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반찬은 씁쓸한 옛말···마른김 한 장, 150원 돌파
페이지 정보

본문
작년 대비 1.5배…도매도 100장당 만 원 넘어
고등어 한 손 평균 소매가격, 평년보다 54% 상승
국민 반찬인 김 가격이 1년 전의 1.5배 수준으로 뛰었다. 해가 바뀌어도 마른김 가격은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1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가격정보 사이트에 따르면 마른김중품 10장 평균 소매가격은 지난 10일 기준 1562원이다. 한 장에 150원을 돌파한 것이다.
마른김 평균 소매가격은 1년 전 10장에 1054원으로, 한 장에 100원꼴이었다. 1년 사이 가격이 48% 올라 장당 50원 비싸진 셈이다.
김 소매가격은 1개월 전 1300원대에서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지난 3일 1429원에서 일주일 만에 130원 넘게 상승했다. 지난 9일 1528원으로 1500원대를 넘었고, 하루 만에 34원이 더 올랐다. 전통시장이 아닌 마트 가격은 2070원까지 높아져 장당 200원꼴이다.
소매가격뿐만 아니라 도매가격도 높다. 중도매인 판매가격은 지난 10일 기준 1속100장당 1만1860원으로 1년 전7487원보다 58% 뛰었다.
월간 가격을 봐도 김값 상승세는 확연하다. 월평균 소매가격은 지난해 1월1036원 이후 11개월 연속 상승했다. 김 수출 수요가 늘고 재고가 감소한 가운데 월평균 가격은 지난해 7월 1300원을 넘었고 지난해 12월 1400원대로 올라섰다. 지난해 연간 평균 김 소매가격은 1271원으로 전년1019원보다 25% 올랐다.
해양수산부가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해 할인 지원 조치를 하기도 했지만 김 가격은 고공행진하고 있다. 다만 마른김의 원료인 물김 수확이 지난달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1월 말쯤이면 마른 김 가격도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김 외에도 수산물 물가는 전반적으로 설 명절을 앞두고 오름세가 가팔라졌다. 통계청에 따르면 12월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9% 올랐는데 수산물 물가 상승률은 3.1%로 훨씬 높았다. 농산물 물가 상승률 2.6%보다도 높은 수치다.
‘국민생선’ 고등어도 장바구니를 무겁게 한다. 고등어 국산 염장 중품 한 손두 마리 평균 소매가격은 지난 10일 기준 6276원으로 지난해보다 37% 비싸고 평년보다 54% 올랐다.
배문규 기자 sobbell@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김남국, ‘코인 의혹’ 제기한 장예찬 상대 손배소 일부 승소…법원 “3000만원 배상”
· [단독]김용현 측근 “김용현, 수차례 전화서 ‘상원아’···포고령도 직접 안 썼을 것” 주장
· 민주당, ‘백골단 논란’ 김민전 제명안 검토…“어디 감히 민의 전당에…”
· [속보] 관저 인근 집회서 흉기 휘두른 50대 남성 현행범 체포
· 전술복·헬멧 착용한 경호처···‘의문의 대형 백팩’도 포착
· 지지율 하락 야당서 ‘강 대 강’ 신중론…“탄핵 절제하고 인내해야”
· 천하람 “권성동, 안철수·조경태엔 나가라 못하고··· 전형적 강약약강”
· ‘이재명 친중 비밀회동’ 국민의힘 음모론에···외신기자들도 화났다
· 권영세 “대통령 수갑 채워 끌고 가면 국격 떨어져” 체포 반대
· 권성동 “김민전 ‘백골단 기자회견’ 주선 적절치 못해···징계 사유는 아냐”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고등어 한 손 평균 소매가격, 평년보다 54% 상승

서울의 한 전통시장에 진열된 김. 연합뉴스
국민 반찬인 김 가격이 1년 전의 1.5배 수준으로 뛰었다. 해가 바뀌어도 마른김 가격은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1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가격정보 사이트에 따르면 마른김중품 10장 평균 소매가격은 지난 10일 기준 1562원이다. 한 장에 150원을 돌파한 것이다.
마른김 평균 소매가격은 1년 전 10장에 1054원으로, 한 장에 100원꼴이었다. 1년 사이 가격이 48% 올라 장당 50원 비싸진 셈이다.
김 소매가격은 1개월 전 1300원대에서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지난 3일 1429원에서 일주일 만에 130원 넘게 상승했다. 지난 9일 1528원으로 1500원대를 넘었고, 하루 만에 34원이 더 올랐다. 전통시장이 아닌 마트 가격은 2070원까지 높아져 장당 200원꼴이다.
소매가격뿐만 아니라 도매가격도 높다. 중도매인 판매가격은 지난 10일 기준 1속100장당 1만1860원으로 1년 전7487원보다 58% 뛰었다.
월간 가격을 봐도 김값 상승세는 확연하다. 월평균 소매가격은 지난해 1월1036원 이후 11개월 연속 상승했다. 김 수출 수요가 늘고 재고가 감소한 가운데 월평균 가격은 지난해 7월 1300원을 넘었고 지난해 12월 1400원대로 올라섰다. 지난해 연간 평균 김 소매가격은 1271원으로 전년1019원보다 25% 올랐다.
해양수산부가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해 할인 지원 조치를 하기도 했지만 김 가격은 고공행진하고 있다. 다만 마른김의 원료인 물김 수확이 지난달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1월 말쯤이면 마른 김 가격도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김 외에도 수산물 물가는 전반적으로 설 명절을 앞두고 오름세가 가팔라졌다. 통계청에 따르면 12월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9% 올랐는데 수산물 물가 상승률은 3.1%로 훨씬 높았다. 농산물 물가 상승률 2.6%보다도 높은 수치다.
‘국민생선’ 고등어도 장바구니를 무겁게 한다. 고등어 국산 염장 중품 한 손두 마리 평균 소매가격은 지난 10일 기준 6276원으로 지난해보다 37% 비싸고 평년보다 54% 올랐다.
배문규 기자 sobbell@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김남국, ‘코인 의혹’ 제기한 장예찬 상대 손배소 일부 승소…법원 “3000만원 배상”
· [단독]김용현 측근 “김용현, 수차례 전화서 ‘상원아’···포고령도 직접 안 썼을 것” 주장
· 민주당, ‘백골단 논란’ 김민전 제명안 검토…“어디 감히 민의 전당에…”
· [속보] 관저 인근 집회서 흉기 휘두른 50대 남성 현행범 체포
· 전술복·헬멧 착용한 경호처···‘의문의 대형 백팩’도 포착
· 지지율 하락 야당서 ‘강 대 강’ 신중론…“탄핵 절제하고 인내해야”
· 천하람 “권성동, 안철수·조경태엔 나가라 못하고··· 전형적 강약약강”
· ‘이재명 친중 비밀회동’ 국민의힘 음모론에···외신기자들도 화났다
· 권영세 “대통령 수갑 채워 끌고 가면 국격 떨어져” 체포 반대
· 권성동 “김민전 ‘백골단 기자회견’ 주선 적절치 못해···징계 사유는 아냐”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과체중·비만, 정상체중보다 자살위험 0.7배 더 낮다[헬스노트] 25.01.13
- 다음글이상 기후 수많은 경고음에도…60년 후 김장할 배추·무 못 키운다 [기후... 25.01.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