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미래에셋 비만치료제 ETF, 두 종목에 올인…3번째가 승부처?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삼성미래에셋 비만치료제 ETF, 두 종목에 올인…3번째가 승부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94회 작성일 24-07-11 07:31

본문

뉴스 기사
삼성운용 비만치료제 ETF 국내 최초 1000억원 돌파

[서울=뉴스핌] 한태봉 전문기자 = 전 세계적으로 비만치료제 열풍이 뜨겁다. 이런 흐름에 맞춰 올 초에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각각 개성 넘치는 비만치료제 ETF를 출시했다. 그런데 포트폴리오를 살펴보면 단 2개 종목이 전체 ETF 비중의 50%를 차지한다. 이들은 어째서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에 올인 한 걸까?

◆ 삼성과 미래에셋의 비만치료제 ETF 전략은 비슷?

삼성자산운용의 KODEX 글로벌비만치료제TOP2 Plus ETF는 2024년 2월 14일에 국내 최초로 상장됐다. 그로부터 15일 뒤인 2024년 2월 29일에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글로벌비만치료제TOP2Plus ETF가 연달아 상장됐다. 이 2개의 ETF 전략 중 서로 유사한 건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 주식을 각각 25% 내외로 편입했다는 점이다.

삼성미래에셋 비만치료제 ETF, 두 종목에 올인…3번째가 승부처?

흥미로운 점은 양사 모두 2개 종목을 비슷한 비중으로 담았다. 둘 중 어느 종목이 더 상승여력이 큰지는 판단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이는 전문가들도 어디가 우위를 점할지 의견이 엇갈리기 때문이다. 일라이릴리와 노보노디스크는 서로 다른 강점을 갖고 있다.

◆ 덴마크 기업 노보노디스크, 비만치료제로 급성장

덴마크 기업인 노보노디스크의 GPL-1 작용제 계열 당뇨병 치료제 오젬픽은 2023년에만 19조1000억원957억 덴마크크로네의 기록적인 매출액을 보였다. 단일 의약품 기준 매출액 1위인 머크의 키트루다250억달러, 2위인 애브비의 휴미라144억달러에 이어 오젬픽이 당당히 3위다.

노보노디스크가 원래 메이저급 제약사는 아니었던 점을 감안하면 엄청난 성과다. 추가로 동일 성분으로 만든 비만치료제 위고비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2021년6월에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다. 이에 힘입어 위고비의 2023년 매출은 6조3000억원313억 덴마크크로네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무려 407% 급증한 수치다.

문제는 위고비의 심각한 공급부족이다. 한 마디로 없어서 못 판다. 위고비는 현재까지 미국, 독일, 덴마크, 노르웨이, 영국, 네덜란드, 스웨덴, 일본 등 8개 국가에서만 판매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아직 판매되지 않는다.

이런 심각한 공급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2024년 2월에 노보노디스크의 모 회사인 노보홀딩스는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인 카탈란트를 22조원165억달러에 전격 인수했다.

카탈란트의 생산시설은 노보노디스크에 우선 배정돼 위고비 생산에 숨통이 트이게 된다. 그 외에도 노보노디스크는 추가로 유럽 각지의 기존 공장 증축, 미국에는 새로운 자체 공장 설립을 진행 중이다.

노보노디스크 주가는 가파른 성장 기대감으로 작년과 올해 대 폭등했다. 현재는 유럽 증시 부동의 1위였던 LVMH루이비통모엣헤네시 마저 가볍게 누르고 유럽 시가총액 1위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 미국 기업 일라이릴리 비만치료제 성능 더 우수해

노보노디스크에 맞서는 일라이릴리 비만치료제 젭바운드의 강점은 성능이다. 임상 결과를 살펴보면 위고비는 68주차에 평균 14.9% 감량했다. 반면 젭바운드는 36주차에 평균 20.9% 감량했다. 위고비보다 젭바운드의 임상결과가 더 뛰어난 셈이다.

2407101650097870.jpg

일라이릴리의 젭바운드는 위고비보다 2년 이상 늦은 2023년 11월에 FDA의 최종 승인을 받았다. 늦은 속도를 만회하기 위한 전략은 가격인하다. 위고비의 1개월 치료비는 약 180만원1350달러인데 비해 젭바운드는 약 140만원1060달러으로 저렴하다.

문제는 역시 공급이다. 전 세계에서 위고비나 젭바운드의 비만치료제를 애타게 기다리는 사람들이 많지만 아직 공급은 턱없이 부족하다. 일라이릴리 역시 젭바운드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인디애나주 레버넌 공장에 약 7조2000억원53억달러을 추가 투자하는 등 공장 증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노보홀딩스의 카탈란트 인수사례처럼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인수합병 소식은 아직 들리지 않는다. 신공장 건설의 경우 기본적으로 2~3년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단시간에 젭바운드의 공급부족이 해결될 가능성은 작다.

2407101657115980.jpg
[사진 = 셔터스톡]

◆ 일라이릴리의 강점은 다양한 파이프라인

노보노디스크는 당뇨병치료제와 비만치료제에 집중된 파이프라인을 가지고 있다. 반면 일라이릴리는 당뇨와 비만 분야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의약품 파이프라인을 가지고 있는 게 또 다른 차이점이다.

일라이릴리의 주력 의약품을 살펴보면 당뇨병 치료제로는 트루리시티, 자디앙, 마운자로 등이 있다. 항암제 분야에서는 유방암 치료제인 버제니오가 유명하다.

또 면역학 분야에서는 건선 치료제인 탈츠 매출액도 상당하다. 하지만 현재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받는 의약품은 일라이릴리의 야심작인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도나네맙성분명이다.

◆ 일라이릴리의 치매치료제 키썬라도나네맙 기대감 폭발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5500만명 이상이 알츠하이머병치매을 앓고 있다. 한국도 만만치 않다. 중앙 치매센터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65세 이상 치매 환자는 무려 92만명에 달한다. 65세 이상 노인인구 중 10.2%가 치매에 시달리는 셈이다.

집안에 치매환자가 발생할 경우 가족들에게도 심각한 고통을 준다. 또 길을 잃거나 위험한 행동을 하는 등 가정에서 치매환자를 돌보기는 어려움이 많다. 결국 요양시설에 입소하게 된다. 이럴 경우 치매환자도 집이 아니라서 불편해 한다. 결국 한 사람의 삶이 전반적으로 파괴된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알츠하이머병치매 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하지만 그 동안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는 안정성 문제로 번번이 FDA의 최종승인에 실패해 왔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최근 2건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가 FDA의 최종 심사를 통과해 관심이 집중된다.

먼저 아두헬름은 2021년에 가장 먼저 FDA의 승인을 받았지만 현재는 판매가 중단됐다. 이를 제외하면 사실상의 첫번째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는 레켐비다. 레켐비는 바이오젠과 에자이 사가 공동으로 개발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2023년 7월에 FDA의 승인을 받았다.

1년 뒤인 2024년 7월에 일라이릴리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키썬라성분명 : 도나네맙도 FDA의 심사를 통과했다. 키썬라Kisunla는 경증 치매환자의 임상 3상에서 가짜약 투약군 대비 인지 기능 저하 속도를 35% 늦추는 데 성공했다. 이는 레켐비의 27%보다 뛰어난 성과다.

키썬라의 1년 투약비용은 약 4300만원3만2000달러이다. 보험 적용이 안 될 경우 웬만한 사람들은 선택하기 어려운 가격이다. 반면 제약사 입장에서는 상당한 수익이 기대된다. 시장에서는 2030년에 키썬라 연간 매출액을 약 2조7000억원20억달러으로 전망한다. 일라이릴리의 파이프라인이 탄탄해 보이는 이유다.

◆ 삼성은 강소 제약사, 미래에셋은 대형 제약사로 차별화

삼성과 미래에셋의 비만치료제 ETF 상위 2개 종목인 노보노디스크와 일라이릴리의 비중은 각각 25%로 양사가 비슷하다. 따라서 수익률 격차는 나머지 보유비중 3위-10위권 종목의 차별화로 결정된다.

2407101650521820.jpg

3위부터 10위까지 포트폴리오를 살펴보면 양사의 전략은 확연히 다르다. 서로 겹치는 종목은 암젠, 로슈 홀딩스, 아스트라 제네카, 리제네론 파마슈티컬스 등 4종목에 불과하다. 나머지 4종목은 전혀 겹치지 않는다.

삼성자산운용의 KODEX 글로벌비만치료제TOP2 Plus ETF는 이름처럼 비만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회사들에 집중한다. 이에 따라 새로운 비만치료제 개발에 주력하는 강소 제약사들을 선별해 동일 가중 방식으로 투자하는 전략을 쓴다.

반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글로벌비만치료제TOP2Plus ETF는 강소 제약사들 보다는 빅파마 위주의 대형제약사 위주 포트폴리오다. 이는 대형제약사의 자금력이 막대하므로 자체 신약개발이나 Mamp;A 중 선택할 수 있어 더 유리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삼성은 비만치료제 자체의 성장 가능성에 좀 더 무게중심을 뒀다. 미래에셋은 비만치료제대형 제약사의 안정적인 파이프라인과 배당수익률에 좀 더 무게중심을 뒀다. 이런 차이점은 특정한 시장상황에 따라 양 사 ETF 간 수익률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차별화 포인트다.

◆ 삼성은 질랜드파마와 바이킹 테라퓨틱스에 기대 커

삼성자산운용의 비만치료제 ETF에서 3번째로 많이 보유중인 종목은 9% 비중인 질랜드파마다. 질랜드 파마는 덴마크에 있는 생명공학 회사다. 비만, 희귀 질환, 염증성 장 질환 등을 치료하는 혁신적인 의약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질랜드 파마의 파이프라인 중 눈길을 끄는 비만치료제 물질은 베링거인겔하임과 공동개발 중인 간질환 치료제이자 비만치료 신약 물질인 서보두타이드다. 서보두타이드는 비만치료제 임상시험 2상에서 체중을 19% 가까이 줄이면서 주목 받고 있다. 현재는 3상이 진행 중이다.

삼성운용이 6%의 비중으로 보유 중인 바이킹 테라퓨틱스도 임상 중인 신약 물질 VK2735가 13주 만에 체중을 14.7% 줄였다는 임상 결과를 올 2월말에 발표한 뒤 주가가 하루에만 121% 급등했다. 이렇게 삼성의 비만치료제 ETF 포트폴리오에는 비만치료제 관련 강소 종목들이 다수 편입돼 있다.

따라서 편입된 강소 종목들이 최종적으로 신약개발에 성공하거나 Mamp;A를 통해 비싼 가격에 팔릴 경우 삼성의 비만치료제 ETF 수익률도 언제든 급등할 수 있다. 한 방이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중소형 종목의 특성상 변동성이 크다는 점은 단점이다.

◆ 미래에셋 머크와 노바티스 등의 대형주로 안정성 초점

반면 미래에셋자산운용의 비만치료제 ETF에서 3번째로 많이 보유 중인 종목은 10.5% 비중인 미국 머크다. 물론 머크도 비만치료제 개발에 뛰어들긴 했다. 하지만 주력분야는 아니다. 머크는 전 세계 매출 1위 의약품인 항암제 키트루다와 자궁경부암 예방 백신 가다실이 원투 펀치다.

또 머크는 공격적인 굵직한 Mamp;A를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가는 회사다. 2021년에 15조원115억달러에 인수한 액셀러론 파마와 2023년에 14조원108억달러에 인수한 프로메테우스 바이오사이언스가 대표적이다. 비만치료제 보다는 안정적인 다양한 파이프라인이 매력적이다.

삼성에는 없지만 미래에셋이 6번째로 많이 보유 중인 스위스 기업 노바티스도 주목된다. 보유비중은 7%다. 노바티스 역시 비만치료제가 주력은 아니다. 노바티스는 심부전치료제인 엔트레스토와 건선 치료제인 코센티스가 매출 원투 펀치 역할을 해 왔다.

문제는 노바티스 주력 제품들의 특허만료가 임박했다는 점이다. 대신 야간 혈색소뇨증 치료제 파발타와 전립선암 치료제 플루빅토 등의 매출이 상승하고 있다. 또 현재 임상 3상이 진행 중인 RNA 치료제 펠레카르센이나 두드러기 치료제 레미부르티닙 등도 미래에 높은 성장을 보일 것이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미래에셋 비만 치료제 ETF는 강소 기업들의 폭발적인 성장성보다는 대형 제약회사들의 안정적인 성장과 배당에 초점을 맞춘 포트폴리오로 운용 중이다. 안정성은 장점이지만 큰 한 방은 없는 포트폴리오라는 평가다.

◆ 삼성 VS 미래에셋 비만치료제 수익률 승자는?

삼성과 미래에셋의 비만치료제 ETF는 지난 2024년 2월에 상장됐다. 상장 후 채 5개월도 안 됐다. 삼성 KODEX 글로벌비만치료제TOP2 Plus ETF의 순자산 총액은 이미 1000억원을 돌파한 1054억원이다. 상장 후 누적 수익률은 27.8%로 상당히 양호하다.

2407101651311680.jpg

미래에셋의 TIGER 글로벌비만치료제TOP2Plus ETF의 순자산 총액도 899억원으로 삼성을 바짝 뒤쫓고 있다. 상장 후 누적 수익률은 17.7%로 역시 양호한 편이다. 그런데 양사의 ETF는 상장일이 각각 다르다. 따라서 상장일 이후 수익률의 단순비교는 맞지 않다.

수익률의 객관적 비교는 최근 3개월과 1개월 수익률이 정확하다. 최근 3개월 수익률은 삼성이 7.7%, 미래에셋이 14.4%로 미래에셋의 판정승이다. 대신 최근 1개월 수익률은 삼성이 5.1%, 미래에셋이 3.2%로 삼성의 판정승이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단기적인 단순 수익률 비교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양 사간 포트폴리오의 차별화에 따른 해당 ETF의 미래를 전망해 보는 게 좀 더 합리적이다.

◆ 비만치료제 시장 성장성 높아…투자자 관심 가져야

삼성과 미래에셋 비만치료제 ETF가 가장 많이 보유 중인 노보노디스크와 일라이릴리의 미래가 100% 장밋빛인 건 아니다. 비만치료제 성분인 GPL-1 작용제 계열의 부작용으로 자살충동과 실명 등의 위험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객관적인 근거가 부족하다. 따라서 아직 우려할 부분은 아니다.

반면 근육량 감소는 어느 정도 객관적 근거가 있는 문제제기다. 따라서 최근 새로 개발 중인 비만 치료제들은 이 부분의 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기존의 비만치료제를 뛰어넘는 신약이 등장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다행히도 가능성 높은 신약들을 개발중인 회사 주식은 대부분 양사의 ETF 포트폴리오 안에 편입돼 있다.

이제 GPL-1 작용제 계열의 약물은 단순한 비만치료제 역할을 넘어 심혈관, 심근염, 염증질환, 고혈압, 알츠하이머 등으로 적응증이 확대되는 만병통치약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기적의 신약 위고비와 젭바운드 수요가 전 세계적으로 폭증하는 이유다.

노령화 현상은 이미 피할 수 없는 정해진 미래다. 한국도 2025년부터 전체 인구의 20%가 만 65세 이상인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한다. 미래에 제약바이오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을 예상하는 투자자라면 비만치료제 ETF에도 관심을 가져 보자.

longinus@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707
어제
2,638
최대
3,806
전체
673,93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