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올해 설 6일 휴무 실시 기업은 45%"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경영자총협회, 19일 ‘2025년 설 휴무 실태조사’
"기업 60.5% ‘설 경기 전년보다 어렵다’···최근 5년 새 가장 높아"
올해 설 연휴 6일 간 일을 하지 않는 기업이 10곳 중 4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 해보다 설 경기가 어려워졌다고 답한 기업은 10곳 중 6곳에 달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5인 이상 602개 기업응답기업 기준을 대상으로 ‘2025년 설 휴무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설 휴무 실시 기업 중 45.0%는 ‘6일’ 간 근무하지 않았다. 올해 설 연휴는 이달 25일부터 30일27일은 임시공휴일까지다. ‘5일 이하’ 휴무 기업은 25.0%, ‘9일 이상’ 휴무 기업은 22.1% 등 순으로 조사됐다.
일반적인 휴일인 6일을 초과해 ‘7일 이상’ 일을 하지 않는 기업 중 31.8%는 ‘근로자 편의 제공 차원에서’를 이유로 제시했다.
기업 규모별로 살펴보면, 300인 이상 기업은 ‘7일 이상 휴무’라는 응답42.2%이 300인 미만 기업28.5%보다 높았다. ‘5일 이하 휴무’라는 응답은 300인 미만26.2%이 300인 이상15.6%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9일 이상 쉰다는 곳은 300인 이상31.3%이 300인 미만21.0%보다 많았다.
올해 설 상여금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응답한 곳은 62.4%였다. 이는 지난해64.5%보다 2.1% 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기업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60.3%보다 300인 이상78.8%에서 상여금을 지급하는 기업의 비중이 더 높게 나타났다.
설 상여금 지급 방식은 정기상여금으로만 지급65.7%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어 별도상여금단체협약·취업규칙에 명시돼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이 아닌 사업주 재량에 따라 별도로 지급되는 상여금만 지급하는 경우가 24.4%, 정기상여금 및 별도상여금을 동시에 주는 경우가 9.8% 순으로 집계됐다.
한편, 올해 설 경기상황1월 기준이 ‘전년보다 악화됐다’라고 응답한 기업 비중은 60.5%였다. 최근 5년2021~2025년 중 가장 높은 숫자다. 올해 설 경기가 지난 해보다 개선됐다고 답한 기업은 4.4%로 최근 5년2021~2025년 새 가장 낮았다. 올해 설 경기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라는 응답은 35.2%였다.
기업 규모별로는, 올해 설 경기가 작년보다 나빠졌다는 응답은 300인 미만62.0%이 300인 이상48.5%보다 13.5% 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올해 실적을 달성하는데 가장 부담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은 ‘제품서비스 수요 부진’61.9%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53.2%, ‘누적된 인건비 상승’44.6%, ‘높은 금리로 인한 금융비용 상승’24.1% 순이었다.
최지영 기자
[ 문화닷컴 | 모바일 웹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다음 뉴스 채널 구독 ]
[관련기사/많이본기사]
▶ 조갑제 “尹에 줄서면 한국 보수 100년 안으로 집권불가능할 것”
▶ [속보] 검찰, ‘尹 체포저지’ 김성훈 경호차장 구속영장 반려…즉시 석방
▶ 정장 입고 있던 尹, 수용자번호 달고 3평 남짓 독방 생활…신체검사·머그샷 촬영
▶ [속보] ‘내란 우두머리 혐의’ 윤 대통령 구속…헌정사 최초
▶ [속보]尹 구속 소식에, 흥분한 지지자들 서부지법 유리창 깨고 난입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023701-5555]
"기업 60.5% ‘설 경기 전년보다 어렵다’···최근 5년 새 가장 높아"
올해 설 연휴 6일 간 일을 하지 않는 기업이 10곳 중 4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 해보다 설 경기가 어려워졌다고 답한 기업은 10곳 중 6곳에 달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5인 이상 602개 기업응답기업 기준을 대상으로 ‘2025년 설 휴무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설 휴무 실시 기업 중 45.0%는 ‘6일’ 간 근무하지 않았다. 올해 설 연휴는 이달 25일부터 30일27일은 임시공휴일까지다. ‘5일 이하’ 휴무 기업은 25.0%, ‘9일 이상’ 휴무 기업은 22.1% 등 순으로 조사됐다.
일반적인 휴일인 6일을 초과해 ‘7일 이상’ 일을 하지 않는 기업 중 31.8%는 ‘근로자 편의 제공 차원에서’를 이유로 제시했다.
기업 규모별로 살펴보면, 300인 이상 기업은 ‘7일 이상 휴무’라는 응답42.2%이 300인 미만 기업28.5%보다 높았다. ‘5일 이하 휴무’라는 응답은 300인 미만26.2%이 300인 이상15.6%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9일 이상 쉰다는 곳은 300인 이상31.3%이 300인 미만21.0%보다 많았다.
올해 설 상여금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응답한 곳은 62.4%였다. 이는 지난해64.5%보다 2.1% 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기업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60.3%보다 300인 이상78.8%에서 상여금을 지급하는 기업의 비중이 더 높게 나타났다.
설 상여금 지급 방식은 정기상여금으로만 지급65.7%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어 별도상여금단체협약·취업규칙에 명시돼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이 아닌 사업주 재량에 따라 별도로 지급되는 상여금만 지급하는 경우가 24.4%, 정기상여금 및 별도상여금을 동시에 주는 경우가 9.8% 순으로 집계됐다.
한편, 올해 설 경기상황1월 기준이 ‘전년보다 악화됐다’라고 응답한 기업 비중은 60.5%였다. 최근 5년2021~2025년 중 가장 높은 숫자다. 올해 설 경기가 지난 해보다 개선됐다고 답한 기업은 4.4%로 최근 5년2021~2025년 새 가장 낮았다. 올해 설 경기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라는 응답은 35.2%였다.
기업 규모별로는, 올해 설 경기가 작년보다 나빠졌다는 응답은 300인 미만62.0%이 300인 이상48.5%보다 13.5% 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올해 실적을 달성하는데 가장 부담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은 ‘제품서비스 수요 부진’61.9%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53.2%, ‘누적된 인건비 상승’44.6%, ‘높은 금리로 인한 금융비용 상승’24.1% 순이었다.
최지영 기자
[ 문화닷컴 | 모바일 웹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다음 뉴스 채널 구독 ]
[관련기사/많이본기사]
▶ 조갑제 “尹에 줄서면 한국 보수 100년 안으로 집권불가능할 것”
▶ [속보] 검찰, ‘尹 체포저지’ 김성훈 경호차장 구속영장 반려…즉시 석방
▶ 정장 입고 있던 尹, 수용자번호 달고 3평 남짓 독방 생활…신체검사·머그샷 촬영
▶ [속보] ‘내란 우두머리 혐의’ 윤 대통령 구속…헌정사 최초
▶ [속보]尹 구속 소식에, 흥분한 지지자들 서부지법 유리창 깨고 난입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023701-5555]
관련링크
- 이전글꿀같은 신혼, 연말정산도 달달하게…결혼세액공제 최대 100만원 25.01.19
- 다음글최 대행, "서부지법 불법 폭력사태, 법적 책임 물을 것" 25.01.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