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도 2억 낮춰야 팔렸다…서울 아파트 매매가·거래량 뚝
페이지 정보

본문
━
얼어붙는 주택 시장
“요즘 거래가 없다 보니 강남에서도 1억~2억씩 가격을 낮춘 급매물만 팔리고 있어요.”
12일 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공인중개사 박모씨는 “작년에 집값이 많이 오른 데다 새해 들어서도 대출 금리가 크게 내려가지 않았다. 시국까지 어수선하니까 손님이 거의 없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거래가 뚝 끊기니까 강남 집주인들도 호가를 낮추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매수 심리가 위축되고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아파트값이 지방→수도권→서울 외곽→강남 아파트 순으로 둔화하는 모양새다.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 전용면적 84㎥21층는 지난달 35억5000만원에 팔렸다. 지난해 9월 같은 평형 4층 매물이 36억5000만원에 거래됐는데, 고층 매물인데도 3개월 만에 1억원가량 떨어졌다. 송파구 잠실동 ‘리센트’ 전용 84㎡18층는 지난 12월 말 26억15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해 10월 17층이 최고 28억5000만원에 팔렸던 데서 두 달 새 2억3000만원 하락했다. 강동구 대장 아파트인 고덕동 ‘고덕그라시움’ 전용 59㎡는 지난달 말 14억8000만원에 거래돼 한 달 만에 1억원가량 빠졌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이제 시장의 관심은 서울 아파트값 하락세가 얼마나 확대될지 여부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대출 금리가 좀처럼 내리지 않으면서 상급지 갈아타기도 주춤한 모습”이라며 “거래 건수 자체가 줄어 서울 아파트값 하락세가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영희 디자이너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도 “3~4월에는 정치적 불확실성이 조금씩 걷히겠지만 정부가 최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실시7월, 전세대출 보증 축소 등 대출 규제 강화를 예고했다”며 “매수 심리가 풀리기 어려워 거래 침체가 예상보다 길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연초는 계절적으로 비수기인 만큼 설 이후 거래 흐름을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강남구 개포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탄핵 정국이 좀 해소되길 기다리는 대기 수요가 많다. 통상 신학기3월 전후로 거래 문의가 늘며 내려갔던 가격이 오르는 패턴을 보였다”고 말했다.
백민정 기자 baek.minjeong@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현각 스님 외면한 과학자 母, 美서 보내온 편지엔
▶ 女시신 온전히 못떠났다…욕조 퍼내자 드러난 흔적
▶ "네 답변은 10점에 4점" 똑똑한 챗GPT 조련법
▶ "아빠가 공주반지 샀어" 3살 아들 말에 소름 돋았다
▶ 며느리 몸에 수시로 손댄다…노망 든 시부 충격 행동
▶ "LA가 불타는데…" 욕 먹은 앵커의 방화복 옷핀
▶ 비행기서 소변 날벼락…옆자리 승객 "꿈인 줄"
▶ 日대학 망치 난동 한국女, 모자이크 없이 얼굴 공개
▶ LA산불에 집 탄 유명 배우 분노…"세금은 젤 샀냐"
▶ "죽기 전 한번 해야겠다"…여자화장실 습격한 군인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백민정 baek.minjeong@joongang.co.kr
관련링크
- 이전글스타벅스 모든 음료 4000원에 먹는 꿀팁? 불황형 소비 이 방법 확산 25.01.13
- 다음글[Todays PICK] 300인 이상 대졸 초임, 처음으로 5000만원 돌파 25.01.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