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셔츠 1장 만들고 200원 받아"…中쉬인, 노동 착취 논란
페이지 정보

본문
- BBC 광저우 쉬인 마을 심층취재
- 5년새 급성장·英증시 상장 추진에 관심↑
- "노동력 갈아넣어 값싼 제품 무한 공급"
- 5년새 급성장·英증시 상장 추진에 관심↑
- "노동력 갈아넣어 값싼 제품 무한 공급"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중국 남부 항구 도시 광저우에 위치한 ‘쉬인 마을’ 판유. 이 곳에 자리 잡은 약 5000개의 공장들은 365일 24시간 불이 꺼지지 않는다. 공장 안에 있는 재봉틀도 멈추는 일이 없다. 공장 대부분이 쉬인 공급업체들로 티셔츠, 반바지, 블라우스, 바지, 수영복 등을 생산해 150개국 이상으로 수출한다. 근로자들 대부분이 휴일을 묻는 질문에 “한 달에 단 하루뿐”이라고 답했다.
BBC방송은 12일현지시간 “중국의 이커머스 업체 쉬인이 10파운드약 1만 8000원짜리 드레스를 꾸준히 판매할 수 있는 비결은 일주일에 75시간 동안 재봉틀 앞에 앉아 있는 노동력 덕분”이라며 “중국에서든 광저우에서든 이는 드문 일이 아니다”라고 보도했다.
BBC는 최근 광저우 내 공장 10곳을 방문해 4명의 소유주 및 20명 이상의 근로자와 인터뷰를 가지는 등 심층 취재를 진행했다. 쉬인이 불과 5년 만에 글로벌 대기업으로 급성장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렸기 때문이다. 쉬인이 영국 증시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 노동 착취 논란에 휩싸여 있다는 점 등도 영향을 미쳤다. 회사의 경영 방식이나 수익 구조 등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쉬인의 기업가치는 약 360억파운드로 추산된다. 매출은 Hamp;M, 자라, 프리마크 등을 넘어섰다.
시장에선 공격적인 마케팅도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할인을 포함한 저렴한 가격과 물량 공세가 쉬인의 가장 큰 성장동력이라고 분석한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소위 ‘사람을 갈아넣었기 때문’이라고 BBC는 결론지었다.
장시성의 한 공장에서 근무하는 49세 여성은 “우리는 보통 하루에 10시간, 11시간, 12시간 단위로 일하고, 일요일에는 3시간 정도 덜 일한다”고 말했다. 40년 이상 한 공장에서 일했다는 또다른 여성은 식사 시간이 20분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BBC는 “재봉틀 앞에 앉아 있는 근로자들은 오후 10시가 넘어서 새로운 일거리가 도착해도 일을 멈추지 않았다. 표준 근무 시간이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를 훨씬 넘기고 있었다”며 주 75시간 근무는 중국 노동법을 위반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중국 노동법에선 근무 시간이 주 44시간을 초과해선 안 되며, 고용주는 근로자가 주당 최소 1일의 휴식일을 보장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근로자에 대한 부당한 처우가 가능한 이유는 인력 공급이 수요보다 많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급여도 넉넉하게 받을 수 없다. 대체 인력을 쉽게 구할 수 있어 불만을 제기하기도 어려운 환경이다.
근로자는 정규직과 임시직으로 나뉘는데, 특정 상품에 대한 주문이 급증했을 때 임시 인력을 확충하는 방식으로 공장들은 대응하고 있다. 골목마다 비치된 구인 게시판에서 임시직 채용 공고를 보고 근로자들이 찾아가는 방식이다. BBC는 “이것이 쉬인의 공급망”이라며 “모든 공장들은 주문에 따라 의류를 생산할 수 있도록 쉬인과 계약돼 있다”고 부연했다.
급여는 정규직은 초과 근무를 제외한 기본 임금이 2400위안약 48만원이다. 아시아 최저임금연합이 생계를 위해 꼭 필요하다고 정한 6512위안약 130만 2000원을 한참 밑도는 금액이다. BBC가 인터뷰한 근로자들은 한 달에 4000~1만위안약 80만~200만원을 벌고 있었는데, 이는 초과 근무를 했기 때문이다.
임시직은 생산한 제품 수에 따라 급여가 정해진다. 금액은 얼마나 만들기 어려운지에 따라 달라진다. 티셔츠처럼 간단한 경우 개당 1~2위안약 200~400원이다. 시간당 평균 생산량은 12개다. 한 단기 계약 이주노동자는 “생활비는 너무 올랐는데 수입이 너무 적다. 조부모와 함께 살고 있는 두 자녀에게 돌아갈 수 있을 만큼 돈을 벌고 싶다”고 토로했다.
아동 노동력 착취 논란도 일고 있다. 쉬인은 지난해 일부 공장에서 아이들을 고용한 사실을 인정한 바 있다. 이외에도 신장은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면화를 공급받아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쉬인이 기업공개IPO에 성공할 경우 ‘괜찮은 회사’라는 인식을 심어주기 때문에 노동 착취나 부당한 처우 등이 정당화할 우려가 있다고 BBC는 지적했다.
쉬인은 BBC의 인터뷰 요청을 거부했으나 성명을 통해 “우리는 공급망 내 모든 근로자의 공정하고 존엄한 대우를 보장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거버넌스와 규정 준수를 강화하기 위해 수천만달러를 투자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또 “우리는 최고 수준의 급여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모든 공급망 파트너에도 우리의 행동 강령을 준수할 것을 요구한다. 감사인과도 협력해 규정 준수를 보장한다”고 덧붙였다.
▶ 관련기사 ◀
☞ 영화 공공의적 모티브된 최악의 존속살해[그해 오늘]
☞ ‘4분의 기적 버스서 심정지로 고꾸라진 男, 대학생들이 살렸다
☞ "술만 마시면 돌변..폭력 남편 피해 아이들과 도망친 게 범죄인가요"
☞ "임영웅과 얘기하는 꿈꿔"...20억 복권 당첨으로 고민 해결
☞ 공룡 美남 돌아온 김우빈, 황금비율 시계는[누구템]
방성훈 bang@
BBC방송은 12일현지시간 “중국의 이커머스 업체 쉬인이 10파운드약 1만 8000원짜리 드레스를 꾸준히 판매할 수 있는 비결은 일주일에 75시간 동안 재봉틀 앞에 앉아 있는 노동력 덕분”이라며 “중국에서든 광저우에서든 이는 드문 일이 아니다”라고 보도했다.
|
BBC는 최근 광저우 내 공장 10곳을 방문해 4명의 소유주 및 20명 이상의 근로자와 인터뷰를 가지는 등 심층 취재를 진행했다. 쉬인이 불과 5년 만에 글로벌 대기업으로 급성장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렸기 때문이다. 쉬인이 영국 증시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 노동 착취 논란에 휩싸여 있다는 점 등도 영향을 미쳤다. 회사의 경영 방식이나 수익 구조 등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쉬인의 기업가치는 약 360억파운드로 추산된다. 매출은 Hamp;M, 자라, 프리마크 등을 넘어섰다.
시장에선 공격적인 마케팅도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할인을 포함한 저렴한 가격과 물량 공세가 쉬인의 가장 큰 성장동력이라고 분석한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소위 ‘사람을 갈아넣었기 때문’이라고 BBC는 결론지었다.
장시성의 한 공장에서 근무하는 49세 여성은 “우리는 보통 하루에 10시간, 11시간, 12시간 단위로 일하고, 일요일에는 3시간 정도 덜 일한다”고 말했다. 40년 이상 한 공장에서 일했다는 또다른 여성은 식사 시간이 20분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BBC는 “재봉틀 앞에 앉아 있는 근로자들은 오후 10시가 넘어서 새로운 일거리가 도착해도 일을 멈추지 않았다. 표준 근무 시간이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를 훨씬 넘기고 있었다”며 주 75시간 근무는 중국 노동법을 위반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중국 노동법에선 근무 시간이 주 44시간을 초과해선 안 되며, 고용주는 근로자가 주당 최소 1일의 휴식일을 보장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근로자에 대한 부당한 처우가 가능한 이유는 인력 공급이 수요보다 많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급여도 넉넉하게 받을 수 없다. 대체 인력을 쉽게 구할 수 있어 불만을 제기하기도 어려운 환경이다.
|
근로자는 정규직과 임시직으로 나뉘는데, 특정 상품에 대한 주문이 급증했을 때 임시 인력을 확충하는 방식으로 공장들은 대응하고 있다. 골목마다 비치된 구인 게시판에서 임시직 채용 공고를 보고 근로자들이 찾아가는 방식이다. BBC는 “이것이 쉬인의 공급망”이라며 “모든 공장들은 주문에 따라 의류를 생산할 수 있도록 쉬인과 계약돼 있다”고 부연했다.
급여는 정규직은 초과 근무를 제외한 기본 임금이 2400위안약 48만원이다. 아시아 최저임금연합이 생계를 위해 꼭 필요하다고 정한 6512위안약 130만 2000원을 한참 밑도는 금액이다. BBC가 인터뷰한 근로자들은 한 달에 4000~1만위안약 80만~200만원을 벌고 있었는데, 이는 초과 근무를 했기 때문이다.
임시직은 생산한 제품 수에 따라 급여가 정해진다. 금액은 얼마나 만들기 어려운지에 따라 달라진다. 티셔츠처럼 간단한 경우 개당 1~2위안약 200~400원이다. 시간당 평균 생산량은 12개다. 한 단기 계약 이주노동자는 “생활비는 너무 올랐는데 수입이 너무 적다. 조부모와 함께 살고 있는 두 자녀에게 돌아갈 수 있을 만큼 돈을 벌고 싶다”고 토로했다.
아동 노동력 착취 논란도 일고 있다. 쉬인은 지난해 일부 공장에서 아이들을 고용한 사실을 인정한 바 있다. 이외에도 신장은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면화를 공급받아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쉬인이 기업공개IPO에 성공할 경우 ‘괜찮은 회사’라는 인식을 심어주기 때문에 노동 착취나 부당한 처우 등이 정당화할 우려가 있다고 BBC는 지적했다.
쉬인은 BBC의 인터뷰 요청을 거부했으나 성명을 통해 “우리는 공급망 내 모든 근로자의 공정하고 존엄한 대우를 보장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거버넌스와 규정 준수를 강화하기 위해 수천만달러를 투자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또 “우리는 최고 수준의 급여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모든 공급망 파트너에도 우리의 행동 강령을 준수할 것을 요구한다. 감사인과도 협력해 규정 준수를 보장한다”고 덧붙였다.
▶ 관련기사 ◀
☞ 영화 공공의적 모티브된 최악의 존속살해[그해 오늘]
☞ ‘4분의 기적 버스서 심정지로 고꾸라진 男, 대학생들이 살렸다
☞ "술만 마시면 돌변..폭력 남편 피해 아이들과 도망친 게 범죄인가요"
☞ "임영웅과 얘기하는 꿈꿔"...20억 복권 당첨으로 고민 해결
☞ 공룡 美남 돌아온 김우빈, 황금비율 시계는[누구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방성훈 bang@
관련링크
- 이전글미국으로 가는 K-위장약…HK이노엔 케이캡, 독점 보퀘즈나 넘을까 25.01.14
- 다음글국민반찬 김 맛 알았나···외국인들 김밥 사랑에 진짜 금값 됐다 25.01.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