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웨스팅하우스 분쟁 타결…팀코러스 원전시장 누빈다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수력원자력과 미국 웨스팅하우스가 2022년부터 2년 넘게 끌어온 지식재산권 분쟁이 양측 간 합의로 종지부를 찍게 됐습니다.
오늘16일 원자력 업계에 따르면 한수원과 한국전력, 웨스팅하우스는 지재권 분쟁 절차를 중단하기로 하고 향후 글로벌 원전 시장에서 협력하기로 합의했습니다.
한수원과 한전, 웨스팅하우스는 웨스팅하우스의 지분을 갖고 있는 캐나다 핵연료 회사 카메코와 함께 16일현지시간 미국에서 협상 타결을 공식 선언할 예정입니다.
그간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의 지재권 분쟁은 오는 3월로 예정된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최종 수주를 앞두고 최대 걸림돌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가 지재권 분쟁을 해결함으로써 한수원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체코 신규 원전 수출 계약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한수원 고위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협상이 타결되면서 양측 모두에게 원전 수출 시장이 넓어지는 효과가 기대된다"며 "우리나라의 경우 원전 부품 업체 등의 일감도 늘어나 원전 생태계와 공급망이 커진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 측은 지재권 협상 내용의 구체적인 내용은 비밀유지 약속에 따라 공개하지 않을 방침으로 알려졌습니다.
원전 업계 안팎에서는 한수원이 체코 원전 수출과 관련해 웨스팅하우스에 일정 부분의 일감을 주고, 향후 유럽 및 비유럽 등 제3 국 원전 수출도 공동 추진하는 내용의 합의안이 추진된다는 관측이 나왔습니다.
웨스팅하우스는 한수원이 체코에 공급하려는 최신 한국형 원전 APR1400이 자사의 원천 기술에 기반한 것이라며 한수원의 독자적인 수출에 제동을 걸어왔습니다.
반면 한수원은 APR1400의 국산화에 성공했기 때문에 독자 수출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었습니다.
양측의 입장이 팽팽하게 맞서면서 향후 한국의 원전 수출 시 번번이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재권 분쟁에 발목 잡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적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한수원으로선 불확실한 분쟁을 이어가기보다는 이번 협상 타결을 통해 팀 코러스Team Korea+US로 글로벌 수출 시장을 넓히는 전략을 택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앞서 한미 양국 정부가 지난 8일현지시간 제3 국으로의 원전 수출 문제와 관련한 당국 간 소통 체계를 구축하는 내용을 담은 약정MOU에 정식 서명한 것도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 간 협상 타결이 임박했음을 시사했습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최근 인터뷰에서 "이제 민간에서도 문제를 건설적으로 잘 풀려고 하는 노력을 하지 않을까 싶다"며 "이렇게 되면 3월에 우리가 체코에 원전을 수출하는 것은 큰 문제없이 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만들었다고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문제가 풀어진다면 엄청나게 큰 시장에 같이 가서 조인트 파트너십으로 할 일이 많다"며 "한미 기업이 공동으로 많은 것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하정연 기자 h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오늘16일 원자력 업계에 따르면 한수원과 한국전력, 웨스팅하우스는 지재권 분쟁 절차를 중단하기로 하고 향후 글로벌 원전 시장에서 협력하기로 합의했습니다.
한수원과 한전, 웨스팅하우스는 웨스팅하우스의 지분을 갖고 있는 캐나다 핵연료 회사 카메코와 함께 16일현지시간 미국에서 협상 타결을 공식 선언할 예정입니다.
그간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의 지재권 분쟁은 오는 3월로 예정된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최종 수주를 앞두고 최대 걸림돌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가 지재권 분쟁을 해결함으로써 한수원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체코 신규 원전 수출 계약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한수원 고위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협상이 타결되면서 양측 모두에게 원전 수출 시장이 넓어지는 효과가 기대된다"며 "우리나라의 경우 원전 부품 업체 등의 일감도 늘어나 원전 생태계와 공급망이 커진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 측은 지재권 협상 내용의 구체적인 내용은 비밀유지 약속에 따라 공개하지 않을 방침으로 알려졌습니다.
원전 업계 안팎에서는 한수원이 체코 원전 수출과 관련해 웨스팅하우스에 일정 부분의 일감을 주고, 향후 유럽 및 비유럽 등 제3 국 원전 수출도 공동 추진하는 내용의 합의안이 추진된다는 관측이 나왔습니다.
웨스팅하우스는 한수원이 체코에 공급하려는 최신 한국형 원전 APR1400이 자사의 원천 기술에 기반한 것이라며 한수원의 독자적인 수출에 제동을 걸어왔습니다.
반면 한수원은 APR1400의 국산화에 성공했기 때문에 독자 수출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었습니다.
양측의 입장이 팽팽하게 맞서면서 향후 한국의 원전 수출 시 번번이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재권 분쟁에 발목 잡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적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한수원으로선 불확실한 분쟁을 이어가기보다는 이번 협상 타결을 통해 팀 코러스Team Korea+US로 글로벌 수출 시장을 넓히는 전략을 택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앞서 한미 양국 정부가 지난 8일현지시간 제3 국으로의 원전 수출 문제와 관련한 당국 간 소통 체계를 구축하는 내용을 담은 약정MOU에 정식 서명한 것도 한수원과 웨스팅하우스 간 협상 타결이 임박했음을 시사했습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최근 인터뷰에서 "이제 민간에서도 문제를 건설적으로 잘 풀려고 하는 노력을 하지 않을까 싶다"며 "이렇게 되면 3월에 우리가 체코에 원전을 수출하는 것은 큰 문제없이 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만들었다고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문제가 풀어진다면 엄청나게 큰 시장에 같이 가서 조인트 파트너십으로 할 일이 많다"며 "한미 기업이 공동으로 많은 것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하정연 기자 ha@sbs.co.kr
인/기/기/사
◆ 오늘 구치소 메뉴 보니…윤 대통령이 먹을 식단 화제
◆ "고작 100m를!" 지구대 앞 쿵 굉음…놀란 경찰들 뛰쳐나갔더니
◆ 모텔 4층 난간서 "살려주세요!" 소리친 남성…방에서 발견된 건
◆ "무시해서" 직장 동료 살해 뒤 4세 자녀 앞에서 아내 성폭행
◆ "어른 얘기하는데 XX" "오래만 산 건 노인"…갈라진 연예계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BMW 코리아, 1월 온라인 한정 에디션 출시…"다양한 한정판 추가 공개 예... 25.01.16
- 다음글"예전엔 상상도 못했는데"…큰손 연기금도 비트코인 줍줍 25.01.1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