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무안공항 최초 설계 당시 시공방법 파악 중"
페이지 정보
본문
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주종완 항공정책실장은 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에서 공항 최초 설계 당시 어떤 경위로 콘크리트 지지대를 만들었는지 확인 중인지 묻는 질의에 "금호건설이 최초로 사업을 시행할 때 어떤 시공방식을 택했는지 파악 중"이라고 답했다.
국토부는 서울지방항공청 등의 도면, 승인 문서 등 자료를 직접 살펴본 결과 무안국제공항이 2007년 개항 당시부터 로컬라이저 설치 둔덕 안에 콘크리트 지지대가 설치돼 있었다고 밝혔다.
지난해에는 안전성 강화를 이유로 30㎝ 두께의 상판을 올렸다. 보강공사의 시행자는 한국공항공사로 서울지방항공청이 허가·승인을 내렸다.
국토부는 무안공항의 콘크리트 둔덕이 활주로 끝단에서 종단안전구역 내에는 부서지기 쉬운 재질로 구조물을 지어야 한다는 규정에 맞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여전히 "검토 중"이라며 답변을 유보했다.
관할부처인 국토부는 전날 오전까지만 해도 무안공항의 로컬라이저 구조물이 종단안전구역90~240m 밖에 있어 규정에 맞게 지어졌다고 주장했다가 무안공항이 평시 정밀접근활주로로 운영되고 있어 종단안전구역을 더 넓게 봐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다시 유보적인 견해로 선회했다.
주 실장은 "국내·국제 기준과 정합성을 같이 살피고 있으며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규정과 주요 선진국 사례 등을 종합 검토하고 있다"며 "전문가 의견도 다시 수렴한 뒤 빠른 시일 내에 다시 별도로 설명하겠다"고 말했다.
여수·광주공항에도 무안공항과 유사한 콘크리트 둔덕 형태의 로컬라이저 지지대가 설치돼 있는데 위험 요인이 없는지 묻자 "한국 공항에는 여러 시설 기준이 촘촘하게 마련돼 있고 다른 공항 시설도 기준에 맞게 운영 중"이라면서도 "항공안전 전반에 대해 특별안전점검을 하듯, 조사 과정 중에도 여러 문제 제기가 있다면 필요한 조치도 하고 검토를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브리핑에서는 사고 직전 조종사가 첫 착륙시도에 실패한 뒤 복행고 어라운드할 때 관제사와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뤄졌는지 질문도 나왔다.
유경수 국토부 항공안전정책관은 "조종사가 복행을 시도하며 우측으로 선회를 했을 때 관제사가 비정상 상황을 알고 있었다"며 "관제사가 가장 가까운 방향으로 안내했고 조종사 그렇게 하겠다고 해서 상호 합의 후 19번 활주로로 착륙 시도하는 과정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석진 기자 sjhan0531@economidaily.com
★관련기사
제주항공 참사 후폭풍…안전성 의문 속 흔들리는 LCC 신뢰
"가습기 살균제에 제주항공 참사까지"…다시 불붙는 애경 불매 운동
제주항공 참사 희생자 신원확인 완료…유가족 추락사고현장 방문
제주항공 "안전 대책 마련 힘쓸 예정…정비사 늘려간다"
★추천기사
올해 1인 노인가구 월 228만원 이하면 기초연금 수령
1차 착륙→충돌, 의문의 9분…"반대 방향 착륙 합의"
[신년사] 이복현 "금융시장 안정, 취약계층 지원에 총력"
산업부·코트라, CES 2025 통합한국관 역대 최대 규모로
-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economidaily.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관련링크
- 이전글갤럭시S25에 삼성 아닌 마이크론 모바일D램 최우선 탑재 25.01.02
- 다음글한은 총재, 헌법재판관 임명 지원 사격…"최상목, 경제 고려해 불가피한 결... 25.01.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