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 분노할 것"…틱톡 구하기 나선 트럼프 속내는
페이지 정보

본문

사진=AFP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중국계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의 미국 내 서비스 중단을 유예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트럼프 당선인은 19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틱톡 금지법에 명시된 틱톡 미국 사업권의 매각 기간을 늘리는 행정명령을 20일대통령 취임일 낼 것이라며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국가안보를 보호하는 합의를 할 수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또 "미국의 관련 사업자들에게 틱톡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하길 요청한다"며 "이 요구에 부응한 업자들은 19일 자로 시행된 틱톡 금지법에 따른 법적 책임을 묻지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는 작년 미 의회를 통과해 대통령 서명까지 마친 틱톡 금지법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 매각을 강제하는 법안에 매각과 관련한 중대 진전이 있을 경우 매각 시한을 90일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규정을 발동할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작년 4월 미 의회를 통과한 틱톡금지법은 틱톡의 중국 모회사인 바이트댄스가 미국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으면 오는 19일부터 미국에서 틱톡의 신규 다운로드를 금지하는 등 내용을 골자로 한다. 중국이 틱톡을 통해 미국인의 민감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여론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초당파적 공감대 속에 법안은 의회를 통과했고, 틱톡이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으나 1·2심 모두 국가 안보 우려가 정당하기 때문에 법에 문제가 없다는 판결이 나왔다.
결국 틱톡은 금지법이 발효되는 19일부터 미국 내 서비스를 완전히 중단할 계획임을 밝힌 바 있다. 틱톡의 미국 내 서비스는 지난 18일 밤을 기해 중단됐다.
첫 임기 때 틱톡을 금지하려 했던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해 11월 대선 과정에서 틱톡을 선거운동에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이후 "틱톡을 금지하면 젊은 층이 분노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는 등 틱톡 퇴출 반대로 돌아섰다.
이와 함께 트럼프 당선인은 틱톡의 모기업인 중국 기업 바이트댄스와 미국 기업이 참여하는 합작 법인을 만들어 미국 측이 그 법인의 지분 절반을 갖게 하는 구상을 제안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틱톡을 구하고, 틱톡이 좋은 사람들의 손안에 있도록 할 수 있다"며 "미국의 승인이 없으면 틱톡도 없고, 우리의 승인이 있으면 틱톡은 수천억 달러수백조원의 가치를 갖는다. 어쩌면 몇조 달러수천조원에 이를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트럼프 당선인의 발표와 함께 틱톡 측은 서비스 복구 절차를 진행 중이다. 틱톡은 "트럼프 대통령당선인이 우리 서비스 제공업자들에게 어떠한 처벌도 받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준 것에 대해 감사하다"며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당선인과 협력해 미국에서 틱톡을 유지할 수 있는 장기적인 해결책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관련링크
- 이전글[트럼프 어게인]슈퍼 트럼피즘으로 높아질 주가 변동성 25.01.20
- 다음글油化, 끝모를 불황…빅4 영업익 2년새 16분의 1로 25.01.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