정책이 필요하며, 현실을 왜곡하는 대신 현실을 개선하는 생성형 AI로 투자를 전환해야 한다.
This article was published on Herald biz website. Please visit Herald Insight Collection and read more articles.
bonsang@heraldcorp.com
[베스트 클릭! 헤럴드 경제 얼리어답터 뉴스]
▶ 뉴진스, 위약금 물고 하이브 탈출? 최후통첩 파장…민희진은 하이브에 ‘재선임 가처분 신청’
▶ “빚 100억, 월 이자만 6000만원”…‘행사만 500개’, 잘 나가던 개그맨에게 무슨 일이?
▶ “돈 많이 줄게”…대만 ‘화장 고치다 삐끼삐끼’ 이주은에 러브콜
▶ [영상] 비닐봉지에 코·입 대고 들숨날숨…배달기사의 수상한 행동 잡고보니
▶ 국가비, 공공장소서 모유 수유 인증…“배려 믿기지 않아, 감사”
▶ 트와이스 쯔위 "母에 41억 펜트하우스 선물"
▶ 女손님이 껴안고 깨물고, 누가 봐도 성추행인데…경찰 "입증 어렵다" 논란
▶ "일본도 살인마 신상은 왜 숨겨주냐"…오락가락 신상공개에 원성 폭발
▶ 축협 노조, 정몽규 회장 연임 반대 "무능 그 자체"
▶ 박지성 단장·최용수 감독… 레전드 축구팀 K리그에 도전장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관련링크
- 이전글대웅, 인니 줄기세포 공장 개관…양국 RD 협력 본격화 24.09.13
- 다음글세스코, 업계 최초 ISO 37001 부패방지경영 시스템 포함…6개 인증취득 24.09.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