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50.4% "올해 투자 계획 없다"
페이지 정보

본문
올해 중견기업의 50.4%가 투자 계획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년 조사 대비 8.7%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21일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2025년 중견기업 투자 전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024년 11월 18일부터 12월 2일까지 중견기업 800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투자 계획이 없다고 밝힌 50.4%는 불확실한 시장 상황38.2%, 경영 실적 악화19.6% 등 급격한 대내외 환경 변화에 대한 우려를 원인으로 꼽았다.

투자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49.6%의 중견기업 중에서도 전년 대비 투자 규모를 늘리겠다고 밝힌 중견기업은 41.5%였다. 전년 수준으로 유지하거나35.8%, 줄일 것22.7%이라는 응답은 절반을 상회하는 58.5%로 집계됐다. 투자 감소를 전망한 중견기업들은 ‘내수시장 부진40.0%’, ‘경기 악화 우려24.4%’, ‘생산 비용 증가10.0%’, ‘고금리·자금조달 애로7.8%’ 등을 주요 요인으로 지목했다.
투자가 확대될 것이라고 응답한 중견기업들은 ‘주력사업 확장35.7%’, ‘신사업 진출 강화26.7%’, ‘해외 시장 진출 확대17.0%’, ‘노후 설비 개선·교체11.5%’ 등을 이유로 들었다.
올해 중견기업의 투자는 국내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해외 투자가 19.6%에 그친 반면, 국내 설비 투자와 국내 연구개발Ramp;D 투자는 각각 70.0%, 37.0%로 나타났다. 투자 목적으로는 ‘기존 설비 개·보수33.8%’가 가장 많이 꼽혔고, ‘공장 신·증설20.1%, ‘Ramp;D 투자19.9%’, ‘친환경·ESG 투자7.3%’, ‘디지털 전환 투자6.8%’ 등이 뒤를 이었다.
중견기업의 투자 확대를 견인하기 위한 정책 방안으로는 ‘세제 지원 확대38.0%’, ‘물가 안정 및 내수 활성화21.6%’, ‘금리 인하20.1%’, ‘정책금융 강화8.5%’, ‘노동 등 경영 환경 개선8.5%’ 등이 꼽혔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악화된 경제 상황 하에서 절반49.6%의 중견기업이 일부 규모를 줄이더라도 올해 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라는 조사 결과는 위기 극복의 핵심으로서 중견기업의 가치를 재확인하는 상징적인 장면이지만, 대내외 혼란이 확대되면서 투자가 더욱 위축될 가능성이 큰 것 또한 사실”이라며, “정책금융의 문턱을 과감하게 낮춰 중견기업의 투자 자원으로서 정책금융과 내부자금의 고질적인 불균형을 해소하는 한편 노동, 환경, 세제 등 법·제도 환경을 시급히 개선함으로써 중견기업의 장기 투자 여력을 실효적으로 확충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관련기사]
☞ "내 베프이자 최고의 아빠"…부친상 알린 박진영
☞ "이혼하자면 반대 말고 월급 이상 돈 빌리지 마"…회장님의 오지랖
☞ 3평 독방 수감된 尹, 수형복 입고 머그샷 촬영…"하룻밤 잘 보냈다"
☞ 사기 무혐의 유재환 "파산상태지만 음악만은 계속할 것"
☞ "MBC 사과하라"…尹 체포에 눈물흘린 최준용 나오자 폭발한 시청자
▶ 2025년 사주·운세·토정비결·궁합 확인!
▶ 소비자가 픽한 유통 브랜드 대상은?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관련링크
- 이전글"1월 日중앙은행 긴축 사이클 시작…기조적 물가 반등이 금리 인상 근거" 25.01.21
- 다음글삼성전자, AI 전자칠판 공개…안드로이드 15 탑재 25.01.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