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빌려간 회사들 상태 괜찮나"…은행들이 조사 나섰다는데, 왜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돈 빌려간 회사들 상태 괜찮나"…은행들이 조사 나섰다는데, 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0회 작성일 25-01-12 23:41

본문

원화값 약세에 자본비율 불안
신한銀 조기 기업 신용평가
국민은행은 지점 단위 관리

해외 채권투자 많은 보험사
환헤지 부담 커져 전전긍긍


quot;돈 빌려간 회사들 상태 괜찮나quot;…은행들이 조사 나섰다는데, 왜



달러당 원화값이 지속적으로 약세를 보이면서 은행과 보험사를 비롯한 금융사의 재무비율관리에도 비상이 걸렸다.

시중은행들은 보유 자산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고객기업을 대상으로 조기 신용평가에 나서거나 본점 단위로 실시하던 위험자산 평가를 일반 영업점 대상으로 확대하는 곳도 등장했다. 해외 채권 투자 비중이 높은 보험사들은 환헤지 비용을 축소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나섰다.

올해 들어 하락했던 원화값은 다시 작년 말 최저점을 위협하고 있다. 가장 최근 거래일인 10일 달러당 원화값은 야간 거래에서 급락하며 1472.0원에 거래를 마쳤다. 주간 거래 종가1465.0원에 비해서도 달러당 7원가량이 하락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올해 상반기 만기도래 기업에 대한 조기 신용평가에 나섰다.

거래 기업 중에서도 재무 성과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는 곳이 우선 대상이다. 신용평가를 통해 등급이 올라가면 은행이 보유한 대출 위험도 역시 낮아져 순자본비율CET1을 끌어올리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재무 상황 악화 예상 기업에 대해서는 ‘관심기업’으로 지정해 장기적으로 여신을 축소하기로 했다.

신규로 대출에 나설 때도 신용등급·담보비율이 높은 우량 기업을 중심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CET1 비율은 보통주 자본을 위험가중자산RWA으로 나눈 수치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대출 기업의 신용등급이 상승하면 그만큼 RWA 수치가 낮아져 CET1 비율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올 하반기 시행 예정인 스트레스 완충자본 규제의 조건으로 CET1 비율 11.5%를 하한선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 금융지주들은 지난해 밸류업지수 편입 당시 CET1 13%를 주주환원 확대의 기준으로 삼았다.

지난해 3분기 4대 금융지주의 CET1 비율은 KB금융 13.85%, 신한금융 13.13%, 하나금융 13.17%, 우리금융 11.96%다. 국내 증권사들은 작년 4분기 급격한 원화값 하락 등의 영향으로 이 비율이 0.2~0.3%포인트 가량 낮아졌을 것으로 보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영업점 단위의 위험자산 관리에 나선다. 통상 위험자산 관리는 본점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에 비해서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서다.

우리은행은 위험자산 ‘리밸런싱’에 나섰다. 원화값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외화표시 자산외화대출, 해외 채권 등은 줄이고 원화담보대출 등을 늘리는 방식이다. 향후 기업 대출도 선별적으로 시행하기로 했다.

하나은행은 목표 CET1 비율을 준수하기 위해 하루 단위로 RWA 변동을 체크하고 있다. 또 주 2회 그룹 임원 주관 회의를 열고 RWA 관리 계획 이행 현황을 점검 중이다.

해외 채권 투자가 많은 보험사들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국내 주요 보험사의 운용자산 중 채권 비중은 50% 안팎으로 이 중 해외 채권 비중은 대부분의 보험사가 10%를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내 보험사들의 해외 채권 잔액은 작년 3분기 512억달러로 전년 동기에 비해 17.4% 불어났다.

보험사들은 대부분 급격한 원화값 변동으로 인해 발생할 위험을 최대한 피하기 위해 외화 자산에 대한 100% 환헤지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주로 통화스왑CRS과 같은 파생상품을 환헤지 수단으로 활용한다. CRS는 계약 시 서로 다른 통화의 원금을 교환하고, 만기 시에는 계약 당시 합의한 통화값에 의해 원금을 재교환하는 것이다. 원화값이 급격히 하락하면 보험사들의 환헤지 비용 역시 증가한다. 만기가 돌아오는 CRS 상품에 재가입할 때 더 많은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기존 CRS 만기가 돌아오면 보험사들은 그 시점에 맞춰 재가입을 해야 한다”며 “원화값 하락 국면에서는 CRS 상품을 이전보다 비싸게 가입해야 해 비용이 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보험사들은 국내 정세가 요동치는 지난달 이후 금융감독원요청에 따라 매일 유동성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원화값이 떨어지는 상황에서는 보험사의 수익성, 재무 상태가 악화할 공산이 커 밀착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 금감원의 판단이다.

■ 용어설명

▷보통주자본CET1 비율 : 국제결제은행BIS의 자기자본비율 중 하나로 금융사의 위기 시 손실 대응능력을 보여주는 지표다. 총자본 중 가장 안정적이라고 평가받는 보통주 자본을 금융회사의 위험가중자산RWA으로 나눈 수치다.

▷위험가중자산RWA : 금융기관의 신용 위험을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한 지표다. 각 자산의 위험 수준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해 계산한다. 정부 채권과 같은 안전한 자산에는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며, 신용 위험이 높은 대출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가중치를 적용한다.



“여기다 공항을 지어놓으면 어쩌란거야”…조종사도 손사레 치는 위험천만 공항 톱10 [여프라이즈]

“아 진짜 슬프다”…‘두 딸 입양’ 얼마나 됐다고 안타까운 소식 전한 진태현

[단독] 결국 이재명이 교통정리 하나…이 간담회, 탈원전 부활 분수령으로

“설 임시공휴일 31일로 바꿔야”…27일에서 변경해야 한다는데

“아무도 안그러는데 20년 넘게...”...한지민, 이서진 만난 전과 후로 바뀐 성격 고백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20
어제
1,992
최대
3,806
전체
950,11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