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난·엔저·고물가 덮친 일본 기업 1만개 파산
페이지 정보

본문
- 중소기업 파산 비율 압도적
- 음식업, 1990년 이후 첫 3000건 돌파
- 노동력 부족 원인 파산도 80% 급증
- "올해도 금리 상승 기조에 파산 건수 증가 전망"
- 음식업, 1990년 이후 첫 3000건 돌파
- 노동력 부족 원인 파산도 80% 급증
- "올해도 금리 상승 기조에 파산 건수 증가 전망"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일본에서 지난해 파산한 기업수가 1만건을 돌파하며 1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도쿄상공리서치가 발표한 2024년 기업 파산부채액 1000만엔 이상 통계에 따르면 작년 파산 건수는 1만6건으로 전년보다 15.1% 늘었다. 일본에서 파산 기업 수가 1만건을 넘어선 건 2013년 이후 11년 만이다. 지난 2022년 이후 3년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파산 기업 중 1만4건이 중소기업으로 조사됐다. 엔저에 따른 비용 상승과 인력 부족이 경영에 압박을 가한 탓이다.
파산 건수는 지역과 업종을 가리지 않았다.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후쿠오카에 이르기까지 총 9개 지역에서 2년 연속 파산 건수가 전년 대비 증가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1월 노토반도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던 호쿠리쿠 지역에선 파산 건수가 204건으로, 전년보다 무려 27.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도쿄상공리서치는 “올해도 금리 상승 기조를 배경으로 기업들이 더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며 지난해 파산 건수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업종별로는 음식 등 ‘서비스업 기타’가 13.2% 증가한 3329건으로 가장 많았다. 지난 1990년 이후 처음으로 3000건을 넘어섰다.
건설업은 원자재값 폭등과 함께 시간외 근로 규제 강화 등으로 인력난을 겪으면서 13.6% 증가한 1924건을 기록했다. 도매업이 26.4% 증가한 1214건으로 뒤를 이었다. 금융, 보험업과 부동산업은 파산 건수가 줄었다.
특히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파산 건수는 289건으로 전년보다 약 80% 급증했다. 이는 비교 가능한 2013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은 규모다. 승계난으로 인한 도산도 462건으로 최고치를 경신했다.
사회보험료나 세금을 내지 못해 파산하는 사례는 176건으로 1.9배 급증했다. 코로나19 대책의 일환으로 사실상 무이자·무담보 대출제로-제로 대출 상환 지연 등으로 도산한 기업은 10.7% 감소한 567건을 기록, 전년치를 밑돌았다.
도쿄상공리서치는 “리파이낸싱으로 도산을 면한 사례도 많다”며 “이는 경영의 자립적 개선이 아니라 일시적인 현금 흐름 완화의 상당 부분”이라고 분석했다.
▶ 관련기사 ◀
☞ 영화 공공의적 모티브된 최악의 존속살해[그해 오늘]
☞ ‘4분의 기적 버스서 심정지로 고꾸라진 男, 대학생들이 살렸다
☞ "술만 마시면 돌변..폭력 남편 피해 아이들과 도망친 게 범죄인가요"
☞ "임영웅과 얘기하는 꿈꿔"...20억 복권 당첨으로 고민 해결
☞ 공룡 美남 돌아온 김우빈, 황금비율 시계는[누구템]
양지윤 galileo@
|
파산 기업 중 1만4건이 중소기업으로 조사됐다. 엔저에 따른 비용 상승과 인력 부족이 경영에 압박을 가한 탓이다.
파산 건수는 지역과 업종을 가리지 않았다.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후쿠오카에 이르기까지 총 9개 지역에서 2년 연속 파산 건수가 전년 대비 증가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1월 노토반도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던 호쿠리쿠 지역에선 파산 건수가 204건으로, 전년보다 무려 27.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도쿄상공리서치는 “올해도 금리 상승 기조를 배경으로 기업들이 더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며 지난해 파산 건수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업종별로는 음식 등 ‘서비스업 기타’가 13.2% 증가한 3329건으로 가장 많았다. 지난 1990년 이후 처음으로 3000건을 넘어섰다.
건설업은 원자재값 폭등과 함께 시간외 근로 규제 강화 등으로 인력난을 겪으면서 13.6% 증가한 1924건을 기록했다. 도매업이 26.4% 증가한 1214건으로 뒤를 이었다. 금융, 보험업과 부동산업은 파산 건수가 줄었다.
특히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파산 건수는 289건으로 전년보다 약 80% 급증했다. 이는 비교 가능한 2013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은 규모다. 승계난으로 인한 도산도 462건으로 최고치를 경신했다.
사회보험료나 세금을 내지 못해 파산하는 사례는 176건으로 1.9배 급증했다. 코로나19 대책의 일환으로 사실상 무이자·무담보 대출제로-제로 대출 상환 지연 등으로 도산한 기업은 10.7% 감소한 567건을 기록, 전년치를 밑돌았다.
도쿄상공리서치는 “리파이낸싱으로 도산을 면한 사례도 많다”며 “이는 경영의 자립적 개선이 아니라 일시적인 현금 흐름 완화의 상당 부분”이라고 분석했다.
▶ 관련기사 ◀
☞ 영화 공공의적 모티브된 최악의 존속살해[그해 오늘]
☞ ‘4분의 기적 버스서 심정지로 고꾸라진 男, 대학생들이 살렸다
☞ "술만 마시면 돌변..폭력 남편 피해 아이들과 도망친 게 범죄인가요"
☞ "임영웅과 얘기하는 꿈꿔"...20억 복권 당첨으로 고민 해결
☞ 공룡 美남 돌아온 김우빈, 황금비율 시계는[누구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양지윤 galileo@
관련링크
- 이전글디자인·기능 다 잡은 안마의자…1인가구 마음에 쏙 25.01.14
- 다음글[포토] 역대 최고치로 뛴 금 가격 25.01.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