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김승연·이명희 등 등기임원 아닌 총수 25%, 법적 책임 회피
페이지 정보

본문
리더스인덱스 14일 조사 결과, 총수 78명 중 20명 등기임원 맡지 않아

오너가 있는 대기업집단 총수 4명 중 1명은 경영에 참여하면서도 등기임원을 맡지 않으면서 ‘법적 책임’을 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자산규모 5조원 이상 대기업집단 중 동일인이 자연인인 집단의 총수 등기임원 등재 여부를 조사한 결과, 2024년 기준 총수 78명 중 20명25.6%이 등기임원을 맡지 않았다. 전년인 2023년에 조사 대상 총수 74명 중 35.1%인 26명이 등기임원을 맡지 않았던 것보다는 비율이 다소 하락했다.
지난해 총수가 등기임원이 아닌 대기업은 이재용 삼성그룹 회장과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정몽준 HD현대 최대주주, 이명희 신세계그룹 총괄회장, 이재현 CJ그룹 회장, 이해욱 DL그룹 회장 등이다. 신세계그룹의 경우 정용진 회장과 정유경 주신세계 회장도 등기임원을 맡지 않고 있다.
이외 미래에셋박현주, 네이버이해진, 금호아시아나박삼구, DB김준기, 에코프로이동채, 이랜드박성수, 한국타이어조양래, 태광이호진, 삼천리이만득, 대방건설구교운, 유진유경선, BGF홍석조, 하이트진로박문덕, 파라다이스전필립 등이 있다.

등기임원과 미등기임원의 차이는 이사회 참여 여부다. 등기임원은 기업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주요 의사 결정을 내리고 그에 따른 법적 책임을 진다.
부영, 코오롱, 금호석유화학, 동원은 지난해 총수가 새롭게 등기임원에 올랐다.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과 박찬구 금호석유화학그룹 회장은 2023년 광복절 특사로 사면된 이후 등기임원으로 복귀했다.
이중근 회장은 등기임원 겸직이 가장 많은 총수이기도 하다. 9개 계열사 대표이사, 6개 사내이사를 포함해 총 15곳에서 등기임원을 맡고 있다.
코오롱이웅열 명예회장→이규호 부회장과 동원김재철 명예회장→김남정 회장은 각각 총수가 바뀌면서 등기임원 명단에 올랐다.
오너 친인척의 등기임원 등재는 2023년 294명이었는데 전체 계열사가 795개에서 811개로 늘면서 2024년에 310명으로 많아졌다.
2곳 이상에서 등기이사를 맡은 총수 친인척은 2023년 147명, 2024년 137명이었다. 5곳 이상 계열사 겸직 사례는 33명에서 26명으로 줄었다.

김두용 기자
▶ 관련기사 ◀
☞ 최민환, 이혼 사유 ‘업소 출입’ 아냐... “율희 낮잠 및 가출이 원인” [왓IS]
☞ [TVis] 김희철, 장애 판정 고백…무속인 “덤으로 사는 인생, 7월도 조심해야” 미우새
☞ “어디 어른이 이야기하는데…” 나훈아, 은퇴 막콘서 양비론 비판에 작심 반박 [왓IS]
☞ 배우에서 회장으로 김승우 한국리틀야구연맹 회장 4년 임기 시작 "리틀야구 위상 높이겠습니다" [IS 화성]
☞ 전현무 때문에 SBS, MBC 연예대상 같은 날은 못한다
☞ [TVis] 송중기 “子, 200일 동안 직접 씻겨…로망은 한화이글스 경기 직관” 냉부해
☞ [TVis] ‘♥박시은’ 진태현 “임신, 계속 준비 중…아이들 더 있어” 미우새
☞ 샤이니 키, SM타운 콘서트서 휘청... “컨디션 안 좋았다”
☞ 김종민 “4월 20일 결혼…1부 사회 유재석” 결혼 날짜 깜짝 발표‘1박2일’
☞ ‘4월 20일 결혼’ 김종민, 자식운도 동시에 들어온다? ‘미우새’
[한국 스포츠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 블로그]
[다신 나와서는 안될 KBO 최초의 영구결번 OB베어스 김영신]
<ⓒ 일간스포츠. All rights reservedgt;
김두용 k2young@edaily.co.kr
관련링크
- 이전글현대차·기아, 지난해 친환경차 수출 역대 최대…1위는 투싼 HEV 25.01.14
- 다음글"바람 안 오게 해줘"…LG전자, 똑똑해진 AI휘센 에어컨 출시 25.01.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