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드리선 생리대 안전성 인식 설문조사, 세포독성 전수 검사 필요성, 응답...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오드리선 생리대 안전성 인식 설문조사, 세포독성 전수 검사 필요성, 응답...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9회 작성일 25-01-15 10:29

본문

오드리선 생리대 안전성 인식 설문조사, 세포독성 전수 검사 필요성, 응답자의 94.4% 동의
여성들의 필수품인 일회용 생리대에 대한 안전성 인식이 여전히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농 생리대 브랜드 오드리선은 최근 1개월간 오픈서베이를 통해 일회용 생리대 사용자 302명을 대상으로 생리대 안전성에 대한 인식 설문조사를 진행,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15일 밝혔다.

조사 결과 생리대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로 안전성이 41.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흡수력18.5%, 가격17.2% 브랜드13.9%, 착용감8.6% 순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가격이나 브랜드보다 안전성을 최우선시 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생리대 안전성 검증이 꼭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도 매우 높게 나타났다. 생리대의 독성과 안전성을 검증하는 시험인 세포독성검사의 전수 시행 필요성에 대해서는 △꼭 필요하다 51.7%, △필요성이 있다 42.7%의 응답을 보여 필요하다는 응답이 94.4%로 높게 나타났다. 또 1급 발암물질인 생리대의 과불화화합물 전수 검사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는 적극 동의한다 59.6%, 동의한다 37.1%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과불화화합물에 대한 전수 검사 필요성96.7%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한편, 생리대에 독성이 있을 수 있다는 전제하에 최근 한 업체에서 진행한 세포독성검사 결과, 25종 중 18개 제품에 대해 독성 물질이 검출됐다는 내용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59.6%이 알고 있다고 응답, 생리대의 안전성 검사 방식인 세포독성검사에 대해 큰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내에서는 생리대, 탐폰, 생리컵은 모두 현재 의약외품으로 지정돼 있는 반면, 미국은 모두 의료기기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이로써 국내에서는 현재 세포독성검사 의무가 없는 상태다. 이에 관련, 생리대의 의약외품 분류 기준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96.7%가 생리대 분류기준 강화 필요성을 내보여, 앞으로 생리대의 안전성 검사 요구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오드리선 관계자는 "생리대 안전성 논란 이후 소비자들의 생리대 안전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안전성 검사나 평가 항목 등 관련 정보에 관심이 크게 높아졌다"며 "생리대가 여성들의 건강과 직결되는 만큼 믿을 수 있는 검증된 제품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상희 기자 nowater@sportschosun.com



한편 오드리선은 오드리선 TCF 더블코어 생리대를 대상으로 세포독성검사에 이어 과불화화합물의 일종인 과불화옥탄산PFOA과 과불화옥탄술폰산PFOS 등 주요 6종의 과불화화합물 검사를 시행했으며, 그 결과 해당 제품에서는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발표한 바 있다.

걸그룹 멤버와 결혼했던 야구선수, 업소女와 불륜 인정 “경솔한 행동 사과”

“베드신 덕에 복근은 기본, 발가락 털까지 봤다”..‘싱글남녀’ 윤현민·정혜성 화끈 케미 눈길

55억 자가 박나래, 한강뷰 집서 이사한 이유 “집에 귀신 있어, 안좋은 일 많았다”

국제결혼 송중기, 결국 문제 터졌다 “이탈리아어 쓰는 子, 내 말 못 알아들어 큰일”

“재혼하고 싶지만”..정가은, 132억 사기 前남편 공개저격→7세 딸 위로에 눈물

배우 왕성, 실종→삭발된 채 미얀마서 발견..“인신매매 추정”

“술만 마셔” 김승수, ♥양정아에 차인 후 쓸쓸한 근황

한혜진 친동생 “금호동에서 고깃집 운영”..진상 손놈 만행에 “어떡해” 발만 동동

조영남 “가족에게 아파트 2채 뺏겼다, 용돈은 딸에게 받아 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06
어제
1,871
최대
3,806
전체
952,27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