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쉰다는 청년, 1년 새 12% 급증
페이지 정보

본문
일하는 청년들은 ‘불완전 취업’ 늘어…고령층 구직단념자도 증가
12·3 비상계엄 사태와 내수 침체가 겹치면서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고 ‘그냥 쉬는’ 청년이 1년 전보다 12% 넘게 늘어났다.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감소세를 이어왔던 고령층의 구직단념자도 대폭 늘면서 다시 10만명대로 올라섰다.
1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15~29세 청년층의 ‘쉬었음’ 인구는 41만1000명이었다. 1년 전36만6000명보다 12.3% 증가했다. 같은 기간 청년층 전체 인구는 830만6000명에서 805만5000명으로 3.0% 줄어들었는데도 ‘쉬었음’ 증가폭이 커졌다.
12월 기준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코로나19가 유행하던 2020년 48만5000명에서 매년 감소해 2023년 36만6000명으로 줄었다가 지난해 4년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청년층 쉬었음은 지난해 42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2만1000명 증가, 코로나19 때인 2020년44만8000명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청년층 고용지표가 악화한 것은 코로나19의 기저효과가 사라지고 내수 침체가 본격화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2·3 비상계엄 사태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등으로 지난해 소상공인의 연말 특수가 사라지면서 12월 고용지표에도 악영향을 줬다.
일하는 청년들의 상황도 녹록지 않다. 주당 취업시간이 36시간 미만이라 더 일하고 싶어 하는 ‘불완전 취업’ 상태인 청년이 늘고 있다.
지난해 12월 기준 청년층의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 수는 13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37.4%3만6000명나 급증했다.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는 주당 취업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 취업 의사와 능력이 있는 사람이다.
고령층 구직단념자도 21% 넘게 늘었다. 통계청 고용동향 마이크로데이터를 보면, 60세 이상 구직단념자는 지난해 10만6681명으로 1년 전보다 21.3%1만8698명 늘었다.
구직단념자는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을 원하고 취업할 수 있지만, 임금 수준 등 조건이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할 것 같아 취업을 단념한 구직 경험자들이다. 고용시장을 주도하는 고령층도 내수 침체 여파로 마땅한 일거리를 찾지 못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윤나영 기자 nayoung@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오세훈 “한 지도자의 무모함에 참담한 아침···이제 개헌 논의하자”
· 윤석열, 판사가 ‘최상목 쪽지’ 묻자 “내가 썼나? 김용현이 썼나?” 얼버무렸다
· ‘헌재 습격’ 감행한 윤석열 지지 극우세력 3명 현행범 체포
· “이재명도 구속” 윤 대통령 구속에 일제히 이재명 때린 여당
· 머그샷·수용자복·독방…구속된 윤석열, 달라지는 ‘구치소 생활’
· 경찰, 윤석열 영장 발부한 차은경 서부지법 부장판사 신변보호 착수
· [속보]서부지법 피해현장 찾은 천대엽 법원행정처장 “생각보다 참혹···형사상 중범죄”
· “이재명 구속” 요구하던 오세훈 “분노를 폭력으로…안 돼”
· 조희대 대법원장, 내일 긴급 대법관 회의 소집 “서부지법 사태 논의”
· 윤 대통령 구속에 오세훈 “개헌” 유승민 “국민통합”…한동훈 침묵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2·3 비상계엄 사태와 내수 침체가 겹치면서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고 ‘그냥 쉬는’ 청년이 1년 전보다 12% 넘게 늘어났다.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감소세를 이어왔던 고령층의 구직단념자도 대폭 늘면서 다시 10만명대로 올라섰다.
1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15~29세 청년층의 ‘쉬었음’ 인구는 41만1000명이었다. 1년 전36만6000명보다 12.3% 증가했다. 같은 기간 청년층 전체 인구는 830만6000명에서 805만5000명으로 3.0% 줄어들었는데도 ‘쉬었음’ 증가폭이 커졌다.
12월 기준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코로나19가 유행하던 2020년 48만5000명에서 매년 감소해 2023년 36만6000명으로 줄었다가 지난해 4년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청년층 쉬었음은 지난해 42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2만1000명 증가, 코로나19 때인 2020년44만8000명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청년층 고용지표가 악화한 것은 코로나19의 기저효과가 사라지고 내수 침체가 본격화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2·3 비상계엄 사태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등으로 지난해 소상공인의 연말 특수가 사라지면서 12월 고용지표에도 악영향을 줬다.
일하는 청년들의 상황도 녹록지 않다. 주당 취업시간이 36시간 미만이라 더 일하고 싶어 하는 ‘불완전 취업’ 상태인 청년이 늘고 있다.
지난해 12월 기준 청년층의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 수는 13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37.4%3만6000명나 급증했다.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는 주당 취업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 취업 의사와 능력이 있는 사람이다.
고령층 구직단념자도 21% 넘게 늘었다. 통계청 고용동향 마이크로데이터를 보면, 60세 이상 구직단념자는 지난해 10만6681명으로 1년 전보다 21.3%1만8698명 늘었다.
구직단념자는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을 원하고 취업할 수 있지만, 임금 수준 등 조건이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할 것 같아 취업을 단념한 구직 경험자들이다. 고용시장을 주도하는 고령층도 내수 침체 여파로 마땅한 일거리를 찾지 못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윤나영 기자 nayoung@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오세훈 “한 지도자의 무모함에 참담한 아침···이제 개헌 논의하자”
· 윤석열, 판사가 ‘최상목 쪽지’ 묻자 “내가 썼나? 김용현이 썼나?” 얼버무렸다
· ‘헌재 습격’ 감행한 윤석열 지지 극우세력 3명 현행범 체포
· “이재명도 구속” 윤 대통령 구속에 일제히 이재명 때린 여당
· 머그샷·수용자복·독방…구속된 윤석열, 달라지는 ‘구치소 생활’
· 경찰, 윤석열 영장 발부한 차은경 서부지법 부장판사 신변보호 착수
· [속보]서부지법 피해현장 찾은 천대엽 법원행정처장 “생각보다 참혹···형사상 중범죄”
· “이재명 구속” 요구하던 오세훈 “분노를 폭력으로…안 돼”
· 조희대 대법원장, 내일 긴급 대법관 회의 소집 “서부지법 사태 논의”
· 윤 대통령 구속에 오세훈 “개헌” 유승민 “국민통합”…한동훈 침묵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산업연 "2월 제조업 내수·수출 동반 반등…8개월만에 상승 전환" 25.01.19
- 다음글LG화학 신학철, 다보스포럼 산업협의체 의장 연임 25.01.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