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만 쫓다 기능 상실…"정책 배려 고민해야" [길 잃은 지역금융]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이자만 쫓다 기능 상실…"정책 배려 고민해야" [길 잃은 지역금융]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4회 작성일 25-01-17 05:01

본문

[이투데이/정상원 기자]

기사 이미지


지역경제 악화와 금융환경 변화, 법적 제약으로 위기를 맞은 지방은행이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고착화된 이자 장사 중심의 수익 구조를 혁신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본연의 역할을 되찾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에 전문가들은 지방은행의 자구 노력도 중요하지만 금융당국의 정책적 배려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16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5개 지방은행 5곳BNK부산·경남·전북·광주·제주은행의 영업이익은 1조854억 원으로 이중 이자이익 비중은 95.7%1조385억 원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 93.1%1조474억 원보다 2.6%포인트p 오른 수준이다.

같은 기간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이자이익은 10조3777억 원으로 직전 분기 92%10조4972억 원보다 4%p 낮아졌다. 지방은행의 이자이익 비중이 시중은행을 웃도는 모습이다.

대출 중심의 영업행태에 지방은행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순이자마진NIM은 감소했다. 부산은행은 지난해 3분기 1.87%로 전 분기대비 0.05%p 하락했다. 같은 기간 경남은행은 1.87%에서 1.81%로 하락했고,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은 전 분기 2.73%에서 각각 2.63%, 2.65%로 떨어졌다.

지역 발전을 통한 균형성장을 위해서는 지방은행의 역할이 여전히 중요한 만큼, 성장성을 회복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무엇보다 지역기업과의 고리가 약해진 점이 지방은행 위기의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9월 시중은행의 중기대출은 전년 대비 6.9%35조4000억 원 늘었으나, 지방은행은 2.4%2조8000억 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방은행의 경우 개인사업자 대출이 1.0%4000억 원 감소했다. 시중은행이 지방은행의 주고객인 지역 중소기업에 대한 공략을 강화했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지방 공기업의 금고를 지역금융기관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을 정하고 지방은행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가 뒤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

박성빈 아주대 교수는 “지역경제활성화와 지역고용창출을 촉진하는 지역금융기관의 역할을 고려하면 지방은행 등 지역금융기관에 조세감면, 보조금 지급 등의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금융당국도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지방 대책 마련을 위해 비수도권 지역에 대한 신용공급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다만, 은행 대출 연간 계획에서 지역 총량을 더 주거나,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도입 시 비수도권 가산금리를 조정하는 방안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대해선 "아직 정해진 바가 없다"는 입장이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대출 규제를 완화하는 방향보다는 자금 공급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며 “이달 내로 큰 틀의 방향성이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투데이/정상원 기자 jsw@etoday.co.kr]

[관련기사]
캠코, 부실채권펀드 위탁운용사 선정…지방은행 건전성 제고
이복현 “지방은행 지역경제 자금 공급 적극 지원”
임기 만료 앞둔 지방은행장…‘안정’ ‘쇄신’ 중 어느 것 택할까
[금상소] 지역 신보·지방은행과 손잡은 인뱅, 내년엔 어떤 신상품 내놓을까
백종일 전북은행장 "지역 중기 지원 등 지방은행 책무 다할 것" [신년사]

[주요뉴스]
‘KYC 미이행’ 업비트 제재 가능성…두나무ㆍ당국 “확정된 것 없어”

나만 몰랐던 최신 뉴스 영상 이투데이TV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47
어제
1,871
최대
3,806
전체
952,21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