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금융자산 1억원 돌파···기혼가구 89% "노후 준비 부족"
페이지 정보

본문
지난해 금융소비자의 평균 금융자산이 처음으로 1억원을 넘어섰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예·적금 등 저축 자산에서 투자 자산으로 자금이 이동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다만 기혼 10가구 중 9가구는 노후 자금 준비가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소비자 평균 금융자산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가 15일 발표한 ‘대한민국 금융소비자 보고서 2025’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소비자의 평균 금융자산은 1억178만원이었다. 2023년 9049만원에서 1년 만에 1000만원 이상 불어나 평균 금융자산이 처음으로 1억원대를 넘긴 것이다. 이는 지난해 7월 20∼64세 금융소비자 5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다.
2023년에는 금리가 크게 오르며 예·적금이나 수시입출금 등 안정형 저축 상품이 각광을 받았다면, 지난해에는 국내외 주식시장의 상승세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지난해 소비자들이 전체 금융자산 중 안정형 자산에 예치한 비중은 2023년보다 2.7%포인트 감소한 42.7%였다. 대신 투자·신탁 자산의 비중이 전년 26.1%에서 29.5%로 3.4%포인트 늘어났다.
연구소는 이처럼 투자자산의 비중이 확대된 것은 기존에 투자에 적극적이었던 X세대44~58세와 베이비부머세대59~64세뿐 아니라 밀레니얼세대29~43세를 중심으로 젊은 층에서 투자상품 거래가 크게 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밀레니얼세대의 금융자산 중 투자자산의 비중은 2023년 22%에서 지난해 27.6%로 5.6%포인트 확대했다. Z세대20세~28세 투자자산 비중도 같은 기간 3.8%포인트 늘어 21.4%였다. 베이비부머세대와 X세대의 투자자산 비중은 각각 31.5%와 30.2%로 MZ세대보다 컸지만, 전년 대비 비중 확대 폭은 각각 2.1%포인트, 3.2%포인트로 MZ세대보다 작았다.

세대별 투자·신탁 거래액 비중 변화. 하나금융연구소 제공
연구소는 올해 역시 저축상품보다 투자상품에 대한 관심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향후 1년 내 상품별 자산 예치 의향을 조사한 결과 개인종합관리계좌ISA, 상장지수펀드ETF, 정기예금, 해외주식, 개인형 퇴직연금IRP, 외화예금, 정기적금 모두 지난해보다 올해 투자 의향이 높아졌다.
디지털자산1.6→3.4% 역시 투자 의향이 확대돼, 금융소비자들이 가상자산의 가능성을 다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내 주식과 펀드 투자 의향은 지난해보다 축소됐다.
노후 재정 인식을 묻는 설문 조사에서는 기혼 10가구 중 9가구88.9%가 노후준비의 필요성을 느끼고도 충분히 준비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기혼가구의 현재 총 자산 평균은 6억9000만원으로 집계됐으며, 은퇴 후까지 평균 9억2000억원의 노후자금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향후 확보할 수 있는 자금을 포함하더라도 노후자금이 충분하다고 답한 기혼 가구는 전체의 12.8%에 불과했다.

금융상품의 예치·투자액 비중 변화
김지혜 기자 kimg@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윤 대통령, 공수처 검사가 체포영장 제시하자 “알았다, 가자”
· 윤 대통령 측 “시민들이 대통령 차량 막아줬으면 하는 마음 굴뚝 같아”…선동성 메시지
· 경호처, 저항없던 이유는?… 윤건영 “오늘 휴가 낸 경우도”
· [속보] 체포된 윤석열, 공수처 도착…취재진 피해 ‘뒷문’으로
· 윤 대통령 체포에 권성동 “국격 무너져···이재명 속 시원하냐”
· [속보] 윤 대통령 조사, 오전 11시 시작···윤갑근 변호사 등 2명 입회
· [속보] 윤석열, 체포 직후 녹화영상 공개 “이 나라의 법이 모두 무너졌다”
· “망했다” “공수처에서 마저 싸우자”···눈물 범벅된 윤석열 지지자들
· [속보] 한덕수, 윤석열 담화에 “모든 국민은 헌법과 법률 따라야 한다”
· [속보] 기재부 “계엄은 잘못된 결정···최상목, 대통령실 쪽지 무시했다”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서울시, 부동산 공시가격 검증·분석 착수 25.01.15
- 다음글"한국형 홈카페 목표"…네스프레소, 스벅 이어 블루보틀과 맞손 25.01.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