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꽂힌 이동통신사 경영진, 라스베이거스서 이곳부터 찾았다 [CES202...
페이지 정보

본문
![AI 꽂힌 이동통신사 경영진, 라스베이거스서 이곳부터 찾았다 [CES2025]](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mk/2025/01/09/news-p.v1.20250109.a74daa51d3374e5892a6065cef683e18_P1.jpg)
국내 이동통신회사 경영진이 세계 최대 전자·정보기술IT 박람회 ‘CES 2025’가 열리는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를 대거 찾았다. 올해의 경영 키워드로 인공지능AI을 꼽은 만큼 최첨단 기술을 확인하고 역량 강화 방안 및 사업 모델을 모색하기 위해 여념이 없는 모습이다.
8일현지시간 통신업계에 따르면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은 CES에서 AI 동맹 강화를 목표로 K-AI 얼라이언스의 멤버사들과 피칭데이를 개최했다. 유 사장은 멤버사들에게 미국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밸리에 투자 유치를 제안했다. 또 AI 기업 간 협력 및 네트워크 중요성, 글로벌 공동 진출 필요성을 논의했다.
참여 기업은 트웰브랩스, 라이너, 이모코그, 임프리메드, 래블업, 페르소나AI 등이다.

앞서 유 사장은 CES 공식 개막과 동시에 SK그룹의 합동 부스로 향했다. 정석근 SK텔레콤 부사장이 동행했다. SK그룹의 전시관 콘셉트는 AI 데이터센터DC다. 비트의 역동적 데이터 흐름을 표현한 커다란 키네틱Kinetic 발광다이오드LED가 눈에 띄었다.
유 사장은 SK텔레콤의 AI 비서 에스터에 대한 반응을 살피고 SK하이닉스의 16단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3E를 확대해 만든 모형을 만져보며 관심을 드러냈다. 엔비디아에 HBM을 사실상 독점 공급해 온 SK하이닉스는 지난해 3월 HBM 5세대인 HBM3E 8단을 업계 최초로 납품했다.
삼성전자와 파나소닉 전시관도 방문했다.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이 유 사장을 맞이했다. 임성택 삼성전자 한국총괄 부사장이 유 사장과 전시관을 함께 돌았다. 유 사장은 AI 기술과 관련해 궁금했던 사항을 질문하고 답변을 받아갔다.
유 사장은 “SK그룹 부스를 제외하면 삼성전자가 굉장히 인상적이었다”며 “스마트싱스에 AI를 입히고 있는 것 같은데, 굉장히 전략적으로 잘 가고 있다. 가전이라는 측면에서 많이 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영섭 KT 사장도 참관객을 자처했다. 김 사장이 CES에 참석한 것은 처음이다. KT는 이번 CES에 부스를 꾸리지 않았지만 글로벌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기 위해 긴 비행시간을 감수했다. 김 사장 역시 삼성전자 전시관부터 발걸음 했다. 현대모비스 전시관에서는 최초 공개된 홀로그래픽 윈드쉴드 디스플레이 기술에 대해 설명을 들었다. 김 사장과 AI 미래 전략을 함께 짤 주요 임원도 따라왔다. KT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업 중인만큼 관계자 미팅 자리가 마련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지만, 김 사장은 말을 아꼈다.
LG유플러스도 C레벨들을 급파했다. 홍범식 사장이 참가하지 않는 대신 이상엽 최고기술책임자CTO를 필두로 최윤호 상무 등이 시장 현황 파악과 역량 고도화를 위해 CES에 참여했다. 특히 이 CTO는 자체 개발 AI 비서인 익시오의 개선 방향과 전략 구체화 등을 고민할 것으로 전망된다.
[라스베이거스 이가람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펫 헬스케어 닥터테일-삼성전자 맞손…AI 수의사 협업 공개 25.01.09
- 다음글현대차 "위기 안방서 극복하자"…RD 11.5조 미래기술 확보 사활 25.01.0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