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10명 중 7명 "배우자 없다"…유자녀 비중도 감소
페이지 정보
본문
- 2022년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사회·경제적 특성
- 25~39세 배우자 없는 비중 66.3%…전 연령대 줄어
- 유배우자 중 자녀 있는 비율 0.9%p↓…1명 최대
- 25~39세 배우자 없는 비중 66.3%…전 연령대 줄어
- 유배우자 중 자녀 있는 비율 0.9%p↓…1명 최대
[세종=이데일리 이지은 기자] 2022년 우리나라 25~39세 청년 중 배우자가 없는 비중이 10명 중 7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배우자 비중은 청년 전 연령대에서 감소했다. 유배우자 청년 중 자녀가 있는 비율도 전년대비 1%가량 줄었다.
통계청는 1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25~29세 청년의 배우자 유무별 사회·경제적 특성 분석’을 발표했다. 이는 통계청의 ‘생애단계별 행정통계’와 ‘청년통계등록부’를 연계한 것으로, 최근 혼인율 감소 및 저출생 등의 관련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취지로 작성됐다. 대상은 11월 1일 기준 국내에 상주하는 25~39세 내국인이다.
이에 따르면 청년 중 배우자가 없는 비중은 66.3%로 전년보다 2.4%포인트 커졌다. 성별 무배우자 비율은 남자가 72.5%로 여자59.6%에 비해 12.9%포인트 높았다.
연령별로 보면 20대 후반25~29세 청년 중 배우자가 없는 비중은 2020년 89.8%에서 2021년 91%, 2022년 92.1%로 증가했다. 30대 초반30~34세은 59.9%에서 62.9%, 64.8%로 3년 사이 4.9%포인트 늘어 확대 폭이 가장 컸다. 30대 후반35~39세에서도 2022년 39.7%까지 상승해 10명 중 4명이 무배우자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청년의 유배우자 비중31.7%이 비수도권36.1%에 비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 사는 청년일수록 배우자가 없는 비율이 높다는 의미다. 세종의 청년 유배우자 비중이 51.4%로 전국 17개시도 중 가장 높았고, 서울은 25%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유배우자 청년 중 자녀가 있는 비중은 74.7%로 전년 대비 0.9%포인트 작아졌다. 성별 유자녀 비중은 여자가 76.8%로 남자71.9%보다 4.9%포인트 컸다. 연령별로는 △20대 후반 49.5% △30대 초반 64.8% △30대 후반 83.8% 등으로 모두 줄었다. 자녀 수로 보면 1명이 38%로 비중이 가장 컸고 △2명 31.6% △없음 25.3% △3명 이상 5.1% 등이 뒤따랐다. 연령별 자녀 수로 보면 20대 후반은 자녀가 없는 비율이 절반을 넘었고 30대 초반은 자녀 1명39.7%, 30대 후반은 자녀 2명39.5%이 가장 높았다.
배우자가 있는 청년 가운데 등록취업자 비율은 자녀가 있는 경우 72.1%로 무자녀79.1%보다 낮았다. 자녀 유무에 따른 등록취업자 비중 차이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두드러졌다. 남자는 20대 후반의 등록 취업자 비중은 유자녀가 무자녀보다 낮은 반면, 30대는 유자녀의 등록취업자 비중이 높았다. 여자는 모든 연령구간에서 유자녀가 무자녀보다 낮았고, 연령구간이 높아질수록 비중 차이는 줄었다.
무배우자 청년 가운데 부모와 함께 사는 비중은 50.6%로 전년에 비해 1.3%포인트 작아졌다. 성별 부모동거 비율은 여자51.1%가 남자50.2%에 비해 소폭 높았다. 연령별로는 20대 후반에서 5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30대 초반이 46.3%, 30대 후반이 41.8%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50.1%이 비수도권51.3%보다 낮았으며 울산57.8%이 최고, 세종32.5%이 최저로 집계됐다.
배우자가 없는 청년 중 상시 임금근로자의 연간 중위소득은 부모와 같이 사는 경우 2932만원으로 비동거3553만원보다 적었다. 아파트 거주 비율은 부모와 동거하는 청년이 61.1%로 같이 살지 않는 경우 비중33.3%보다 높았고, 단독주택은 부모동거21.2%가 비동거33.3%보다 낮았다.
▶ 관련기사 ◀
☞ 아이폰16, 가격 동결 125만원부터…韓 13일 사전주문 시작
☞ 앉아서 돈 번다 올해 줍줍에 625만명…작년보다 6배 증가
☞ 티메프 운명 D-day…회생법원 오후 3~4시 결론
☞ ‘국민 여동생 신유빈, 동원Famp;B 광고 모델 됐다
☞ 6살 목 조른 유치원 男교사…다른 교사 보는 앞에서도 학대
이지은 jeanlee@
|
이에 따르면 청년 중 배우자가 없는 비중은 66.3%로 전년보다 2.4%포인트 커졌다. 성별 무배우자 비율은 남자가 72.5%로 여자59.6%에 비해 12.9%포인트 높았다.
연령별로 보면 20대 후반25~29세 청년 중 배우자가 없는 비중은 2020년 89.8%에서 2021년 91%, 2022년 92.1%로 증가했다. 30대 초반30~34세은 59.9%에서 62.9%, 64.8%로 3년 사이 4.9%포인트 늘어 확대 폭이 가장 컸다. 30대 후반35~39세에서도 2022년 39.7%까지 상승해 10명 중 4명이 무배우자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청년의 유배우자 비중31.7%이 비수도권36.1%에 비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 사는 청년일수록 배우자가 없는 비율이 높다는 의미다. 세종의 청년 유배우자 비중이 51.4%로 전국 17개시도 중 가장 높았고, 서울은 25%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유배우자 청년 중 자녀가 있는 비중은 74.7%로 전년 대비 0.9%포인트 작아졌다. 성별 유자녀 비중은 여자가 76.8%로 남자71.9%보다 4.9%포인트 컸다. 연령별로는 △20대 후반 49.5% △30대 초반 64.8% △30대 후반 83.8% 등으로 모두 줄었다. 자녀 수로 보면 1명이 38%로 비중이 가장 컸고 △2명 31.6% △없음 25.3% △3명 이상 5.1% 등이 뒤따랐다. 연령별 자녀 수로 보면 20대 후반은 자녀가 없는 비율이 절반을 넘었고 30대 초반은 자녀 1명39.7%, 30대 후반은 자녀 2명39.5%이 가장 높았다.
배우자가 있는 청년 가운데 등록취업자 비율은 자녀가 있는 경우 72.1%로 무자녀79.1%보다 낮았다. 자녀 유무에 따른 등록취업자 비중 차이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두드러졌다. 남자는 20대 후반의 등록 취업자 비중은 유자녀가 무자녀보다 낮은 반면, 30대는 유자녀의 등록취업자 비중이 높았다. 여자는 모든 연령구간에서 유자녀가 무자녀보다 낮았고, 연령구간이 높아질수록 비중 차이는 줄었다.
|
배우자가 없는 청년 중 상시 임금근로자의 연간 중위소득은 부모와 같이 사는 경우 2932만원으로 비동거3553만원보다 적었다. 아파트 거주 비율은 부모와 동거하는 청년이 61.1%로 같이 살지 않는 경우 비중33.3%보다 높았고, 단독주택은 부모동거21.2%가 비동거33.3%보다 낮았다.
▶ 관련기사 ◀
☞ 아이폰16, 가격 동결 125만원부터…韓 13일 사전주문 시작
☞ 앉아서 돈 번다 올해 줍줍에 625만명…작년보다 6배 증가
☞ 티메프 운명 D-day…회생법원 오후 3~4시 결론
☞ ‘국민 여동생 신유빈, 동원Famp;B 광고 모델 됐다
☞ 6살 목 조른 유치원 男교사…다른 교사 보는 앞에서도 학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이지은 jeanlee@
관련링크
- 이전글20억 클럽 복귀한 과천시…프레스티어자이 9월 분양 24.09.10
- 다음글전기 수요 적은데 공급 많은 추석연휴…전력수급 긴장 24.09.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