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 택배기사 휴식권 확대 본격 추진
페이지 정보

본문
대리점연합-택배노조 근로환경 개선 합의 도출…"지속가능한 운영 방안 마련"
프라임경제 CJ대한통운000120 대리점연합회와 택배노조 간 협의를 통해 택배기사 휴식권 확대와 안정적인 매일 오네O-NE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협력모델을 구축했다. 업계 최초로 지속가능한 택배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해 주요 종사자들이 협력해 상생 모델을 마련한 사례다.
CJ대한통운 대리점연합회와 택배노조는 지난 14일 서울 중구 소재 대리점연합회 사무실에서 매일 오네 서비스 시행을 위한 기본협약에 서명하고, 매일 오네 서비스의 안착을 위해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지속적인 대화와 협의를 통해 택배기사 근로환경을 더욱 향상시켜 나가기로 합의했다.
이번 기본협약은 택배기사 휴식권과 복지제도 확대, 서비스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사 공동 노력에 대해 기본적인 틀을 제시했다. 시장환경 변화에 따른 서비스 혁신 필요성과 종사자 권리 보호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택배종사자 간 협력으로 상생의 노사관계 기반을 마련했다는 분석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대리점연합회는 택배기사 휴식권 확대와 근로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개인사업자인 택배기사 전체를 대상으로 휴가제도를 대폭 확대했다. 출산휴가를 신설해 배우자 3일, 본인은 최대 60일을 부여하고 경조사 휴가 최대 5일, 특별휴무 3일을 신설하기로 했다.
CJ대한통운은 이에 더해 택배종사자들의 삶의 질 확대와 서비스경쟁력 강화를 위해 초격차 복지제도 역시 더욱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근무형태는 사회적 합의에 따른 주 60시간 내 근무원칙을 지키며 휴무일을 조정하는 순환근무제를 시행하고, 단계적 주 5일 근무제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택배기사 업무용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심야배송 및 무리한 연속근무를 제한할 계획이다. 또 휴일 근무에 대해서는 배송수수료 할증 지급을 통해 합리적 보상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스케줄 근무로 본인 외 다른 택배기사의 권역을 배송하게 되면 난이도에 따라 한시적으로 추가 수수료를 지급하고, 효율적인 배송을 지원하기 위한 라우팅 시스템 개발을 통해 택배기사들의 업무부담을 줄여 나갈 계획이다.
앞서 지난해 12월30~31일 택배노조가 시행한 조합원 총투표에서는 노조원 94%가 기본 협약 합의안에 찬성했다. CJ대한통운은 앞으로도 대리점, 택배기사 등 여러 구성원과 대화와 협의를 지속해 종사자 근무환경 개선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택배종사자 간 자발적 협력을 통해 매일 오네 서비스 질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운영 방안을 마련한 중요한 성과다"라며 "앞으로도 종사자와 고객 모두를 만족시키는 택배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관련링크
- 이전글고용시장에도 불어닥친 계엄 여파 12월 취업자, 3년10개월 만에 감소 25.01.15
- 다음글생존 위기 K배터리는 기술 전쟁 중…전고체 배터리 한중일 삼국지 25.01.1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