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돈에 54만원 넘었다"…高환율·정국불안에 금값 천정부지
페이지 정보

본문
국내 금값, 한 달 만에 4%↑…얼마나 더 오를까?
금값이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는 중국 등 신흥국의 금 수요 증가, 트럼프 행정부 정책의 불확실성, 미국 내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금이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내에서도 고환율과 정치적 불안정성이 금값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된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한 달 사이 4% 이상 상승해 그램당 13만 원 안팎에서 거래되고 있다. 실물 순금한돈 가격도 지난해 말 52만 7000원에서 54만 4000원으로 2주 만에 약 3% 상승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약 50% 가까이 급등한 수준이다.
국제 금값 역시 1년 사이 30% 이상 상승하며 온스당 2700달러에 가까워졌다. 일반적으로 달러 가치와 금 가격은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지만, 최근의 상승세는 이례적이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 2기의 출범을 앞두고 자산시장이 요동칠 수 있다는 우려가 투자자들로 하여금 안전자산인 금에 주목하게 한 결과로 풀이된다.
미국 월가에서도 올해 금값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JP모건 글로벌 원자재 전략 수석 나타냐 카네바는 “금은 위험 회피 자산으로서 좋은 위치를 점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JP모건, 골드만삭스, 씨티 등 주요 금융기관은 금값 목표치를 온스당 3000달러로 제시했으며, 이를 국내 금값으로 환산하면 한돈당 약 60만 원에 달한다.
최예찬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 우려, 중국의 금 매입 증가 등이 국제 금값 상승을 이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금값에는 환율 상승과 정치적 불안정성이 추가적인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금값이 온스당 3000달러를 돌파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최 연구원은 “미국 금리 인하 속도 조절로 인해 금리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금값 상승세가 제한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금은 전통적으로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며 시장 불안정성이 커질수록 가치를 인정받는 자산이다. 하지만 급등세 이후의 가격 조정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조언도 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김부선 “이재명 이해한다, 아내도 있으니…차악으로 선택해달라”
▶ “이래서 연예인들 자꾸 버릇 없어져”...백지영, 시상식 준비하며 ‘일침’
▶ 한덕수 탄핵 때 씨익 웃은 이재명…"해명하라" 與 반발
▶ 한혜진 “제작진 놈들아, 정신 차리게 생겼냐”…前남친 전현무 등장에 분노 폭발
▶ ‘미스터션샤인’ 이정현, 기아 생산직 지원…‘평균연봉 1억2천’
▶ “너희 찢는다”→“민주당에 민주주의 없어”…‘尹지지’ JK김동욱, 연일 과감
▶ 62억대 전세 사기 부부, 추방 사진 공개
▶ ‘김딱딱 사건’ 6년만 사과에…서현 “최후 승자는 선한 사람”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아내가 생겼다" "오피스 남편이 생겼다" 떳떳한 관계?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금값이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는 중국 등 신흥국의 금 수요 증가, 트럼프 행정부 정책의 불확실성, 미국 내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금이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내에서도 고환율과 정치적 불안정성이 금값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된다.
![]() |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급값이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연합뉴스 |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한 달 사이 4% 이상 상승해 그램당 13만 원 안팎에서 거래되고 있다. 실물 순금한돈 가격도 지난해 말 52만 7000원에서 54만 4000원으로 2주 만에 약 3% 상승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약 50% 가까이 급등한 수준이다.
국제 금값 역시 1년 사이 30% 이상 상승하며 온스당 2700달러에 가까워졌다. 일반적으로 달러 가치와 금 가격은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지만, 최근의 상승세는 이례적이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 2기의 출범을 앞두고 자산시장이 요동칠 수 있다는 우려가 투자자들로 하여금 안전자산인 금에 주목하게 한 결과로 풀이된다.
미국 월가에서도 올해 금값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JP모건 글로벌 원자재 전략 수석 나타냐 카네바는 “금은 위험 회피 자산으로서 좋은 위치를 점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JP모건, 골드만삭스, 씨티 등 주요 금융기관은 금값 목표치를 온스당 3000달러로 제시했으며, 이를 국내 금값으로 환산하면 한돈당 약 60만 원에 달한다.
최예찬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 우려, 중국의 금 매입 증가 등이 국제 금값 상승을 이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금값에는 환율 상승과 정치적 불안정성이 추가적인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
금 투자는 은행 골드뱅킹부터 골드바 등 실물투자, 금 상장지수펀드ETF까지 여러 가지가 있다. 전문가들은 금 투자 방법마다 비용과 세금 등이 다르기 때문에 투자 전 꼼꼼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게티이미지뱅크 |
다만 금값이 온스당 3000달러를 돌파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최 연구원은 “미국 금리 인하 속도 조절로 인해 금리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금값 상승세가 제한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금은 전통적으로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며 시장 불안정성이 커질수록 가치를 인정받는 자산이다. 하지만 급등세 이후의 가격 조정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조언도 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김부선 “이재명 이해한다, 아내도 있으니…차악으로 선택해달라”
▶ “이래서 연예인들 자꾸 버릇 없어져”...백지영, 시상식 준비하며 ‘일침’
▶ 한덕수 탄핵 때 씨익 웃은 이재명…"해명하라" 與 반발
▶ 한혜진 “제작진 놈들아, 정신 차리게 생겼냐”…前남친 전현무 등장에 분노 폭발
▶ ‘미스터션샤인’ 이정현, 기아 생산직 지원…‘평균연봉 1억2천’
▶ “너희 찢는다”→“민주당에 민주주의 없어”…‘尹지지’ JK김동욱, 연일 과감
▶ 62억대 전세 사기 부부, 추방 사진 공개
▶ ‘김딱딱 사건’ 6년만 사과에…서현 “최후 승자는 선한 사람”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아내가 생겼다" "오피스 남편이 생겼다" 떳떳한 관계?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관련링크
- 이전글금융당국, 업비트에 자금세탁방지 위반 중징계…"신규 가상자산 전송제한... 25.01.17
- 다음글아파트 매매가 하락폭 커져…주택 전망도 2년來 최악 25.01.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