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교과서 도입 갑론을박…"교육 격차 해소"vs"집중력 저하"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AI 교과서 도입 갑론을박…"교육 격차 해소"vs"집중력 저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5회 작성일 25-01-16 05:30

본문


AI 교과서 도입 갑론을박…

ⓒ News1 DB




서울=뉴스1 손엄지 기자 = AI 교과서에 교과서 지위를 인정해 도입하는 문제를 두고 업계와 정치권, 교육계가 치열하게 논쟁 중이다.

AI 교과서가 교육 격차를 해소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는 반면 디지털 종속을 심화시켜 오히려 교육의 질을 떨어트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6일 정부와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올해 교육부는 AI 교과서를 전면 도입하기보다는 일부 학교에서 선택적으로 운영하기로 결정했다.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민주당 "AI교과서는 교과서 아닌 교육 자료로 규정"

현재 AI 교과서를 교과서로 인정할지, 교육 자료로 강등할지를 두고 논쟁이 한창이다. 교육자료로 강등되면 교육부 입장에서는 채택 의무가 사라지고 무상 교육 대상에서도 빠지게 된다.

더불어민주당은 AI 교과서를 교과서 지위가 아닌 교육 자료로 규정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국민의힘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해당 법안 거부권 행사를 요청하며 반발하고 있다.

AI 교과서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학생 개인의 학습 수준과 진도에 맞춰 최적화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지털 교과서다.

학생들은 AI 교과서를 통해 질문에 실시간 답변을 얻을 수 있고, 맞춤형 학습 경로를 제시받을 수 있다.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발행사들이 13일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AI 디지털교과서의 교과서 지위 유지 촉구를 위한 공동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2025.01.13/뉴스1 ⓒ News1 이유진 기자




AI 교과서, 독도를 영토 분쟁 지역이라 잘못 답변

AI 교과서 도입 기대는 교육 격차 해소에 있다. AI 디지털교과서 발행사들은 AI 교과서가 지역이나 학교에 상관없이 균등한 학습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한다. 기초 학력 진단 보정 시스템과 연계해 학생들의 학습 수준에 맞춘 맞춤형 교육이 가능하다.

그러나 IT 업계와 일부 교육 전문가들은 AI 교과서가 오히려 교육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지적한다.

AI 기술의 부작용인 환각 현상과 같은 오류가 대표적이다. 실제로 AI 챗봇이 독도를 영토 분쟁 지역으로 잘못 답변한 사례는 기술의 신뢰성 문제를 부각했다.

또 디지털 기기에 과도한 의존이 학생들의 집중력 저하와 전통적 학습 방식의 장점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스웨덴과 핀란드 또한 디지털 교육에서 실패를 겪고 다시 종이 교과서로 회귀하고 있다.

AI 교과서 도입을 둘러싼 논쟁은 기술과 교육의 접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보여준다.

한 IT 업계 관계자는 "AI 교과서 도입은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기술적 신뢰성과 교육적 효과를 충분히 검증한 후 도입해야 한다"며 신중한 접근을 강조했다.

eo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40
어제
2,108
최대
3,806
전체
948,14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