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2% vs 인도 87%…글로벌 VC들 패싱하는 K벤처생태계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한국 2% vs 인도 87%…글로벌 VC들 패싱하는 K벤처생태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9회 작성일 25-01-09 14:46

본문

국내 벤처 투자액 중 글로벌 벤처캐피털VC 투자 비중이 2% 안팎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예산정책처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글로벌 VC의 국내 벤처투자액은 2318억원이었다. 2021년9895억원, 2022년6097억원에 비해 크게 줄었다. 전체 벤처투자 중 글로벌 VC 투자비중도 2023년 2.1%로 2021년6.2%, 2022년4.9%보다 쪼그라들었다.

한국 2% vs 인도 87%…글로벌 VC들 패싱하는 K벤처생태계

@국회 예산정책처


해외 주요국들이 글로벌 벤처자금을 적극적으로 끌어오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프레킨에 따르면 2023년 인도에서 결성된 벤처펀드 중 외국자본 비중은 87%에 달했다. 싱가포르84%, 영국74%, 독일66% 등과 비교해도 차이가 컸다. 폐쇄적이라고 평가받는 중국12%, VC 천국으로 불리는 미국7%보다도 한국이 낮다.


정부는 글로벌 VC 자금 유치를 위해 모태펀드 예산을 넣어 ‘해외 VC 글로벌펀드’를 운영하고 있다. 해외 VC들이 조성한 펀드에 누적 7005억원을 출자했다. 하지만 지난해 1~11월 해당 펀드의 한국 내 벤처투자액은 1043억원에 불과했다. 2013년 사업 시작 후 결성된 전체 자펀드11조6537억원 중 한국 투자 비중은 10.7%밖에 안 된다.

업계에선 투자대상 제한 규제 등이 글로벌 VC들의 한국 투자를 막고있다고 본다. 인수합병Mamp;A 시장이 발달하지 않아 회수 전략도 제한적이다. 언어장벽으로 글로벌 VC들이 국내 스타트업들의 전략을 제대로 판단하기도 어렵다. 진달래 예산정책처 분석관은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와 Mamp;A펀드, 세컨더리펀드 등 회수 방안 다각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27
어제
1,992
최대
3,806
전체
950,12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