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설 경기 5년래 최악…연휴때 휴무는 늘어
페이지 정보

본문
올해 설 경기가 지난해보다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 상여금 지급 기업도 감소했다. 평균 설 휴무 기간은 6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5인 이상 602개 기업응답 기업 기준을 대상으로 설 휴무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설문 결과, 설 경기가 전년보다 악화했다고 응답한 기업 비중은 60.5%에 달했다. 최근 5년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에는 50%였다. 설 경기가 개선됐다는 응답은 4.4%로 최근 5년 가운데 가장 낮았다.
규모별로 살펴보면 경기가 악화했다는 응답은 300인 미만62.0%이 300인 이상 기업48.5%보다 13.5%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상여금도 줄어드는 분위기다. 설 상여금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62.4%로 지난해에 비해 2.1%포인트 감소했다. 300인 미만60.3%보다 300인 이상 기업78.8%에서 상여금을 지급하는 기업 비중이 높았다.
상여금 지급 방식은 정기상여금65.7%, 별도상여금24.4%, 정기·별도상여금 동시 지급9.8% 순으로 조사됐다. 별도상여금은 단체협약·취업규칙에 명시돼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이 아닌 사업주 재량에 따라 지급되는 것이다.
설 휴무를 실시하는 기업 중 45.0%는 6일간 쉬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요일25일, 일요일26일, 임시공휴일27일과 설 공휴일 3일이 이어진 결과다.
5일 이하 25.0%, 9일 휴무는 21.5%로 조사됐다. 300인 이상 기업은 7일 이상 휴무라는 응답42.2%이 300인 미만 기업28.5%보다 높았다.
실적 달성 부담 요인으로는 제품·서비스 수요 부진61.9%이 가장 많았다. 이어 원자재 값 상승53.2%, 인건비 상승44.6%, 금융비용 상승24.1% 순으로 나타났다.
제품·서비스 수요 부진 응답은 300인 미만 기업62.5%이 300인 이상 기업56.9%보다 5.6%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정승환 재계전문기자]
▶ 尹 구속여부 판단할 차은경 부장판사 누구?…과거 판결 주목
▶ 세뱃돈으로 현금 말고 ‘이것’ 주세요...10대들이 가장 원하는 이 선물
▶ “가족 간 갈등 원인 돈이 문제가 아니었다”…1위는 바로 ‘이것’
▶ 이란 대법원 앞서 판사 3명 총 맞아 2명 사망·1명 부상
▶ 美, 尹대통령 구속에 “ 한국 민주주의 회복력 확신...崔 대행과 협력에 전념”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한국경영자총협회가 5인 이상 602개 기업응답 기업 기준을 대상으로 설 휴무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설문 결과, 설 경기가 전년보다 악화했다고 응답한 기업 비중은 60.5%에 달했다. 최근 5년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에는 50%였다. 설 경기가 개선됐다는 응답은 4.4%로 최근 5년 가운데 가장 낮았다.
규모별로 살펴보면 경기가 악화했다는 응답은 300인 미만62.0%이 300인 이상 기업48.5%보다 13.5%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상여금도 줄어드는 분위기다. 설 상여금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62.4%로 지난해에 비해 2.1%포인트 감소했다. 300인 미만60.3%보다 300인 이상 기업78.8%에서 상여금을 지급하는 기업 비중이 높았다.
상여금 지급 방식은 정기상여금65.7%, 별도상여금24.4%, 정기·별도상여금 동시 지급9.8% 순으로 조사됐다. 별도상여금은 단체협약·취업규칙에 명시돼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이 아닌 사업주 재량에 따라 지급되는 것이다.
설 휴무를 실시하는 기업 중 45.0%는 6일간 쉬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요일25일, 일요일26일, 임시공휴일27일과 설 공휴일 3일이 이어진 결과다.
5일 이하 25.0%, 9일 휴무는 21.5%로 조사됐다. 300인 이상 기업은 7일 이상 휴무라는 응답42.2%이 300인 미만 기업28.5%보다 높았다.
실적 달성 부담 요인으로는 제품·서비스 수요 부진61.9%이 가장 많았다. 이어 원자재 값 상승53.2%, 인건비 상승44.6%, 금융비용 상승24.1% 순으로 나타났다.
제품·서비스 수요 부진 응답은 300인 미만 기업62.5%이 300인 이상 기업56.9%보다 5.6%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정승환 재계전문기자]
▶ 尹 구속여부 판단할 차은경 부장판사 누구?…과거 판결 주목
▶ 세뱃돈으로 현금 말고 ‘이것’ 주세요...10대들이 가장 원하는 이 선물
▶ “가족 간 갈등 원인 돈이 문제가 아니었다”…1위는 바로 ‘이것’
▶ 이란 대법원 앞서 판사 3명 총 맞아 2명 사망·1명 부상
▶ 美, 尹대통령 구속에 “ 한국 민주주의 회복력 확신...崔 대행과 협력에 전념”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후지TV 성상납 파문 확산…도요타 방송 광고 중단 25.01.19
- 다음글홍천군 꽁꽁축제 주말 인파 25.01.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